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움에는 끝이 없고, 세상에는 신비로운 것들이 너무 많으니까!
몰라도 괜찮지만 배우면 훨씬 더 교양 있는 ‘일상 과학’의 세계로 들어가 보자
내가 배운 물리, 화학, 생물은 정말 어려운 것이었을까? 그렇게나 풀기 싫었던 미적분과 기하학은 대체 왜 배워야 했던 걸까. 일상에서 써먹을 수 있는 날이 오기는 할까? 그런 의문을 마음 어디엔가 품고 있었다면, ‘하루 한 권 시리즈’를 펼쳐 보자.
내일을 바꾸는 단 한 권의 지식, 하루 한 권 시리즈!
하루 한 권 시리즈는 우리가 일상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과학이 갖춘 실용적인 모습을 파헤치는 과학 교양 도서다. 과학을 잘 모르는 사람들도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도판, 표, 친절한 설명을 통해 최대한 쉽게 내용을 담았다. 예컨대 어떻게 하면 훨씬 더 과학적으로 노력할 수 있는지, 어제 사 온 씨앗을 가장 빨리 싹틔우는 방법, 새집 증후군은 왜 생기는지까지. 일상에서 마주할 법할 부분들을 과학적으로 설명했다. 어렵거나 이해할 수 없는 내용이 아니라 우리 삶과 밀착된 문제를 과학을 통해 풀어내고, 그것들을 어떻게 바라보면 좋을지 함께 고민하는 책이다. 배움에는 끝이 없고 세상에는 너무 신기한 것들이 많으니까. 우리가 살아가는 일상의 ‘어떤’ 현상들을 과학의 눈으로 분석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것도 아주 가볍게, 책 한 권으로 말이다. 그리고 그러한 시각을 가진다는 건, 우리가 살아감에 있어 생존의 무기 하나를 더 가지게 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무기는 우리가 어떤 현상에 지혜롭게 대처하고 싶을 때 활용할 수 있는 힘이 되어줄 것이다.
다양한 주제, 내 취향에 맞는 카테고리를 찾아보자!
책은 한 손에 가볍게, 지식은 머릿속 깊숙이! 언제 어디서나 가볍게 읽을 수 있도록 한 손에 들어오는 작은 크기로 만들었다. 각각의 주제마다 검증된 집필진이 써 내려가는 과학의 세계를 탐험하다 보면, 어느 순간 숫자와 지식으로 바라보는 세계에 푹 빠지게 될지도 모른다. 지하철이나 버스, 쉬는 시간에 조금씩 읽을 수 있도록 아주 쉽고 재미있는 내용으로만 구성했다. 세상을 분석적으로 바라보는 나의 모습을 기대해도 좋다. 주제 역시 물리, 화학, 생물학, 지구과학, 수학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구성되어 있어 내 취향에 맞는 책으로만 꺼내 읽기에도 적당하다. 나는 어떻게 하면 천재가 되어 일류의 세계로 향할 수 있는지… 사람이 만들어 낸 ‘진짜 광기’의 화학 물질이 무엇인지. 이런 뜬금없는 질문도 좋다. 우리가 단순히 감각하는 세상 말고, 세상의 보이지 않는 현상까지도 과학적으로 풀어내 보자. 과학은 이론이 아니라 실전이니까!
참으로 기묘한 생명체, 채소의 삶을 이해하는 시간
우리는 ‘허브’라고 하면 보통 향신료를 떠올린다. 그러나 허브는 원래 향신료가 아닌 약용 식물을 일컫던 말이었다. 그러니 우리 몸에 좋다는 ‘채소’는 거의 다 이 허브의 범주에 속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길에 늘어선 가게나, 논, 밭에서 알록달록하게 자리 잡은 채소를 본 적 있을 것이다. 맛도, 모양도, 색깔도 개성이 넘친다. 그런데 이 채소들이 사실은 다 사연을 가지고 있다고 하면 믿을까?
여기에는 좋은 예시들이 있다. 우리가 잘 아는 핼러윈의 아이콘, ‘잭 오 랜턴’이라고 부르는 호박이 사실 호박이 아니라 순무였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이 있을까? 그리고 치커리는 아주 유명한 사랑의 묘약이어서, 그 씨앗을 짝사랑하는 상대에게 먹이면 사랑이 이루어지는 ‘효능’이 있었다고 한다. 또 미국의 원주민인 테와족은 편도샘이 부었을 때 옥수수 열매를 벽난로 앞에 두고 거기에 발을 올려 데굴데굴 굴렸다고 한다. 그렇게 하면 편도의 부기가 가라앉는다고 믿었다. ABC 주스의 B로 유명한 비트는 사실 항암 효과가 있고, 특정한 종의 야생 상추는 아편이나 코카인 대신 사용하는 ‘마약’이었다는 사실!
이렇게 매력이 넘치는 채소의 삶을 알고, 그들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이해해 보기를 바란다. 책 중간중간에 등장하는 ‘가드닝’에 대한 꿀팁은 덤이다. 채소의 이야기와 삶을 통해 우리의 내일을 조금 더 흥미롭고 건강하게 만들어 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