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가이드 |
김영편입 수학 2024학년도 대비 기출문제 해설집
How To Study
2023학년도 편입수학 시험은 대부분 예년처럼 기출 유형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문제들이 주로 출제되었다. 또 구체적인 수치 혹은 조건을 주기보다는 개념 및 정의를 이용하여 접근하는 문제의 비중이 높아졌다. 다만 이화여대에서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평등연속 문제가 출제되었고, 올해 처음 실시된 서울시립대학교 편입수학은 일변수 미적분에서 부터 공학수학의 푸리에 급수와 유수 적분에 이르기까지 상당히 넓은 범위에서 출제되었다. 모든 문제를 대비할 수는 없는 일이니, 본 시험에 임하기 전에 최근 몇 년간의 기출문제들은 모두 풀어보고 유형을 파악해둘 수 있도록 하자.
● 목표 대학의 출제경향과 출제범위를 확인하자.
편입수학은 미적분학과 선형대수, 공학수학의 세 과목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각 대학별로 시험범위가 다르고 과목별 출제비중에서도 차이가 있으므로 목표로 하는 대학이 있다면 기출문제를 통해 출제 유형을 파악하고 대비해야 한다.
● 각 과목별 출제 유형을 파악하자.
대부분의 편입수학 문제는 기존 유형을 토대로 기존 유형을 살짝 변형하여 출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 각 과목별로 자주 출제되는 부분도 뚜렷한데 미적분학에서는 Taylor 급수, L'Hospital 정리, 최대/최소, 극좌표 상에서의 기울기와 넓이, 회전체의 부피, 공간에서 곡선과 곡면, 다중적분의 순서변경, 선형대수에서는 행렬식, 고유치와 고유벡터, 선형변환의 표현행렬, 벡터공간의 개념과 성질 등에서 주로 출제된다. 또한 최근 대부분의 대학교에서는 계산 실력보다는 개념 이해도를 붇는 문제의 출제가 잦아지고 있다. 기출 문제를 통해 출제 트렌드 및 유형을 파악하여 철저히 대비해두도록 하자.
● 실제 시험을 염두에 두고 준비하자.
실제 편입시험은 제한된 시간 안에 얼마나 많은 문제를 정확히 해결하느냐로 당락이 결정되는 시험이다. 따라서 얼마나 많이 알고 있는가도 중요하겠지만 시간 배분에도 스킬이 필요하다. 시험 당일 자신의 능력을 100%로 발휘하기 위해서 기출문제를 이용하여 충분히 실전 연습을 해두도록 하자.
구성과 특징
‣ 대학별 총평과 분석
• 2023 학년도 대학별 편입수학의 총평과 과목별 출제 비중을 제시하여 각 대학의 출제경향과 특징을 알 수 있도록 하였다.
‣ 대학별 기출 문제
• 수도권 주요 24개 대학의 기출문제를 모아 실었다. 문항 수와 제한 시간을 명기하였으며, 영어와 함께 시험을 치르는 경우 제한 시간 아래에 표시를 두었다.
‣ 정답 및 풀이
• 가능한 한 상세하고 정확한 풀이를 싣도록 노력하였다.<참고> 와 [다른 풀이] 등을 함께 수록하여 학습에 도움이 될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수록 대학>
가천대학교 A, B형, 가톨릭대학교, 건국대학교, 경기대학교, 경희대학교, 광운대학교, 단국대학교(오전), 단국대학교(오후), 명지대학교, 서강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시립대, 성균관대학교, 세종대학교, 숭실대학교, 아주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인하대학교,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중앙대학교 수학과, 한국공학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항공대학교, 한성대학교, 한양대학교(서울캠퍼스), 홍익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