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조선후기 성호학파의 자연학

조선후기 성호학파의 자연학

  • 구만옥
  • |
  • 혜안
  • |
  • 2023-07-25 출간
  • |
  • 488페이지
  • |
  • 150 X 225mm
  • |
  • ISBN 9788984947009
판매가

40,000원

즉시할인가

36,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6,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성호학파 자연학의 특징적 요소
성호학파 자연학의 특징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요소를 추출할 수 있다. 첫째, 성호학파의 학자들은 ‘명물도수지학’을 비롯한 자연학 분야를 유자(儒者)의 필수적 학문, 즉 유자의 실학(實學)으로 파악하였다. 둘째, 물리(物理)에 대한 새로운 인식에 기초하여 학문적 탐구 대상을 자연물로 확장하였다. 물리에 대한 새로운 인식은 기존의 세계관과 인식론의 변화에 따른 결과물이었다. 나아가 그것은 공부의 대상과 방법에도 일단의 변화를 불러왔다. ‘격물치지론’의 재해석에 따라 자연법칙으로서의 물리에 대한 탐구가 적극적으로 모색되었고, 격물의 대상 역시 유교의 경전(經傳)에서 벗어나 자연물로 확장되었다. 그것은 천지만물을 포괄하는 박학적(博學的) 성격을 띠게 되었다. 셋째, 학문방법론의 일환으로서 ‘수학(數學)과 실측(實測)’의 중요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등장하였다. 성호학파의 학자들은 당대 천문역산학(天文曆算學)의 문제를 개혁하기 위한 방안으로 수학의 필요성과 함께 실측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그 연장선에서 실측을 위한 기구로서 천문의기(天文儀器)에 대해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이와 같은 인식의 전환을 통해 그들은 기존의 주자학적 자연학의 논리적 문제점을 ‘실측’과 ‘실증(實證)’의 차원에서 지적하였고, 그와는 다른 새로운 자연학을 모색하게 되었던 것이다.

“성대한 연회는 다시 만나기 어렵다[盛筵難再].”
뛰어난 글재주를 지녔던 왕발(王勃)은 20대 초에 그 유명한 「등왕각서(滕王閣序)」를 지었다. 그 가운데 “아, 명승지는 항상 있는 것이 아니요, 성대한 연회는 다시 만나기 어렵다[嗚呼, 勝地不常, 盛筵難再]”라는 대목이 있다. 정약용은 권철신(權哲身)의 묘지명을 지으면서 정조 3년(1779) 겨울의 이른바 ‘천진암(天眞菴) 주어사(走魚士) 강학회’를 회상하면서 이 대목을 거론하였다. 그것은 비단 주어사 강학회와 같은 성대한 학술 모임이 두 번 다시 열리지 않았다는 아쉬움을 토로한 것만은 아니었을 것이다.
권철신은 이기양(李基讓)과 함께 장래의 성호학파를 이끌어갈 인재로 일찍부터 선배들이 기대해 마지 않았던 학자였다. 그러나 권철신과 이기양은 천주교 신앙 문제에 발목이 잡혀 선진들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다. 정약용이 “그 또한 신유년(辛酉年: 1801) 봄에 죽으니 드디어 학맥(學脈)이 단절되어 성호의 문하에 다시 그 아름다움을 이을 만한 이가 없게 되었으니, 이 세운(世運)은 다만 한 집안의 슬픔이 아니었다”고 한 것은 권철신의 죽음에 따른 성호학파의 조락(凋落)을 묘사한 것이었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성호학파의 학맥은 안정복(安鼎福)-황덕길(黃德吉)-허전(許傳)으로 이어지는 계보를 통해 전승되었으며 일련의 보수화 과정을 거쳤다. 자연학의 측면에서 보면 성호학파의 관련 논의는 이전의 참신성을 잃고 선배들의 담론을 답습하는 수준에 머물렀고 창조적 활력을 보여주지 못했다. 그것은 일종의 굴절(屈折) 내지 변주의 과정이었다.

목차

책머리에
제1장 서론
제2장 성호학파 자연학의 사상적ㆍ학문적 기초
1. 도리(道理)와 물리(物理)의 분리
2. 천관(天觀)의 분화와 자연천(自然天)의 탐구
3. 치의(致疑)와 자득(自得)의 학문관
4. 명물도수(名物度數)와 불치하문(不恥下問)
제3장 서학(西學)에 대한 인식과 수용의 논리
1. 조선후기 서학 수용의 문제
2. 성호학파의 서학 인식과 수용의 논리
3. ‘존사위도(尊師衛道)’를 위한 변론(辨論)
제4장 전통적 자연지식에 관한 성호학파 내부의 담론 ‘기삼백론(朞三百論)’과 ‘칠윤지설(七閏之說)’에 대한 논의
1. 이익의 기삼백론(朞三百論)
2. 이익과 이병휴의 ‘칠윤지설(七閏之說)’에 대한 논의
제5장 새로운 자연지식에 관한 성호학파 내부의 담론 윤동규와 안정복의 자연학 논의
1. 세차법(歲差法)
2. 서양역법(西洋曆法)과 일전표(日躔表)
3. 조석설(潮汐說)
제6장 전통적 자연학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학설의 전개(1)
1. 중천설(重天說)
2. 일월식론(日月蝕論)
3. 「방성도(方星圖)」와 ‘수간미곤(首艮尾坤)’론의 전개
제7장 전통적 자연학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학설의 전개(2)
1. ‘지리(地理)’에 대한 관심과 담론
2. 지구설(地球說)과 봉침설(縫針說)
3. 조석설(潮汐說)과 동해무조석론(東海無潮汐論)
4. 수리론(水利論)
제8장 성호학파 자연학의 특징과 학문적 지향
1. 유자(儒者)의 실학(實學):자연학에 대한 인식의 전환
2. 물리(物理)에 대한 관심과 박학(博學)
3. 수학(數學)과 실측(實測)의 강조
제9장 성호학파 자연학의 계승과 굴절(屈折)
1. 성호학파의 분기(分岐)와 보수화(保守化)
2. 성호학파 자연학의 계승:정약용(丁若鏞)의 경우
3. 허전(許傳)의 천지관(天地觀)과 재이설(災異說)
제10장 결론
참고문헌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