ㆍ 디지털 생태계 속 미디어 기업의 생존 전략
모바일 기기 확산, 5G 인터넷 보급, 인공지능, 빅데이터 딥러닝 등 4차 산업혁명의 기술과 맞물려 미디어 산업 환경 변화의 속도가 더욱 빨라졌다. AR(증강현실), VR(가상현실), 인공지능, IOT(사물인터넷) 등의 영향으로 큰 변화를 겪고 있다. 디지털 전환의 흐름이 가속하면서 미디어 산업과 통신산업 간의 경계가 흐려졌고 새로운 플랫폼의 등장과 넷플릭스나 디즈니플러스와 같은 대형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의 확산으로 콘텐츠 지식재산(IP) 확보 경쟁도 심화되었다.
이렇게 격변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미디어 조직이 생존과 성장을 도모하려면 무엇이 필요한지 미디어 경영의 핵심 이론부터 주요 미디어 기업의 사례와 현황 벤치마킹까지 자세히 담았다. 합리적 의사 결정 및 전략 도출을 위해 미래 정보 수집과 시나리오 분석 및 시뮬레이션 필요하다. 또한 미디어 기업이 기술 변화에 도태되지 않으려면 기존 주력 산업에서 지속적인 성장과 개선을 추구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찾는 양손잡이 경영이 필요하다.
ㆍ 최신 트랜드와 신 기술에 맞춘 새 미디어 경영론 교과서
『미디어 경영론 5.0』은 총 3부로 구성하여 기초부터 각론까지 12장으로 구성되었다. 제1부에서는 미디어 경영 환경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적인 지식을 제공한다.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이상우 교수가 미디어 산업과 경영에 대한 개괄을 제시하고, 경희대학교 미디어학과 이상원 교수가 미디어 시장의 융합과 경쟁에 대해 설명한다. 미디어 상품과 서비스에 대해서는 경기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홍성철 교수가, 미디어 경영의 경제학적 기초에 대해서는 성균관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장병희 교수가 담당했다. 제1부를 통해 기초적인 이해와 지식을 습득했다면, 제2부에서는 미디어 경영의 방향성을 다루는 경영 전략에 대해 학습한다. 수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이문행 교수가 미디어 기업의 사업 전략에 대해 설명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박주연 교수가 미디어 기업의 인수·합병과 글로벌화를 다룬다. 독자들은 제2부의 학습을 통해 미디어 기업의 전략에 대한 큰 그림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3부에서는 미디어 기업이 수행하는 세부적인 기능들을 하나씩 설명한다. 미디어 기업의 조직 및 인적자원 관리에 대해 순천향대학교 글로벌문화산업학과 곽규태 교수가 소개하며, 미디어 기업의 재무관리에 대해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김성철 교수가 설명한다. 미디어 기업의 마케팅 관리에 대해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정윤혁 교수가 정리하며, 연세대학교 산업공학과 모정훈 교수가 미디어 기업의 새로운 기술 경영과 관련된 이슈들을 설명한다. 디지털 전환과 커머스 간 연계에 대해 KAIST 경영대학 김민기 교수가 소개하며, ESG를 기반으로 미디어 기업의 지속가능 경영의 내용을 서울시립대학교 경영대학 송지희 교수가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