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화법학회 소속 연구자들이 화법을 가르치고 배우는 데 필요한 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연구를 집대성하여 책으로 엮었다. 특히 국내외 화법 분야의 선행 연구를 고찰하고 우리나라의 의사소통 문화와 교육 환경을 고려하여 연구자가 직접 개발한 화법 교수·학습 모형을 소개하였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1부 보편적 의사소통을 위한 화법은 상호 관계적 말하기ㆍ듣기 교수ㆍ학습 모형, 맥락의 인식 과정을 고려한 듣기ㆍ말하기 교수ㆍ학습 모형, 상호주관성 형성의 과제 중심 수업 모형, ALACT 모형을 적용한 반성적 말하기 모형, 말하기 불안 해소 교수ㆍ학습 모형, 면담 교육 모형을 담았다.
2부 대인관계를 위한 대화 화법은 공감 순환 대화 교육 모형, 배려적 화법 교육 모형, 경험 대화 교육 모형, 대화 성찰을 위한 수행학습 모형, 대화 메타 분석 화법 교수ㆍ학습 모형, 문화 간 의사소통을 위한 말하기 교육 모형, 대화적 듣기 교육 모형, 사과 수용 중심의 사과 표현 모형을 담았다.
3부 의사 결정을 위한 소집단 화법은 가치 논제 토론 수업 모형, 토의민주주의 교육 토론 모형, 데이터 기반 토론 수업 모형, 공감 기반 설득 화법 교육 모형, 상호 대안 조정을 위한 협상 교육 모형, 호혜적 협상 화법 교육 모형, 틀 유형을 활용한 협상 교육 모형을 담았다.
4부 사고력 계발과 학습을 위한 화법은 학습 대화 교육 모형, 사고 다양화와 문제 해결을 위한 육색 사고 모자 활용 화법 교육 모형, 학습 목적의 대화적 발표 교육 모형, 텍스트 간 환언 중심 설명 화법 교수ㆍ학습 모형, 청중을 고려한 설득적 발표 수업 모형을 담았다.
각 장은 교수·학습 모형이라는 책의 제목에 걸맞게 각 모형의 이론적 기반을 다룬 후, 해당 모형을 소개하고,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안내한다. 화법 교수·학습 주제를 탐구하는 연구자들에게는 중요한 선행 연구가 될 터이고, 화법 교육을 실천하는 교실 현장에는 실제적인 교수·학습 지침이 될 것이다. 한국화법학회 연구자가 뜻을 모아 발간한 이 책이 화법 교육 이론의 발전과 교육 현장의 실천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