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은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이어온 문화민족이다. 가정생활을 중심으로 한 문화전수와 토착화는 슬기로운 삶의 역사적 산물이며, 각 시대와 지역에 따라 독특한 형식을 갖는 생활문화로 자리잡았다. 한국 가정의 생활문화는 가족생활을 비롯하여 의식주생활, 소비 및 여가생활, 의례생활 등으로 이루어지며, 한국인의 정체성을 담고 있다.
한국 가정의 생활문화는 한류문화의 확산과 더불어 외국인들에게 높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데, 시대적인 변화과정 속에서도 생활문화의 요소들은 한국의 가정에서 오랫동안 유지되고 계승되어야 할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이 책은 체계론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한국 가정의 생활문화에 대하여 세부영역별로 전통생활문화와 현대생활문화를 살펴보고, 앞으로 창조 발전되어야 할 생활문화의 지향성을 수록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발행된 생활문화 관련 연구와 저서, 통계 및 연구기관의 자료, 관련법규와 복지행정서비스 자료 등을 응용적 실천적 견지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생활문화의 변화양상을 담았다.
필자는 한국생활문화를 연구하는 전공교수로서, 한국 가정의 생활문화에 대한 전문서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어, 그동안 진행해 왔던 대학 강의내용과 연구결과들을 근간으로 이 책을 집필하였고, 이번 개정은 사회적으로 큰 변화를 겪고, 많은 제도가 개편되었으므로 이를 반영하여 보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