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지금 우리는 놀라운 사회변혁을 목도하고 있다. 전쟁은 곳곳에서 발발하고, 변이 바이러스와의 싸움도 계속 되고 있으며, 사회도 크게 분열되어 있다. 그런 와중에도 기술은 경이롭게 발전하고 있다. 특히 IT산업은 우리들의 삶을 바꿔놓고 있다. 요즘 화두는 메타버스, 챗GPT다. 앞으로 무슨 기술이 우리를 놀라운 세계로 인도할지 모른다. 화두가 바뀌고 세상이 달라지는 중심에 제4차 산업혁명이 존재한다. 우리는 지금 과거와 다른 산업혁명을 겪고 있다.
인류는 지금까지 여러 과정을 거쳐 왔다. 우리가 암흑시대라고 불리는 중세에도 변화를 꿈꿔왔고, 결국 르네상스를 거쳐 근대사회를 만들었다. 이것은 변화를 위한 지속적인 "사유의 폭발"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사회가 복잡하고 힘들수록 더 많은 지적 자극이 요구되고, 창조적 사유가 필요하다. 이것이 지금 우리에게 부여된 과제이다. 미래를 아름답게 설계해야 할 책임이 우리 모두에게 있기 때문이다. 새 시대는 새로운 사고를 먹고 산다.
지적 자극은 교육의 역할이 크다. 대학은 역사적으로 그 산실이 되어왔고, 나라마다 자국에 맞는 교육 방법을 찾았다. 그에 따라 산업이 골고루 발전하게 되었다. 기업은 현장에서 그 길을 만들었다. 지금은 IT기업이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고, 그에 힘입어 다른 산업도 발전하고 있다. 변화에 대한 요구는 앞으로도 계속 커지고, 사회는 그만큼 달라질 것이다.
우리는 나름대로 문화를 만들어왔다. 지금 우리가 해야 할 것은 삶의 대전환에 필요한 중요한 지적 키워드를 찾아내 밝은 길을 찾는 것이다. 이 책은 그런 작업의 일환에서 시작되었다.
이 책은 세 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편은 우리에게 지적인 자극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부모는 자녀들로 하여금 새로운 문물을 접하고 지적으로 자극을 받게 했다. 대학 또한 지적 자극과 창조적 사유에 참여했다. 사회 모두가 변화를 꿈꾸는 리더들을 키우고자 한 것이다.
제2편은 더 나은 국가와 사회를 만들기 위한 담론들이 소개되어 있다. 가난한 나라 벨리즈가 번성을 꿈꾸는 것은 마치 우리의 모습을 닮았다. 역사적으로 볼 때 국가나 사회는 정체를 거부했다. 학자들은 계속 변혁적으로 사고했고, 국가는 법을 세워나갔다. 문명을 새롭게 하고자 하는 욕구는 늘 잠재해있다. 국가도 게으르면 욕을 먹는다.
제3편은 경제발전은 높은 창의성에 있음을 말하고 이를 위해 멈추지 않는 기업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기업은 아이디어를 귀하게 보았고, 벤처나 스타트업은 그것을 실제화한다. 역사적으로 보면 기업 형태도 다양하게 발전해왔지만 보다 창의적이고, 사회에 기여하는 기업이 주목을 받는다. 앞으로 그런 흐름은 변하지 않을 것이다.
인간은 지적 자극을 주고받으며 보다 창의적인 사고로 미래를 만들어간다는 점에서 다르다. 개인이 깨우치는 교육을 통해 사회에 유익을 주고, 기업이 창의력과 기업가정신으로 헌신할 때 우리 사회는 더욱 밝은 미래를 맞게 될 것이다. 아무쪼록 이 책이 독자 여러 분과 함께 사고의 지평을 넓혀 우리 사회를 더욱 위대하게 만드는데 도움을 주었으면 한다.
양 창 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