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중국철학사

중국철학사

  • 정해왕
  • |
  • 박영사
  • |
  • 2023-08-09 출간
  • |
  • 608페이지
  • |
  • 171 X 244 X 45mm
  • |
  • ISBN 9791130318097
판매가

34,000원

즉시할인가

33,66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3,66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중국철학사中國哲學史 서설序說
1. 인류 정신의 진화와 철학의 발생 2
2. 철학사의 구조 3
3. 중국 철학의 발생 6
4. 여러 학파의 출현과 그 분류 12

제1장 공자孔子
1. 철학자 공자의 합리주의 18
2. 전통문화의 종합자 20
3. 예禮와 정명正名, 그리고 춘추春秋의 의리義理 22
4. 인仁과 그 실천방법으로서의 충忠과 서恕 25
5. 의義와 중용中庸 28
6. 인간의 유형 29
7. 공자의 정신경지 진보 과정 32

제2장 묵자墨子
1. 겸애兼愛와 비공非攻 38
2. 상현尙賢과 상동尙同 42
3. 절용節用과 절장節葬 45
4. 비악非樂과 비명非命 47
5. 천지天志와 명귀明鬼 50

제3장 은자隱者와 양주楊朱
1. 은자隱者들의 처세태도 55
2. 양주楊朱와 위아爲我 사상 58
3. 양주楊朱의 경물중생輕物重生 61
4. 양주 사상의 이타적 측면과 이기적 측면 64
5. 양주 사상의 본질과 철학사적 계승 66

제4장 맹자孟子
1. 맹자孟子의 인간중심주의 73
2. 맹자의 성선설性善說 75
3. 맹자와 고자告子의 인성 논쟁 79
4. 맹자 왕도정치王道政治의 논리 구조 83
5. 왕도정치의 개략적 내용 85

제5장 명가名家
1. 명가名家의 철학사적 배경과 명名·실實의 문제 90
2. 혜시惠施 94
3. 공손룡公孫龍 100
4. 명가의 의의 104

제6장 [노자老子]
1. 인물 노자老子와 문헌 [노자老子] 108
2. [노자老子]의 처세관 속 양주楊朱 사상의 요소 111
3. [노자]의 ‘유약柔弱’의 처세관 116
4. [노자]의 ‘절욕節欲’ 119
5. [노자]의 형이상학 - 도道와 명名 그리고 무위無爲 122

제7장 장자莊子
1. 문헌 [장자莊子]130
2. 인생 현실의 고통과 그 원인 132
3. 상대적 차이의 인정 134
4. 존재의 차원의 차이 137
5. 진정한 자유와 행복 142
6. 변화하는 세계의 존재에 대한 초월 145

제8장 [주역周易]
1. 변화의 패턴과 원리로서의 ‘역易’ 151
2.[주역周易]이라는 문헌 152
3. [주역]의 기본적 세계관과 인생관 156
4. [주역] 이해를 위한 기본 지식 161

제9장 음양가陰陽家
1. 술수術數 169
2. [서경書經]「홍범洪範」의 오행五行 172
3. 월령月令과 오행五行 사상의 적용 174
4. 추연騶衍, 음양가陰陽家의 대표인물 176
5. 추연騶衍의 역사철학 179
제10장 순자荀子
1. 순자荀子의 무신론無神論적 합리주의 187
2. 순자荀子의 인식론 193
3. 순자荀子의 정명론正名論 195
4. 순자荀子의 사회사상 198
5. 순자荀子의 성악설性惡說과 교육 및 예禮의 문제 200

제11장 법가法家와 한비자韓非子
1. 한비자韓非子 이전의 법가法家 사상가 207
2. 한비자韓非子와 그의 변법變法 역사관 215
3. 한비자韓非子의 세勢, 술術, 법法 217
4. 법가法家와 도가道家, 그리고 한비자韓非子와 「노자老子」 220

제12장 [예기禮記]「예운禮運」
1. [예기禮記]「예운禮運」의 대동大同사회 - 유가의 이상적 목표 225
2. 유가의 차선의 목표, 소강小康사회 229
3. 소강사회의 본질적 모순 - 세습世襲 231
4. 소강사회 세습 모순의 급진적 해결방법 - 혁명革命 232
5. 대동大同, 소강小康, 난세亂世 233
6. 공자가 꿈꾸었던 세상 235

제13장 [예기禮記]「대학大學」
1. ‘대학大學’의 의미와 ‘대학지도大學之道’ 241
2. 삼강령三綱領의 의의 244
3. ‘팔조목八條目’의 분류 246
4. 격물格物과 치지致知 247
5. 성의誠意와 정심正心 249
6. 수신修身과 제가齊家 251
7. 제가齊家, 치국治國, 평천하平天下 252
8. 혈구지도絜矩之道 253

제14장 [예기禮記]「중용中庸」
1. ‘중용中庸’이란 무엇인가 259
2. 때의 중용中庸 - 시중時中 261
3. ‘중용中庸’의 근원적 의미 263
4. ‘중화中和’ - ‘중용’의 정수精髓 265
5. ‘중용’의 어려움 268
6. ‘성誠’과 ‘성지誠之’ 그리고 성인聖人되는 방법 270

제15장 [예기禮記]「악기樂記」
1. 문헌 「악기樂記」에 관한 문제들 276
2. 「악기樂記」의 음악이론과 그 정치성 279
3. 「악기樂記」와 ‘예禮’ㆍ‘악樂’의 상관성 285

제16장 한조漢朝의 통치이념과 동중서董仲舒
1. 한조漢朝 통치이념 형성의 기본 토대 295
2. 한漢 무제武帝의 과제와 통치이념 건립 298
3. 한漢 무제武帝의 통치이념 건립제기와 동중서董仲舒의 등장 300
4. 춘추공양학春秋公羊學과 동중서董仲舒 사상의 종교성 302
5. 동중서董仲舒의 종교적 천인天人관계론 305
6. 동중서董仲舒의 음양론陰陽論 307
7. 동중서董仲舒의 오행론五行論 310

제17장 왕충王充
1. 왕충王充의 천인감응설天人感應說적 천인天人관계 비판 317
2. 왕충王充의 ‘명命’과 ‘성性’ 322
3. 왕충王充의 공자孔子에 대한 비판 324
4. 왕충王充의 맹자孟子에 대한 비판 329

제18장 위진현학魏晉玄學(1)
1. 위진魏晉 현학玄學의 기본적 문제의식 337
2. 하안何晏과 왕필王弼 및 ‘귀무론貴無論’ 340
3. 죽림명사竹林名士 혜강嵇康과 완적阮籍 346

제19장 위진현학魏晉玄學(2)
1. 배위裴頠와 [숭유론崇有論] 355
2. ‘언의지변言意之辯’ 358
3. 곽상郭象의 ‘무무론無無論’ 362

제20장 중국불교철학中國佛敎哲學(1)
1. 격의格義의 문제 371
2. 승조僧肇의 사상 372
3. 혜원慧遠의 [신불멸론神不滅論] 376
4. 삼론종三論宗과 길장吉藏 380
5. 현장玄奘의 [성유식론成唯識論] 384
제21장 중국불교철학中國佛敎哲學(2)
1. 천태종天台宗 391
2. 화엄종華嚴宗 395
3. 선종禪宗 401

제22장 주돈이周惇頤
1. [태극도설太極圖說] 속 자연철학과 도덕철학 413
2. [통서通書]의 도덕이상道德理想: 성誠과 성聖 418
3. 이상理想에서 현실現實로 420
4. 현실의 차별상과 악惡의 문제 423
5. 현실現實에서 다시 이상理想으로: 선善의 회복과 악惡의 제거 424
6. 이상理想의 실현방법: 성인聖人되는 방법 427

제23장 소옹邵雍
1. 소옹邵雍 선천역학先天易學의 일반 범주 431
2. 소옹邵雍의 선천범주先天範疇의 적용 433
3. 「관물편觀物篇」과 「관물외편觀物外篇」의 차이 438
4. 「관물외편觀物外篇」의 괘卦 440
5. 「관물외편觀物外篇」의 역易철학적 주제들 441

제24장 장재張載
1. 세계구성의 원질로서의 기氣와 태허太虛 및 만물萬物과의 관계 448
2. 기氣의 현상화現象化와 건곤乾坤 453
3. 세계 운동의 근본 원동력 - 대대관계對待關係의 상호 융화 작용 456
4. 기氣 작용상의 신화神化 458
5. 장재張載 철학의 ‘성性’ 문제 460

제25장 정호程顥
1. 정호程顥의 ‘성性’ 467
2. 성선性善의 근거로서의 ‘리理’ 472
3. 성즉리性卽理 또는 도즉성道卽性 476
4. 정호程顥의 수양론修養論 479
5. 정성定性 481

제26장 정이程頤
1. 정이程頤의 ‘성性’ 484
2. 정이程頤의 ‘리理’ 487
3. 리理와 성性의 선악善惡 문제와 선善의 회복 492
4. 정이程頤의 리理, 도道, 기氣의 관계 497

제27장 주희朱熹
1. 주희朱熹의 ‘태극즉리太極卽理’와 ‘리’理·‘기氣’의 선후先後 503
2. ‘리理’와 ‘기氣’의 동정動靜 506
3. 리일분수理一分殊 - 보편(일반)과 개별(특수) 507
4. 격물궁리格物窮理 509
5. 주희朱熹의[대학大學] 해석 510
6. 선지후행先知後行 514
7. 미발未發과 이발已發 515
8. 도심道心과 인심人心 517
9. 심통성정心統性情 518
10. 천명지성天命之性과 기질지성氣質之性 519
11. 주경함양主敬涵養 520

제28장 진량陳亮
1. 중국철학사 중의 ‘의義’와 ‘리利’의 문제 527
2. 진량陳亮의 ‘의리쌍행義理雙行’ 530
3. 진량陳亮과 주희朱熹의 ‘도道’에 관한 논쟁 535
4. 진량陳亮의 ‘왕패병용王霸並用’ 542

제29장 육구연陸九淵
1. 육구연陸九淵의 도덕주체로서의 ‘심心’·‘본심本心’ 548
2. ‘본심本心’의 상실 553
3. 육구연陸九淵에 있어서 도덕원리로서의 ‘리理’ 555
4. ‘심즉리心卽理’의 의의 558
5. ‘본심本心’의 회복 561
6. 아호鵝湖의 만남(鵝湖之會) 563
7. ‘무극無極’과 ‘태극太極’에 대한 논쟁 564

제30장 왕수인王守仁
1. 격물格物의 문제 570
2. 지행합일知行合一 574
3. ‘치지致知’와 ‘치양지致良知’ 577


4. 사구교四句敎 580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