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1 경찰학의 기초이론(30% 내외)
Chapter 01 경찰과 경찰학
THEME 1 경찰개념의 형성 및 변천 17
1. 대륙법계 국가의 경찰개념 ……………………………………… 17
2. 소극적 위험방지에 한정한 관련 법률과 판결 ………………… 22
3. 대륙법계와 영미법계 경찰 비교………………………………… 24
4. 주요 외국 판결……………………………………………………… 25
THEME 2 경찰의 개념 구분 29
1. 형식적 의미의 경찰과 실질적 의미의 경찰 …………………… 29
2. 경찰개념의 분류 기준과 내용…………………………………… 32
3.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장·단점 ……………………………… 37
THEME 3 경찰의 임무 및 위험 39
1. 경찰의 임무 ……………………………………………………… 39
2. 경찰의 기본적인 임무 …………………………………………… 40
3. 위험 …………………………………………………………… 42
4. 경찰활동의 기초 ………………………………………………… 46
THEME 4 경찰의 관할 47
THEME 5 경찰활동의 기본이념 51
Chapter 02 범죄와 지역사회 경찰활동
THEME 1 범죄의 개념 55
1. 범죄의 개념 ……………………………………………………… 55
2. 범죄원인을 구성하는 기본요소 ………………………………… 55
THEME 2 범죄원인론(개인적 수준의 범죄원인) 56
THEME 3 범죄원인론(사회적 수준의 범죄원인) 57
1. 사회구조원인 …………………………………………………… 57
2. 사회과정원인 …………………………………………………… 60
3. 사회통제이론과 낙인이론 ……………………………………… 62
THEME 4 범죄의 통제(예방) 65
1. 범죄통제 방법의 변천 …………………………………………… 65
2. 다양한 범죄의 통제(예방) 활동 ………………………………… 65
THEME 5 범죄통제(예방)이론 67
1. 범죄 통제(예방)이론의 특징 및 비판 …………………………… 67
2. 상황적 범죄예방이론 …………………………………………… 69
3. 상황적 범죄예방이론에 대한 비판 ……………………………… 73
4. 환경범죄이론 …………………………………………………… 74
5. 멘델슨(Mendelsohn)의 범죄피해자 유형 …………………… 78
THEME 6 지역사회 경찰활동 79
1. 전통적 경찰활동과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비교………………… 79
2. 지역사회 경찰활동 내용 ………………………………………… 82
3. 집합효율성이론, 깨진유리창이론, 무관용경찰활동…………… 85
THEME 7 외국의 범죄예방활동 87
1. 외국의 범죄예방활동(미국, 영국) ……………………………… 87
2. 순찰 ………………………………………………………… 88
Chapter 03 경찰과 윤리
THEME 1 경찰활동의 기준 92
1. 사회계약설 ……………………………………………………… 92
2. 사회계약설로부터 도출되는 경찰활동의 기준(코헨과 펠드버그) 94
THEME 2 전문직업화와 바람직한 경찰의 역할모델 99
THEME 3 경찰의 일탈 101
THEME 4 경찰부패 103
1.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상
부패 개념 ………………………………………………………… 103
2. 경찰부패의 원인가설 …………………………………………… 104
3. 내부고발 및 용어정리 …………………………………………… 108
THEME 5 경찰의 문화 110
1. 냉소주의와 회의주의 …………………………………………… 110
THEME 6 경찰윤리강령 112
THEME 7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청탁금지법)
115
THEME 8 경찰청 공무원 행동강령(경찰청 훈령) 120
THEME 9 공직자의 이해충돌 방지법(이해충돌방지법) 125
THEME 10 경찰의 적극행정과 소극행정 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