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널리즘은 질문 없이 존재할 수 없다”
질문의 진원, 본질, 범위부터
묘사·해석·성찰을 위한 방법까지
저널리즘 질문의 이론과 전략을 심층 분석하다
저널리즘은 질문 없이 존재할 수 없다. 질문의 논리, 이유, 가치, 전략 등을 터득하는 것이야말로 저널리즘의 기본 토대다. 그럼에도 정작 오늘날 저널리즘 현장에서 좋은 질문은 희귀해져만 간다. 이 책에서는 질문의 진원, 본질, 범위부터 묘사·해석·성찰을 위한 방법까지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저널리즘의 토대를 다시 굳건하게 세운다.
서론 격인 1장에서 저널리즘 질문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으로 시작해, 2장 “질문의 진원”에서 저널리즘 질문이 늘 마주치는 ‘불확실성’을 분석하며 다양한 관점에서 질문을 구성해야 하는 이유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3장 “질문의 본질”에서는 질문이 ‘물음의 답’이라는 단발성에 그치지 않고 제문적 답(problematological answer)이라는 ‘물음과 답의 연쇄’로 이어진다는 사실 등을 살펴보며 저널리즘 질문의 속성과 역할을 알아본다. 4장 “질문 역량”에서는 질문에 필요한 구체적 역량과 기술들인 듣기·성찰·탐침 등을 살펴보고, 5장 “질문의 범위”에서는 ‘묘사를 위한 질문’에서 ‘해석을 위한 질문’에 이르는 질문의 스펙트럼을 알아본다.
6장 “질문의 프레임”은 7장부터 10장까지 다뤄질 질문의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장으로, 묘사와 해석, 인식과 메타 인식에 관한 이론을 정리한다. 이어지는 7장에서는 사건을 이해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인 “묘사를 위한 질문”을, 8장에서는 사건의 개념을 통한 의미 구성을 노리는 “해석을 위한 질문”을, 9장에서는 저널리스트가 뉴스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끊임없이 판단하고 의사 결정을 내리는 과정에서 필히 마주하는 “성찰을 위한 질문”을, 10장에서는 저널리즘 질문의 권력적 특성과 연결되는 “권력을 위한 질문”을 분석한다. 결론 격인 11장에서는 질문이 저널리스트의 행위를 ‘노동에서 일’로 옮겨 놓는다는 사실을 알아보며 저널리즘에서 질문의 가치를 다시금 확인한다.
저널리즘 질문의 이론 체계를 구축한 이 책은 취재 보도 활동의 실천적 지침서이자, 저널리즘의 본질에 대한 연구서다. 저널리스트는 이 책을 익힘으로써 질문의 의미와 본질, 낮은 수준 질문에서 높은 수준 질문, 권력적 질문에 이르기까지 구체적 질문법 등에 대한 총체적 이해는 물론 저널리즘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