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란을 바로잡은 통일 왕조 수나라의 역사서
≪수서≫는 제기(帝紀) 5권, 지(志) 30권, 열전(列傳) 50권, 총 85권으로 되어 있다. 수(隋)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기전체(紀傳體) 사서(史書)로, ≪사기(史記)≫·≪한서(漢書)≫ 등과 함께 중국의 정사인 24사(史) 중 하나로 꼽힌다. 수나라는 중국 역사상 가장 혼란했던 위진남북조(魏晋南北朝) 시기에 종지부를 찍은 통일 왕조다. 수나라는 폭군의 대명사로 알려진 양제(煬帝), 남과 북의 교류를 촉진한 대운하, 네 차례에 걸친 고구려와의 전쟁, 을지문덕의 살수대첩으로 우리에게도 잘 알려져 있다. 위진남북조의 혼란한 시기를 통일한 대제국 수나라는 581년 문제(文帝) 양견(楊堅)의 건국부터 618년 양제 양광(楊廣)이 멸망하기까지 불과 37년 만에 역사에서 사라졌다. 수나라의 멸망은 진시황(秦始皇)의 진(秦)나라와 유사하다. 2대에서 멸망했다는 점, 멸망한 후 한나라와 당나라라는 강한 왕조가 탄생했다는 점, 오랜 기간 이어진 난세를 통일했다는 점 등이 그렇다. 대제국을 형성했던 왕조의 흥망성쇠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많은 흥미로운 내용과 교훈을 제공한다. 여기에 수나라는 고구려와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수서≫를 읽는 것은 이처럼 흥망과 치란의 교훈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구려 역사에 대해서도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율력지>의 구성과 내용
≪수서≫ <율력지>는 ≪수서≫에 수록된 십지(十志) 중의 세 번째 편이다. 본지는 상·중·하 세 편으로 나누어져 있고, ≪수서≫에서 권16∼권18에 수록되어 있다.
<율력지>는 〈율지〉와 〈역지〉로 나뉘는데, 〈율지〉에서는 악률과 도량형 제도를 다룬다. 양(梁)·진(陳)·북주(北周)·북제(北齊)·수나라 다섯 왕조의 율지다. 악률과 도량형 제도의 의의와 그 시대적 변천 과정에 이어 ≪한서(漢書)≫ <율력지>의 체제를 따라 ‘수를 갖춤[備數]’, ‘소리를 조화롭게 함[和聲]’, ‘율관 둘레에 기장을 넣음[律官圍容黍]’, ‘절기를 헤아림[候氣]’, ‘율직일(律直日)’, ‘길이를 살핌[審度]’, ‘부피를 재는 가량(嘉量)’, ‘무게를 다는 저울대와 저울추[衡權]’ 여덟 장으로 나누어서 각각의 개념과 원리 및 시대적 변화양상을 기술했다. 가령 ‘수를 갖춤[備數]’ 장에서는 밭두둑의 경계를 구하는 방법, 세금을 계산하는 방법, 흙의 부피를 구하는 방법, 직삼각형의 각 변의 길이를 구하는 방법 등을 설명하면서 원주율 값을 3.1415927까지 구한 것을 소개한다.
〈역지〉에서는 양·진·북주·북제·수나라 다섯 왕조의 역지로 주로 역법상의 논쟁을 다루었다. 중편은 중국 고대의 신화시대부터 한(漢)에 이르러 <사분력(四分曆)>이 제정되기까지의 역법의 성립 과정, 이어 남북조 시대의 역법의 개력(改曆)과 논쟁 등을 간략하게 언급했다. 특히 양·진·북위(北魏)ㆍ북제·북주·및 수 초기에 사용한 역법의 연혁을 다루었다. 이어 수 개황(開皇) 4년(584년)에 공포한 <개황력(開皇曆)> 성립까지의 연혁과 내용을 서술했다. 계속해서 <개황력> 이후 반포된 역법인 <대업력(大業曆)>에 대한 계산법을 상세하게 기록해 놓았다. 하편은 <황극력>이 만들어지기까지의 역법 논쟁, <황극력>의 계산법 및 각종 상수를 기록해 놓았다. 비록 채택되지 않은 역법이었지만, 당에 많은 영향을 미쳤던 <황극력>의 계산법 등을 상세하게 기록했다.
ㆍ 이 책은 중화서국(中華書局)의 ≪이십사사(二十四史)≫ 교점본 중 ≪수서(隋書)≫와 한어대사전출판사본(漢語大詞典出版社本) ≪이십사사전역(二十四史全譯)≫ 중의 ≪수서(隋書)≫를 텍스트로 삼아 번역했다.
ㆍ 이 책은 ≪수서(隋書)≫ 권16∼권18에 해당하는 <율력지>를 번역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