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2024 도해 한국건축사 기본이론

2024 도해 한국건축사 기본이론

  • 이정열
  • |
  • 법률저널
  • |
  • 2023-07-20 출간
  • |
  • 424페이지
  • |
  • 190 X 260mm
  • |
  • ISBN 9788963368269
판매가

39,000원

즉시할인가

35,1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5,1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新訂 5版(2024) 머리말

 

지난 新訂 4版의 조기 품절에 대해 죄송한 마음과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본 新訂 5版은 기존 교재의 오류를 바로 잡아 내용을 수정 내지 보충하였습니다.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 여러분, 부디 소망을 이루기를 기원합니다.

 

2023년 7월

이 정 열

목차

chap.Ⅰ 한국건축사 기본이론 1

제1강. 오리엔테이션 및 시대개요 3
01. 한국건축사 교과서 소개 5
02. 오리엔테이션 6
03. 한국건축사 개요 및 시대 분류 7
【시대의 분류】 8
04. 문화재 분포도 9

제2강. 도성건축의 개요 11
01 도성건축의 정의 13
02. 도성건축의 배경이론 15

제3강. 시대별 도성 건축 19
【삼국의 도성】 22
01. 태동기의 도성 23
【고구려의 도성】 24
02. 고대사회의 도성: 고구려 25
【백제의 도성】 28
[임류각 지반(지정)] 28
02. 고대사회의 도성: 백제 29
[부엽공법(敷葉工法)]: 나뭇가지깔기 공법 30
【신라의 도성】 32
02. 고대사회의 도성: 신라 33
02. 고대사회의 도성: 발해 35
03. 중세사회의 도성: 고려 37

제4강. 고대사회의 궁궐건축 41
01. 궁궐의 정의 및 조형 원리 45
02. 고구려의 궁궐 47
03. 백제의 궁궐 47
[시대별 건축 주관관청] 48
04. 고신라~통일신라의 궁궐 49
05. 발해의 궁궐 51

제5강. 중세사회의 궁궐건축 53
01. 고려시대의 궁궐 57
02. 조선시대의 궁궐 59
[경회루] 60
[근정문] 60
[강녕전](침전) 61
[사정전, 천추전, 만춘전](편전) 61
【편전의 구조】 67
【조선 5대 궁궐의 특징】 68

제6~7강. 고대사회의 불교건축 71
01. 고대삼국의 불교 수용 73
02. 고구려의 불교 건축사 75
[아스카지(飛鳥寺, 비조사)] 76
[와적기단] 78
03. 백제의 불교 건축사 79
04. 고신라의 불교 건축사 85
05. 통일신라 불교 건축사의 영향 89
06. 통일신라(7~8C, 신라중대)의 불교 건축사 91
【불국사 석축의 종류 및 특징】 94
【불국사 배치도】 96
[불국사 3층석탑] 98
[탑신의 통재화 경향] 98
【석탑의 부재 명칭】 99
【통일신라 석탑의 변화】 102
07. 통일신라(9~10C, 신라하대)의 불교 건축사 105
[발해 제1,2사지의 평면] 108
[발해 탑파] 108
08. 발해의 불교 건축사 109

제8강. 중세/근세 사회의 불교건축 111
01. 고려전기의 불교 건축사 115
[고려사찰의 입지변천] 118
02. 고려후기의 불교 건축사 121
[조선의 시대구분] 122
[사찰의 삼중문제도] 122
[불전의 명칭] 122
[무위사 극락전] 122
03. 조선초기의 불교 건축사 123
[사찰의 장식화 경향] 124
04. 조선중기의 불교 건축사 125
[감주/이주, 충량] 126
05. 조선후기의 불교 건축사 127
【장식기와】 128
【잡상】 128

제9강. 관아/객사/문묘/향교 건축 129
01. 관아의 정의 133
02. 고대시대의 관아 건축 133
03. 중세시대의 관아 건축 137
[읍성의 구조] 138
[18C 장시의 발달] 138
[외국사신 숙소(객사)] [중국사신 숙소(객사)] 140
04. 객사 건축 141
【서울 문묘】 142
05. 문묘 건축 143
[향교와 서원의 배치구조] 144
[나주향교] 144
06. 향교 건축 145
[강릉향교] 146
[밀양향교] [대구향교] 146

제10강. 관방건축 147
01. 관방 건축의 규모 및 분포 151
02. 관방 건축의 태동 151
03. 고대시대의 관방 건축 153
04. 중세시대의 관방 건축 157
【한성(한양)】 158
【수원 화성】 158
【수원 화성의 옹성】 160
【봉수】(2020년도 한국건축구조 문제3 관련) 161
【주요 성곽의 특징】 162
05. 산성의 입지조건 163
【시대별 건축장인의 주체 변화】 164
【시대별 건축장인 우두머리의 명칭 및 위상 변화】 164

제11강. 서원건축 165
[백운동서원(소수서원)] 168
[남계서원] 168
01. 서원의 유래 및 배경 169
02. 서원 건축의 원리 171
[도산서원] 172
[옥산서원] [필암서원] 172
03.서원 건축의 사례 173
[주자의 묘침제] 174
[도동서원 중정당] 174
[유네스코 세계유산(한국의 서원)] 176

제12강. 주거건축(태동기~고대) 177
01. 태동기의 주거 건축 181
【난방방식의 변천】 184
02. 고대건축기의 주거 건축 191

제13강. 주거건축(중세) 195
01. 고려시대 주거 건축 199
02. 조선시대 주거 건축 201
[형국론] 202
[양동 서백당] [하회마을 양진당] 202

제14강. 주거건축(중세) 205
[씨족마을의 배치] 208
[주택의 구조] 208
01. 조선시대 주거 건축(~계속) 209
【창덕궁 낙선재 일원(Nakseonjae Complex)】 212
【창덕궁 연경당】 214
【양택삼요】 218
【지역별 민가의 구조】 220
【제주 민가】 220
【제주 민가의 특징】 221

제15강. 능/원/묘, 사직, 정원 건축 225
01. 능/원/묘 229
【고대사회의 무덤】 230
[조선왕릉의 구조] 234
[정자각] 236
【조선왕릉의 특징과 종류】 238
【종묘 영녕전】 【종묘 정전】 242, 243
02. 사직 245
[차경(借景)] 246
[누정의 경관처리 기법] 246
[안압지]임해전지(별궁,동궁:왕자거처) 246
03. 정원 건축 247
【연지와 중도】 248

제16강. 고구려 고분 249
01. 고구려 고분 사례 252
02. 고구려 고분의 비교 분석 265

제17강. 근대건축 267
01. 개화기의 근대 건축(1876~1905) 271
[기기국 번사창] 276
[덕수궁내 건물] 276
[조적기법] 278
02. 한일합방 전후의 근대 건축(1906~1925) 279
03. 식민 지배하의 근대 건축(1923~1945) 287
【일제강점기의 근대건축, 교육기관, 건축잡지】 288
【한국의 근대 건축가와 근대 건축물】 290
【일제강점기의 근대건축】 291

chap.Ⅱ 기타 295

제1강. 목조건물의 부재명칭 297
01. 도리집의 부재 명칭 300
02. 익공 가구의 부재 명칭 304
03. 주심포 가구의 부재 명칭 304
04. 다포 가구의 부재 명칭 305

제2강. 목조건물의 특징 303
01. 고려 시대 310
[봉정사극락전, 부석사무량수전, 수덕사대웅전의 비교] 314
02. 조선 초기 316
03. 조선 중기 320
04. 조선 후기 323
05. 기타 중요사항 325

제3강. 단청 327
01. 단청의 개요 330
02. 단청의 역사 331
03. 단청의 주체 333
04. 단청의 종류 333
05. 단청의 색상 336
06. 단청의 시공 순서 337

제4강. 기타(1) 339
01. 척도(용척, scale) 342
02. 통일신라 탑 344
[의성 탑리(리) 5층 모전석탑] 344
[통일신라 정혜사지 13층석탑] 345
03. 고려 탑 346
[신라계 석탑: 개심사지 5층석탑] 346
[백제계 석탑] 347
[절충형 석탑] 347
04. 첨성대 348
05. 주심포계의 부재명칭 350
06. 다포계의 부재명칭 351
07. 익공계의 부재명칭 352
08. 포의 조립 353
09. 깍기기법(치목기법) 354
10. 쌍창의 구조 356
11. 주두의 변천 356
12. 축성방법(토성) 357
13. 외기도리 357
14. 익공 358

제5강. 기타(2) 361
01. 강회피기 364
02. 목재연륜연대측정법 365
03. 귀솟음 366
04. 안쏠림 367
05. 주장첨차 368
06. 박공과 서까래의 결구 368
07. 회첨 369
08. 절병통(모임지붕) 370
09. 양성바름 371
10. 초가지붕 371
11. 너와지붕 372
12. 쪽매이음 372
13. 계자난간 373
14. 목조계단 374
15. 헌함(난간마루) 374
16. 기둥의 종류 375
17. 평사량가 375

제6강. 고식(古式)의 정리 377

chap.Ⅲ 익공구조 399

01. 익공구조의 시공 401
02. 부재의 결구 및 사면도 409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