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과 사상으로 보는 세계 칼빈주의 교회사 전집’은 8-14권이 핵심서로, 세계 최초이며, 낸 때는 요셉과 스불론 전환기에 해당되니, 8-11권은 종말론을, 12-14권은 유대 인종 문제를 다룹니다. 1-7권은 아직 단일민족주의가 살아있던 당시 박근혜 대통령이 탄핵되던 때에 멜빌 교회론을 국내에 소개한 것이고, 15-21권은 전직(前職) 요셉으로서 필자가 2024 정교분리 스불론 시대에 내는 책입니다. 지난 8-11권 표지는 베냐민 지파 인물이었는데, 금번 12-14권 표지는 잇사갈 지파의 사상으로 정했습니다. 본서는 前천년설(2023 요셉期)이나 現천년설(2120 스불론期)보다 後천년주의에 서 있습니다. 멜빌리언들과 카라임 간 歷史를 본서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세계 칼빈주의 세계사 전집 구성
* 일러두기
1권. 칼빈의 못다 이룬 꿈, 앤드류 멜빌이 이루다! (1) : 학자 앤드류 멜빌과 스코틀랜드 제2치리서
2권. 칼빈의 못다 이룬 꿈, 앤드류 멜빌이 이루다! (2) : 시인 앤드류 멜빌과 데이비드 흄의 영국 연합
3권. 칼빈의 못다 이룬 꿈, 앤드류 멜빌이 이루다! (3) : 20세기 다윈주의 진화론과 세속주의 무신론 사회에 적응한 장로교회의 기원과 문제점 - 교회사적 접근으로 짚어본 부목사 제도
4권. 페트루스 라무스(Pierre de la Ramêe, 1515-1572)의 생애와 사상으로 본 서유럽 종교개혁 지형도 : 앤드류 멜빌과 로버트 롤록의 스코틀랜드 라무스주의를 중심으로
5권. 하버드 유니테리언주의의 약사, 1805-1861년 (A Short History of Harvard Unitarianism, 1805-1861)
6권.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 Kyrillos Loukaris, 그는 칼빈주의자였나?
7권. 아르미니우스(Jacobus Arminius)에게 앤드류 멜빌(A. Melville)이란? : 아르미니우스(Jakob Hermanszoon, 1560-1609)의 학생시절(-1587)에서 라무스(Ramus)와 베자(Beza)와의 관계로 본 멜빌(Andrew Melville, 1545-1622)과의 연관 정도 연구에 대한 소고(小考)
8권. 칼빈의 못다 이룬 꿈, 앤드류 멜빌이 이루다! (4) : 앤드류 멜빌의 실용성과 유대교 사상 그리고 천년설이 웨스트민스터 총회의 스코틀랜드 위원들 중 첫 대표단과 하트리브 집단(Hartlib Circle)의 존 듀리(John Durie, 1596-1680) 및 개혁파 정통주의와 모더니티
9권. 일본주의(Japanism)의 ‘서양 종교(Western Religion)’ 배척 사례 : 일본 민족주의의 ‘서양 종교’ 배척 사례로 본 한국 민족주의의 미래
10권. 칼빈의 못다 이룬 꿈, 앤드류 멜빌이 이루다! (5) : “내 나라는 이 세상에 속한 것이 아니니라(요 18:36 상)” - 교회정치관이 완성된 1590년대 스코틀랜드 장로회주의부터 1860년대 미국 장로회주의에 이르기까지 인물중심으로 본 세속정치관 발전사
11권. 칼빈과 앤드류 멜빌이 못다 이룬 꿈, 로버트 플레밍 주니어가 이뤘나? (1) : “역사주의적 개혁파 후천년설(Historical Reformed Post-Millennialism): 예수님은 언제 다시 오실까요?”
12권. 첫 프로테스탄트 청교도들인 카라이파 유대인들의 중세 최성기, 900-1100 (In a Short History of Karaism: A History of Medieval Karaism from the 10th century to the 12th century)
13권. 터키-칼빈주의자(Turco-Calvinist) 알리 우프키(Ali Ufkî, 1610-1675)의 생애와 사상 그리고 중근동 자본주의(Middle Eastern Capitalism)의 미래
14권. 칼빈과 앤드류 멜빌이 못다 이룬 꿈, 로버트 플레밍 주니어가 이뤘나? (2) : 1722년, 세계사에는 어떤 역사적 사건들이 있었기에 오늘날 근대 자본주의가 시작된 것일까요?
15권. 영국 공화국의 종말 : 리처드 크롬웰 집권기 264일, 무슨 일이 있었나?
16권. 칼빈과 앤드류 멜빌이 못다 이룬 꿈, 로버트 플레밍 주니어가 이뤘나? (3) : 앵글리칸 개혁파의 아우구스티누스주의적 후천년설 비판
17권. 주요 인물들로 본 미국 하버드 대학교의 신학 · 종교사 : 존 캘빈(John Calvin, 1509-1564), 앤드류 멜빌(Andrew Melville, 1545-1622), 존 하버드(John Harvard, 1607-1638), 앤드류스 노턴(Andrews Norton, 1786-1853), 랄프 왈도 에머슨(Ralph Waldo Emerson, 1803-1882), 맥카난(Dan McKanan), 리베라(Mayra Rivera Rivera), 월턴(Jonathan L. Walton), 라가브(Ahmed Ragab), 케인(Ousmane Oumar Kane), 홀란드(David F. Holland), 갸초(Janet Gyatso), 산체스(Michelle C. Sanchez) 등
18권. 일본인-유대인 공통선조설(Japanese-Jewish common ancestry theory)인 일유동조론(日猶同祖論)을 비판 및 보완하다 : 스코틀랜드인 일본 선교사였던 노르만 맥리오드(N. McLeod, fl. 1868-1889)의 왜(倭)왕 ‘단 지파 유대인’설(說)을 중심으로, 셈의 현손(玄孫)이자 에벨의 차자(次子)인 욕단(Joktan) 후손 문제 고찰까지
19권. 대한민국에 반유대주의자(anti-Zionist)가 많은 이유 : 요한계시록 14만4천에 나와 있지 않은 단 지파 문제를 중심으로
20권. 칼빈은 네스토리안 유대인인가? (Was John Calvin a Nestorian Jew?)
21권. 14만4천, 문명의 종결자들로 the final form of storytelling : 2300 유대-칼빈주의(Judeo-Calvinism), The End of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