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를 둘러싼 과장된 서사를 넘어서
이 책은 먼저 AI의 발전과 미래를 말하는 영향력 있는 서사들을 소개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는 종국에는 우리가 기계를 지배하는 것이 아니라 기계가 우리를 지배하게 될 것이라는 초지능에 대한 이야기다. 이것은 폭발적인 기술 발전으로 인해 세상에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더는 이해할 수 없을 정도가 됨으로써 인간사가 종말을 고하고 말 것이라는 기술적 특이점이라는 생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오늘날 우리가 직면한 과제는 AI를 어떻게든 우리가 원하는 대로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고, 그러기 위해서는 첨단 기술을 이용해 인간 스스로 자신을 ‘신’으로 업그레이드해야 한다고 한편에서는 주장한다. 저자는 이와 같은 인간과 기계의 경쟁 서사 혹은 ‘프랑켄슈타인 콤플렉스’를 넘어서기 위한 해법을 서구 문화 바깥에서 찾는다. 거기에는 종말에 관한 사상도 없고, 인간은 근본적으로 기계보다 우월하며 물질성을 초월하려는 존재임을 끊임없이 옹호하는 플라톤적 욕망도 없으며, 기계에 대해 보다 우호적인 태도를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저자는 AI를 둘러싼 과장된 이야기를 넘어서고 AI에 대한 윤리적 논의를 단순히 미래에 대한 꿈 혹은 악몽으로 제한하지 않기 위해 기계에서 인간 같은 지능이 가능한지, 인간과 기계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AI는 단지 기계일 뿐인지 아니면 어떤 형태의 도덕적 고려를 받을 자격이 있는지 등을 하나하나 검토한다.
그런 뒤 저자는 AI에 관한 철학적 논의나 역사적 맥락화를 뒤로하고 AI 기술이 오늘날 우리 삶에서 실제로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AI의 역사와 함께 기호적 AI나 신경망 인공지능 같은 기술을 소개하고 기계학습, 데이터 과학을 자세히 들여다본다. 그리고 프라이버시, 투명성, 설명 가능성, 편향, 공정성, 불평등 등 AI 윤리에서 다루어지는 쟁점들을 개괄한 다음 이러한 이슈들에 정책적으로 어떻게 접근할지를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기후 변화나 에너지 문제 같은 전 지구적 현안을 AI 문제와 연관 지어 논의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삶을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 더 깊이 돌아보게 한다. 옮긴이는 이렇게 말한다.
“AI를 그저 막연하게 두려워하거나, 밑도 끝도 없이 무작정 신뢰하거나, 혹은 우리에게 아무 선택권도 없다면서 단지 AI의 혜택과 해악을 감수할 뿐이라고 수동적으로 물러나 있지만 말고, 이 책을 통해서 우리가 AI에 대해서 그리고 AI와 함께 어떤 일을 할 수 있고 또 해야 하는지 고민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