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키노 신이치(牧野信一)는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와 더불어 이상이 동경하던 작가 중 한 사람이다. 이상은 김기림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다음과 같이 마키노의 이름을 언급했다.
이것은 참 濟度할 수 없는 悲劇이오! 芥川나 牧野 같은 사람들이 맛보았을 성싶은 最後 한 刹那의 心境은 나 亦 어느 瞬間 電光같이 짧게 그러나 참 똑똑하게 맛보는 것이 이즈음 한두 번이 아니오(1936년).
마키노가 죽은 다음 날인 3월 25일 일본의 일간지들은 10년 전 세간을 떠들썩하게 했던 아쿠타가와의 자살을 회고했다. 예술과 생활의 틈바구니에 끼여 불안과 공포를 극복하지 못하고, 신경증을 앓다가 죽은 창백한 예술가의 초상으로 마키노의 죽음도 일반화되었다. 당시 식민지 조선에 있던 이상은 마키노의 죽음에 큰 충격을 받았다. 그 몇 개월 후 9월에 <날개>를 발표했으며, 10월에는 도쿄로 건너가 다음 해 4월 폐결핵으로 죽음을 맞는다. 위의 편지는 그해 말경 일본에서 쓴 것으로 추정된다.
이 책에 번역한 여섯 편의 단편은 모두 작가 자신과 가족사를 그린 일명 ‘사소설(私小說)’이다. 동시에 죽음으로 한 걸음씩 다가가고 있는 젊은 작가의 내면 풍경을 담은 애처로운 파노라마이기도 하다. 사실화에서 환상화로, 또 환상적 사실화로 가는 색채 변화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작품을 다 읽고 나면 독자들도 마키노만큼 자신의 내면을 충실하게 묘출한 작가도 드물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될 것이다. 역자는 바로 이 점에 이상의 공감과 동경이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전기는 신변잡기적 작품을 쓰던 시기다. <손톱>을 비롯해 <아비를 파는 자식>(1924), <악의 동의어>(1925)가 해당한다. 마키노 문학 중 가장 특징적인 것으로 논의되는 것은 ‘육친 혐오’의 적나라한 표출이다. 그는 자신에 대해서도 물론이지만 부모나 아내에 대해서도 가차 없다. <아비를 파는 자식>은 아버지에 대해, <악의 동의어>는 특히 어머니에게 칼끝이 향하지만, 그 칼날은 연기용이다. 실은 스스로를 겨누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중기는 소위 ‘그리스 마키노’라 불리던 의외로 밝은 환상성의 세계다. 낭만적인 환상소설, 고대 그리스나 중세 유럽의 고전에서 제재를 취한 작풍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는 <엘리베이터와 달빛>(1930)에 보이는 환상성과 명랑성이 바로 그것이다. 그 앞에 놓여 있는 <F마을에서의 봄>(1926)은 마키노가 신문사 기자 생활을 청산하고 귀향해 쓴 작품으로, 전기의 사실성과 환상성이 어우러진 과도기적 작품이다.
만년 마키노는 다시 전기의 사소설적 작풍으로 회귀한다. 대신 전기의 가벼운 신변잡기적 토로는 지양되고, 신경증적 색채가 강해진다. 죽음을 현실적으로 응시하기 시작한 것이다. <박제>(1934)가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데, 어머니와 화해가 이루어지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