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상징주의 시인 랭보(Arthur Rimbaud, 1854∼1891)는 생전에 문학적으로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20세기 초반 문학과 예술의 모든 영역에서 과거와 전통을 뛰어넘어 현대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두드러지면서 그의 시 세계와 작품들은 새롭게 발견되었다. 특히 초현실주의 같은 과거, 또 이성이나 합리 등과 단절하고 새로운 인식과 사고에 기초한 전위적이고 현대적인 미학을 추구하는 시인과 예술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시인이 삶과 문학에서 보여 준 실존적, 미학적 양상은 소위 모더니티 문학의 개척자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따라서 랭보는 현대 시문학과 예술의 의미 있는 출발점으로서 주요한 시학을 구축하고, 그 미학적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랭보의 시 세계에서 지속적인 시적 경향과 명확한 시 이론을 뚜렷하게 파악하는 것은 그리 쉽지 않다. 이는 랭보가 살아간 격동적이고 찰나적인 시인의 모습과 그 사이 문학적이고 실존적인 삶의 격렬하면서도 부단한 변화와 함께 시인의 문학 세계가 내포하는 시 의미의 난해성에도 그 원인이 있다. 그러나 이렇게 시 세계와 그 의미, 그리고 시 특성에 접근이 쉽지 않다는 것이 바로 랭보의 시 세계가 가지는 다른 얼굴이다. 말하자면 랭보의 시 세계는 ‘무질서의 질서(ordre de désordre)’라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랭보의 초기 시는 주로 목가적이고 이상적인 자연을 노래하며 ‘이상(l’idéal)’과 ‘조화(l’harmonie)’에 대한 전형적인 ‘비전(Vision)’의 세계를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고전적 또는 파르나스적 경향의 시인에서 벗어나 랭보 고유의 역동성과 상상력을 특징으로 하는 그의 시적 세계를 최초로 보여 주는 작품으로 〈취한 배(Le Bateau ivre)〉를 들 수 있다. 랭보의 이러한 시적 방향 전환에서 아주 중요한 일명 ‘투시자(Voyant) 이론’을 포함하고 있는 ‘투시자의 편지(lettre du voyant)’를 보면, 이 편지에서 랭보는 자신의 시 세계의 근본이 되는 ‘투시자의 이론’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시인이 되기를 원하는 사람의 첫 번째 연구는 자신에 대한 인식입니다, 완전한 인식요. 그는 자기 영혼을 탐색하고, 그것을 검사하고, 그것을 시험하고, 그것을 깨닫지요. 그가 그것을 알게 되는 순간부터, 그는 그것을 가꾸어야 합니다.
이렇게 철저한 자기 인식 아래 영혼을 가꾸고 계발함으로써 시인은 스스로 ‘투시자’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랭보는 이러한 자아 인식과 인식의 한계에 대한 고찰을 통해 시인의 역할을 탐구하며, 시인의 임무가 현실을 깨닫고, 새로운 의미를 찾아내며, 언어를 통해 이를 표현하는 것으로 생각했다. 그래서 랭보는 시가 개인의 내면세계와 경험을 탐구하는 수단임을 강조함으로써, 그의 시에서는 자아의 내면을 탐구하고, 이를 통해 개인적인 감정과 경험을 객관적이자 현대적으로 표현하는 데 큰 관심을 두게 된 것이다.
이런 투시자 이론은 이전의 작가들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예를 들면 미슐레나 발랑슈 또는 고티에 같은 작가들에게서 ‘투시자’는 선천적으로 타고난 재능이고 그래서 시인은 선택된 사람이라는 오르페우스 이미지이지만, 랭보에게는 위에서 보듯 철저한 자기 검증과 연구를 통해 이르는 노력의 결과다. 물론, 서구의 전통적 이미지인 구도자로서의 시인의 역할을 전면 부정하는 게 아니라, 그런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능력과 자신감을 얻기까지의 과정에서 이전 작가들과 다른 성격을 보이는 것이다. 랭보는 시인의 고전적 전형인 오르페우스 이미지에서 인간에 더 가까운, 프로메테우스(Prométhée) 이미지가 투영된 새로운 현대적 시인상을 정립하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