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개장한 국내 탄소배출권 시장!
시장다운 소프트웨어를 갖추고, 글로벌 스탠더드로 나가자
지은이는 국내 탄소배출권 시장이 시장다운 소프트웨어를 갖추고, 글로벌 스탠더드로 나가기로 바라며 이 책을 썼다. 이에 따라 프롤로그에는 국내 탄소배출권 시장을 둘러싼 8대 개선과제를 제시했다. 1대 과제는 경매 제도 개선, 2대 과제는 시장 안정화 조치 개선, 3대 과제는 정보 비대칭성이 일어나지 않도록 모든 정보를 참여자 모두에게 공개하는 것이다. 4대 과제는 개인 투자자의 시장 참여를 허용하는 것이며, 5대 과제는 장내 탄소배출권 파생상품 도입, 6대 과제는 장내거래 의무화다. 7대 과제는 유상할당을 강화하는 것이고, 마지막 8대 과제는 이월제한제도를 변경하는 것이다. 이 과제들이 모두 상호 간 유기적으로 연계되어야 글로벌 스탠더드에 가까이 갈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총 5개의 Part로 구성된 이 책은 Part 01에서 탄소배출권 시장의 개요를 소개한다. Part 02에서는 탄소배출권 수급분석 및 가격결정에 대해 알아본다. Part 03에서는 탄소배출권 위험관리 및 파생상품에 대해 설명한다. Part 04는 탄소배출권의 최적 헤징 전략 수립에 관한 내용이다. Part 05는 탄소배출권 대응 및 투자 전략에 대해 알려준다. 부록으로는 〈한국경제신문〉 더 머니이스트 필자로 활동 중인 지은이의 탄소배출권 관련 기사를 수록했으며,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을 실었다. 심각해지는 환경문제와 함께 탄소배출권이 핫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탄소배출권의 이론, 가격결정과 파생상품 투자 전략이 궁금하다면 이 책을 읽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