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이차전지(LFP, 리튬이온, 전고체)와 4대 핵심소재 기술개발 동향과 시장 전망

이차전지(LFP, 리튬이온, 전고체)와 4대 핵심소재 기술개발 동향과 시장 전망

  • IRS글로벌
  • |
  • 아이알에스글로벌
  • |
  • 2023-07-25 출간
  • |
  • 660페이지
  • |
  • 준비중
  • |
  • ISBN 9791190870634
판매가

480,000원

즉시할인가

432,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32,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이차전지(LFP, 리튬이온, 전고체)와 4대 핵심소재 기술개발 동향과 시장 전망




Ⅰ. 이차전지 및 4대 핵심소재 기술 동향과 시장 전망

1. 이차전지와 핵심 소재 개발 동향과 시장 전망
1-1. 리튬이온전지의 개요
1) 개념
2) 원리 및 구조
3) 소재별 주요 동향
(1) 양극재
(2) 음극재
(3) 분리막
(4) 전해질
(5) 도전재
(6) 바인더
4) 생산 공정
(1) 전극(극판) 공정 (Electrode Process)
(2) 조립 공정 (Electrode Process)
(3) 화성 공정 (Formation Process)
(4) 기타 공정
5) 장애 요소
1-2. 국내외 리튬이온전지 시장 동향과 전망
1) 글로벌 이차전지 시장 동향과 전망
(1) 용도별 시장규모 및 전망
(2) 종류별 시장규모 전망
(3) 국가별 시장규모 전망
(4) 리튬이온전지 가격 동향
2) 이차전지 소재별 시장 동향과 전망
(1) 소재별 시장규모 및 전망
(2) 양극재 분야 시장 점유율과 서플라이체인
(3) 음극재 분야 시장 점유율과 서플라이체인
(4) 분리막 분야 시장 점유율과 서플라이체인
(5) 전해액 분야 시장 점유율과 서플라이체인
(6) 도전재 분야 시장 점유율과 서플라이체인
(7) 바인더 분야 시장 점유율과 서플라이체인
3) 국내 이차전지 산업 이슈
(1) 이차전지산업 종합경쟁력
(2) 배터리 제조사 및 완성차 기업 간 주요 합작 사례
4) 국내 이차전지 서플라이체인
(1) LG에너지솔루션
(2) SK이노베이션(SK온)
(3) 삼성SDI
1-3. 이차전지 관련 광물 동향
1) 세계 배터리 광물 시황
(1) 배터리 광물 시장 동향
(2) 베이스 광물 시장 동향
2) 중국 배터리 광물 시황
(1) 고순도 니켈 생산국 러시아
(2) 광물 가격 인상으로 인한 중국 EV 기업의 가격 인상
(3) 배터리 광물 자원 확보
3) 완성차 업계와 주요국들의 대응 동향
(1) 자동차 OEM 기업들의 전기차(EV) 배터리에 대한 광물 자원 확보
(2) 중국, 전기차(EV) 판매 증가와 레어어스 산업의 통합
(3) 일본, 경제 안전 보장 추진법
(4) 미국, 강력한 공급체인 강화 추진
(5) 중남미, 좌파 정권의 전략적 광물 자원의 관리
(6) 인도네시아 광물 정책
(7) 아프리카 국가들의 광산 사업 분쟁
4) 주요 배터리용 광물 가격 및 국내 업체 동향
(1) 배터리용 광물 가격
(2) 국내 업체 동향

2. 주요 이차전지별 연구개발 현황과 주요국별 비교
2-1. 주요 이차전지별 연구개발 동향
1) 리튬이온 전지
2) 리튬 금속 전지
3)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 전지
4) 리튬 유황 전지
5) 리튬 공기 전지
6) 리튬 전고체 전지
7) 그 밖의 캐리어를 사용하는 전지
2-2. 이차전지별 주목할 만한 동향
1) 전지별 최근 동향
(1) 리튬이온 전지
(2) 리튬금속 전지
(3) 전고체 전지
(4) 그 밖의 전지
2) 주요국별 주목할 만한 프로젝트
2-3. 과학 기술적 향후 과제
2-4. 주요국별 기술개발 현황 비교
1) 중국
(1) 기초 연구
(2) 응용 연구ㆍ개발
2) 일본
(1) 기초 연구
(2) 응용 연구ㆍ개발
3) 미국
(1) 기초 연구
(2) 응용 연구ㆍ개발
4) 유럽
(1) 기초 연구
(2) 응용 연구ㆍ개발
5) 한국
(1) 기초 연구
(2) 응용 연구ㆍ개발

Ⅱ. 리튬인산철(LFP)ㆍ전고체ㆍ폐배터리 활용의 기술 트렌드와 향후 전망

1. LFP 배터리 기술개발 동향과 시장 전망
1-1. LFP 배터리의 기술 개요
1) 리튬인산철계의 특징
(1) 리튬이온 전지의 구조
(2) 리튬인산철(LFP) 개념
(3) LFP 배터리의 생산원가 구조
2) 삼원계(NMC) 및 니켈산 리튬(NCA)과의 차이
(1) 결정 구조
(2) 작동 전압
(3) 희소성
3) 리튬인산철계의 장단점
4) 에너지밀도
(1) 리튬 인산철(LFP) 전지
(2) 리튬 티탄산(LTO) 전지
(3) 리튬 코발트 산화물(LCO) 전지
(4) 리튬 니켈 망간 코발트 산화물(NMC) 전지
1-2. 글로벌 시장 동향과 전망
1) 글로벌 시장 전망
2) LFP 배터리의 점유율 확대
(1) LFP 배터리 시장 이력
(2) LFP 배터리 탑재가 증가하는 이유
(3) EV 배터리 시장 예측
3) EV용 배터리의 양극재 시장 : NMC vs LFP
(1) 배터리셀 비용 비교
(2) 배터리의 공급체인 문제점
1-3. 중국 LFP 배터리 시장과 공급체인
1) 중국 시장 동향과 전망
(1) 전기차용 LFP 배터리 비중 및 업체 점유율
(2) 향후 전망
2) LFP 배터리 공급체인
(1) 채굴 / 정제련
(2) 소재ㆍ부품 / 셀
(3) 조립 / 소비자
1-4. 국내 배터리 기업이 주목하는 이유와 정부 육성 방향
1) 국내 배터리 기업이 주목하는 이유
2) 정부 육성 방향
1-5. 주요 업체별 기술개발 동향과 사업 전략
1) 배터리 제조업체
(1) CATL
(2) BYD
(3) LG에너지솔루션
(4) 삼성SDI
(5) SK온
2) 완성차 업체
(1) 테슬라(Tesla)
(2) 토요타(Toyota)
(3) 포드(Ford)
3) 기타 업체
(1) 일레븐Es(ElevenEs)

2. 전고체전지 개발 동향과 시장 전망
2-1. 기술 개요
1) 개념
2) 종류
(1) 선두를 달리는 황화물계
(2) 타지 않는 산화물계
(3) 기대할 만한 폴리머계
(4) 그밖의 전해질
3) 전고체 배터리와 리튬이온 배터리의 장단점
(1) 전고체 배터리 장점과 단점
(2) 전고체 배터리와 리튬이온 배터리 비교
2-2. 글로벌 전고체전지 시장규모 전망
1) 글로벌 시장동향 및 전망
2) 용도별ㆍ지역별 시장규모 전망
3) 가격 전망
4) 전고체전지 스타트업의 업계 지도와 자금 조달 랭킹
(1) 전고체전지의 업계 지도(카오스맵)
(2) 전고체전지 스타트업의 자금 조달 금액 랭킹
(3) 업계의 M&A
(4) 주요 전고체전지 스타트업
(5) 전고체전지 분야에 적극적인 VC, PE 펀드 및 전략적 투자가
2-3. 전고체전지 관련 기술 이슈 및 개발 동향
1) 국가별 주요 기술개발 동향
(1) 일본
(2) 중국
(3) 미국
(4) 한국
2) 주요 기술개발 이슈
(1) 고이온전도 고체전해질 기술
(2) 고체전해질 대기 및 수분 안정성 확보 기술
(3) 복합 전극 제조 기술
(4) 바이폴라 전극 제조 기술
(5) 셀 제조 기술
(6) 리튬 메탈 음극 제조 기술
(7) 3D프린터로 전고체전지 생산
(8) 계면 저항을 낮추기 위한 기술
(9) 실리콘 웨이퍼를 전고체 배터리에 적용
3) 주요 업체별 기술동향 및 사업전략
(1) 토요타
(2) 볼로레
(3) 솔리드파워
(4) 퀀텀스케이프
(5) LG에너지솔루션
(6) 삼성SDI
(7) 현대자동차
(8) 닛산
(9) 지에스유아사(GS YUASA)
(10) 막셀(MAXELL)
(11) BMW
(12) 혼다
4) 향후 연구개발 동향
(1) 배터리의 용량 확대ㆍ출력 강화
(2) 전해질의 고체화로 성능 향상
(3) EV용에 적합한 특성을 가진 Li-S계 이차전지
(4) 전고체 Li-S계 이차전지 - 전극 재료 모색
(5)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성능 향상
(6)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기술 활용
(7) 새로운 음극재 기술의 적용

3.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 동향과 전망
3-1. 기술 개요
1) 재이용 시스템의 중요성
2) 배터리의 수명
3) 배터리의 재활용
(1) 폐배터리 재사용(Re-Use)
(2) 폐배터리 재활용(Re-Cycling)
4) 순환 사이클 구축
5) 중요한 광물의 회수
6) 주요 사례
(1) Redwood Materials
(2) Li-Cycle
7) 활성화를 위한 대응 동향
8) 환경적 관점의 리튬이온 전지 재활용
3-2. 국내외 폐배터리 시장 동향과 전망
1) 글로벌 시장규모 전망
(1) 시장규모 전망
(2) 소재별 시장규모 전망
(3) 공급원별 시장규모 전망
(4) 지역별 시장규모 전망
(5) 배터리 재활용으로 인한 배터리 종류별 비용 절감 효과
(6) 전기차용 폐배터리의 재활용의 잠재가치
2) 국내 시장규모 전망
(1) 시장규모 전망
(2) 소재별 시장규모 전망
(3) 공급원별 시장규모 전망
(4) 국내 정책 동향
3) 미국의 현황 및 규제
(1) EV용 폐배터리의 재활용 현황
(2) DOE에 의한 리튬이온 전지의 재활용을 위한 시책
(3) 주요 재활용 업체의 동향
4) 유럽의 현황 및 규제
(1) 순환 경제를 위한 배터리 규제 개정안 발표
(2) 국제 표준화를 위한 포석
(3) 동아시아의 주력 기업을 견제
(4) 배터리 자원 대국으로 가는 전략
(5) 시장 원리에 의존하지 않는 배터리 재활용
5) 중국의 현황 및 규제
(1) 제도적으로 폐배터리 회수 체계 구축 필요
(2) 배터리 재활용 기술로 습식 공정 발달
3-3. 주요 참여업체별 추진 동향과 전략
1) 폐배터리 재활용 업체의 주요 동향
(1) 레드우드 머터리얼즈(Redwood Materials)
(2) 배터리 리소서스(Battery Resourcers)
(3) 유미코아(Umicore)
(4) Retriev Technologies
(5) INMETCO
(6) 성일하이텍(SungEel HiTech)
(7) 에코프로(ECOPRO)
2) 완성차ㆍ배터리 업체의 진출 동향
(1) 원재료 수입 대체 효과
(2) 테슬라 : 배터리 소재의 92% 회수
(3) ESS로 배터리 재사용

Ⅲ. 이차전지의 킬러 애플리케이션별 최근 이슈와 시장 전망

1. 전기차(xEV) 및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 동향과 전망
1-1. 전기차용 이차전지 시장 동향 및 주요업체 대응 전략
1) 전기차용 이차전지 시장 동향과 전망
(1) 중ㆍ대형 이차전지 시장규모 및 전망
(2) 주요 업체 및 점유율 현황
(3) 서플라이체인
2) 국내 시장 동향과 전망
(1) 국내 시장규모 전망
(2) 세계시장 대비 점유율
(3) 생산ㆍ수출 동향
(4) 경쟁력 수준
(5) 시장 선도 현황
(6) 소재ㆍ부품ㆍ원재료 한계
3) 전기차용 배터리 관련 주요 이슈
(1) 전고체 배터리
(2) 코발트 free 배터리
(3) 실리콘 소재 활용
(4) 포스트 리튬이온전지
1-2. 국내외 전기차(xEV) 시장 및 주요업체 로드맵
1) 전기차(BEVㆍPHEV) 시장 동향과 전망
(1) 연도별 시장규모 전망
(2) 지역별 시장규모 전망
(3) 주요국별 점유율
2) 배터리 전기차(BEV) 시장 동향과 전망
(1) 연도별 시장규모 전망
(2) BEVㆍPHEV 판매 비중
(3) 지역별 시장규모 전망
(4) 미국 시장
(5) 유럽 시장
(6) 중국 시장
(7) 호주&오세아니아 시장
(8) 인구 단위 당 판매대수
(9) 지역별 평균 판매가격
3)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PHEV) 시장 동향과 전망
(1) 연도별 시장규모 전망
(2) PHEVㆍBEV 판매 비중
(3) 지역별 시장규모 전망
(4) 미국 시장
(5) 유럽 시장
(6) 중국 시장
(7) 호주&오세아니아 시장
(8) 인구 단위 당 판매대수
(9) 지역별 평균 판매가격
4) 주요 완성차 업체별 로드맵
(1) Tesla
(2) BYD
(3) SGMW(SAIC-GM-우링 자동차)
(4) Volkswagen
(5) BMW
(6) Daimler
(7) SAIC(상하이 자동차)
(8) Volvo
(9) Audi
(10) Hyundai
(11) Kia
(12) Toyota
(13) Ford
(14) GM
5) 글로벌 전기 상용차 시장 동향과 전망
(1) 글로벌 보급 동향과 전망
(2) 미국 전기 트럭 시장
(3) 중국 전기트럭 시장
(4) 국내 전기버스 시장
6) 국내 전기차(xEV) 시장동향과 전망
(1) 국내 시장 규모와 전망
(2) 국내 업체별ㆍ모델별 판매 동향

2. 전기자전거 및 전기자전거용 배터리 시장 동향과 전망
2-1. 전기자전거 기술 개요
1) 개념
2) 구조
3) 분류
(1) 전동력 전달방식에 따른 분류
(2) 조작 방식에 따른 분류
4) 전기자전거 법규 및 기준
2-2. 해외 전기자전거와 배터리 시장 동향과 전망
1) 글로벌 전기자전거 시장규모와 이용 형태
(1) 글로벌 시장
(2) 중국 시장
(3) 미국 시장
(4) 유럽 시장
(5) 국내 시장
2) 완성차 업체들이 전기자전거에 주목
3) 글로벌 전기자전거용 배터리 시장
(1) 시장 동향과 전망
(2) 배터리 업체들이 주목
2-3. 주요국별 전기자전거 시장 동향과 전망
1) 중국 시장
(1) 전기자전거 및 배터리 시장 동향과 전망
(2) 전기자전거 주요 기업과 점유율
2) 유럽 시장
(1) 독일 시장
(2) 네덜란드 시장
3) 미국 시장
4) 국내 시장

3. 이차전지 주요 애플리케이션인 ESS 시장 동향과 전망
3-1. 국내외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동향과 전망
1) 글로벌 시장
2) 북미 시장
3) 중국 시장
4) 국내 시장
3-2. 주요국별 ESS 관련 이슈 및 정책 추진 동향
1) 미국
2) 중국
3) 일본
4) 국내

4. 스마트 디바이스 및 소형 이차전지 시장 동향과 전망
4-1. 스마트 디바이스용 배터리 시장 동향과 전망
1) 글로벌 시장
2) 국내 시장
3) 주요 업체별 시장점유율
4-2. 스마트폰 시장 동향과 전망
1) 글로벌 시장
(1) 2022년 판매 실적
(2) 향후 전망
2) 국내 시장
(1) 시장 동향
(2) 수출 동향
4-3. 태블릿 시장 동향과 전망
1) 글로벌 시장
2) 국내 시장
4-4.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
1) 글로벌 시장
2) 국내 시장
4-5. 스마트워치 시장
4-6. 이어웨어(무선 이어폰) 시장
1) 글로벌 시장
2) 주요 업체별 동향

Ⅳ. 이차전지 및 소재 분야별 주요업체 개발 동향 및 대응 전략

1. 이차전지 소재별 개발 동향 및 대응 전략
1-1. Cell
1) 닝더스다이(CATL)
2) 파나소닉(Panasonic)
3) 비야디(BYD)
1-2. 양극재
1) 스미토모(SUMITOMO Metal)
2) 유미코아(UMICORE)
3) 바스프(BASF)
1-3. 음극재
1) 신에츠(SHINETSU)
2) 닝보샨샨(Ningbo Shanshan)
3) 도카이카본(Tokai Carbon)
1-4. 전해질
1) 천사첨단신소재(GUANGZHOU TINCI)
2) 미쓰비시화학(MITSUBISHI CHEMICAL)
3) 센젠(SHENZHEN CAPCHEM)
1-5. 분리막
1) 아사히 카세이(ASAHIKASEI E-MATERIALS)
2) 도레이(TORAY BSF)
3) SHEZHEN SENIOR
1-6. 차세대 이차전지
1) IBM
2) 무라타제작소(MURATA MANUFACTURING)
3) 볼로레(BOLLORE) 그룹
4) 아이오닉 머티리얼즈(IONIC MATERIALS)
5) 솔리드파워(SOLID POWER)
6) TDK
7) 히타치조선(HITACHI ZOSEN)
8) 콘티넨탈(CONTINENTAL)

2. 완성차 업체별 배터리 수급 동향 및 대응 전략
1) 테슬라(Tesla)
2) 토요타(Toyota)
3) 포드(Ford)
4) BMW
5) 현대차 그룹(Hyundai Motor Group)
6) 제너럴모터스(GM, General Motors Corporation)
7) 스텔란티스(STELLANTIS)
8) 비야디(BYD)
9)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 AG)
10) 폭스바겐(Volkswagen)
11) 볼보(Volvo)
12) 상하이 자동차(SAIC)
13) 혼다(HONDA)

3. 국내 이차전지 주요업체별 개발 동향 및 대응 전략
1) LG에너지솔루션
2) 삼성SDI
3) SK온
4) 포스코케미칼
5) 현대자동차
6) LS엠트론
7) 에코프로비엠
8) 대주전자재료
9) 파낙스이텍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