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는 남색(男色)이란 용어가 보편화되어 있는데, 그만큼 남색의 역사가 길 뿐만 아니라, 남색을 일본적 문화의 특성으로 보기도 한다. 일본에서 남색과 관련하여 처음으로 언급된 것은 《일본서기(日本書紀)》 신공(神功)황후 섭정 원년(201년)의 기록이다. 헤이안시대 후기부터는 불가(佛家)나 무가(武家)에서는 정당한 애욕으로서 용인되었던 경향이 있었고, 에도시대에는 조닌(町人) 사회에서도 행해졌고 사이카쿠의 《남색대감》과 같이 남색을 주제로 한 문학 작품이 다수 등장했다. 따라서 남색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고, 주로 문화와 문학적 측면에서 바라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남색대감(男色大鑑)》(8권 10책)은 1687년 1월에 간행된 이하라 사이카쿠(井原西鶴)의 우키요조시[浮世草子, 덧없고 살기 힘든 이 세상, 세속적이고 향락적인 인간 세상 등을 의미하는 ‘우키요(浮世)’를 살아가는 다양한 인간들의 모습과 세태를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작품]다. 각 권 5화씩, 총 8권 40화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1권부터 제4권까지의 전반부 20화는 주로 무가(武家) 사회의 남색(男色)을 다루었고, 제5권부터 제8권까지의 후반부 20화는 주로 가부키 연극계의 남색을 다루었다. 사이카쿠의 이전 작품들이 주로 남자와 여자 사이의 호색(好色)을 다루었다고 한다면, 이 작품은 남자와 남자 사이의 남색을 다루었으며, 호색 이야기에서 남색 이야기로 작가의 관심과 작품 주제의 확장을 엿볼 수 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작품 속에 등장하는 와카슈(남색 관계에서 동생 역할을 하는 10대의 미소년)는 때로는 《삼강행실도》에 등장하는 조선 시대의 열녀 못지않은 기개와 정조를 보이기도 하며, 그들이 보여 주는 사랑과 의리, 그리고 인정은 지고지순한 사랑과 정절이 남녀 사이에서만 가능할 것이라는 상식에 정면으로 물음표를 던진다.
총 8권 40화 중 이번 무사편에는 제1권부터 제4권까지의 전반부 20화를 담았다. 이야기마다 원전의 삽화를 실어 당대의 문화를 시각적으로 살필 수 있다. 부록인 대표 역자 문명재의 논문 〈일본 고전으로 본 남색과 지고〉는 일본 고전문학을 중심으로 하여, 남색의 역사와 문화를 통시적으로 고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