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울타리를 넘는 들꽃

울타리를 넘는 들꽃

  • 권동희
  • |
  • 지성사
  • |
  • 2023-06-21 출간
  • |
  • 344페이지
  • |
  • 174 X 230 X 19mm / 869g
  • |
  • ISBN 9788978895354
판매가

29,000원

즉시할인가

26,1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6,1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누구나 언제 어디에서든 시작할 수 있는 동네 들꽃 여행!
매일매일의 마실 여행에서 설렘으로 가득한 보물찾기!

비록 좁고 복잡한 도시 공간이지만 아주 다양한 자연을 쉽게 만날 수 있다. 겨울이 물러나면 때를 기다렸다는 듯이 봄꽃들이 앞다투어 꽃을 피워내기 시작하고, 그들이 떠난 자리에 싱그러운 초록 잎과 향기를 품은 꽃들의 향연이 펼쳐진다. 어디 그뿐인가, 가을이면 울긋불긋 단풍에 모양도 각양각색 풍성한 열매로 생명살이의 결실을 맺고, 마침내 모든 것을 내려놓은 모습에 이르기까지 사계절이 주는 자연 선물은 하나하나가 보물이다.
이렇듯 사계절을 오롯이 품은 자연의 생명살이를 체험하고 싶다면 굳이 멀리 갈 필요도 없다. 걸어서 반나절 거리를 다니며 만나는 이런저런 들꽃에 관심을 갖고 이름을 불러주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한마디로, 동네 들꽃 여행은 누구나 언제 어디에서든 시작할 수 있다.
대학에서 지리학을 전공한 뒤 학생들을 가르치고 정년 퇴임한 동국대학교 권동희 명예교수도 어릴 적부터 마음에 담고 있던 들꽃 여행을 제대로 해야겠다고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코로나 팬데믹으로 발이 묶여, 먼저 부담 없는 동네 마실에 나섰고 곳곳에서 만난 푸나무에게 말을 걸기 시작했다. 그 결과, 2년 여 동안 동네 여행지에서 만난 수많은 들꽃과 곤충을 갈무리하여 249종의 들꽃과 26종의 곤충을 주인공으로 한 들꽃 산책 기록을 펴내기에 이르렀다. ‘마실에서 만난 우리 동네 들꽃’(전 2권)이라는 부제를 단《01 같은 듯 다른 들꽃》, 《02 울타리를 넘는 들꽃》에는 매일매일의 마실 여행에서 설렘으로 가득한 보물찾기가 펼쳐진다.
그는 들꽃 여행의 시작은 그들의 이름을 정확히 찾아내 불러주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들꽃의 이름에는 그들의 생태적 특성을 담고 있고, 거기에는 지리적 환경도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란다. 하지만 보통 사람들이 그들의 이름을 제대로 불러주기가 어디 쉬운 일인가? 이 꽃이 그 꽃 같고, 저 꽃이 이 꽃 같은 헷갈림에 포기하고 쓱 일별하며 지나치기 일쑤다.
“자연을 가장 가까이 들여다보라. 자연은 우리의 시선을 가장 작은 잎사귀로 낮추고 곤충의 시선으로 그 면을 바라보도록 초대한다”는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말처럼, 들꽃들을 가장 가까이 마주할 수 있는 기회는 바로 동네 마실이다. 그들을 볼 때마다 이름을 부르며 반갑게 인사를 건넨다면 소소한 행복으로 가슴이 따뜻해지지 않을까. 그래서 ‘마실에서 만난 우리 동네 들꽃’이 더욱 반갑고 소중한 까닭이다.

어릴 적 들꽃에 얽힌 추억 한 자락과 지리학자의 시선으로 바라본 들꽃 이야기!

‘마실에서 만난 우리 동네 들꽃’의 무대는 저자 권동희 선생이 현재 살고 있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이다. 당연히 분당구 전역 그리고 인근 광주와 용인, 서울과 인천 일부가 물리적인 마실 후보지다. 그러나 모든 여행이 그렇듯 동네 여행도 물리적 거리 못지않게 시간적 거리도 중요한 법. 게다가 들꽃 여행에 걸맞게 이런저런 들꽃들을 쉽게 만날 수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조건을 갖춘 곳은 바로 탄천, 분당천, 야탑천, 성남시청공원, 중앙공원, 율동공원, 밤골계곡, 맹산환경생태학습원, 맹산반딧불이자연학교, 맹산자연생태숲, 불곡산, 문형산, 포은정몽주선생묘역 등이다. 물리적으로는 꽤 거리가 있지만 30~40분이면 갈 수 있는 남한산성과 인천수목원 역시 동네 들꽃 여행지로 삼았다.
살아 있는 생명체인 들꽃은 자신의 환경에 머무르지 않는다. 가끔은 울타리를 벗어나 산을 넘고 강을 건넌다. 때로는 바다와 대륙을 넘나들기도 한다. 들꽃은 곤충을 부르고 곤충은 들꽃으로 날아든다. 둘의 공생관계는 사람에게도 적용된다. 원시사회에서 들꽃이나 곤충은 인간의 생존을 위한 필수조건이었고, 현대인의 삶도 그 연장선상에 있다. 같은 듯 다른 들꽃, 사람과 들꽃, 시간을 알려주는 들꽃, 장소를 가리는 들꽃, 곤충을 부르는 들꽃, 울타리를 넘는 들꽃 등 여섯 가지 소주제는 이렇게 해서 탄생했다.

‘마실에서 만난 우리 동네 들꽃 02’ 《울타리를 넘는 들꽃》은 마치 맞춤 시계가 있는 듯한 〈시간을 알리는 들꽃〉, 가장 최적의 생태 조건을 찾아 정착한 〈장소를 가리는 들꽃〉, 곤충과 공생관계를 이루는 〈곤충을 부르는 들꽃〉, 상상을 뛰어넘는 확장성이 돋보이는 〈울타리를 넘는 들꽃〉의 소주제로 엮었다.
밤 10시에서야 꽃봉오리를 연다는 달맞이꽃, 그러나 이제는 낮에도 꽃봉오리를 여는 낮달맞이꽃도 등장했다! 새벽 4시에 꽃을 피우는 메꽃을 시작으로 닭의장풀, 원추리, 둥근이질풀이 오전에 피우고, 오후 3시 무렵이면 대청부채에 이어 분꽃, 옥잠화가 꽃을 피우는 등 저마다 맞춤 시계를 장착한 들꽃을 15항목으로 나눠 〈시간을 알리는 들꽃〉으로 문을 연다. 도랑가의 터줏대감 고마리, 골프장이 최적의 서식지인 수크령, 무덤가에서 만나는 할미꽃, 석회질 초원을 고집하는 타래난초 등등 18항목으로 〈장소를 가리는 들꽃〉을 소개한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식물과 곤충은 헤아릴 수 없이 많다. 그러한 까닭에 식물과 곤충 사이에는 나름 고유의 질서가 있다. 곤충은 제가 좋아하는 식물을 찾아가고, 식물도 그런 곤충을 끌어들이기 위해 교묘한 전략을 펼친다. 특히 여름 들꽃 여행에서 파리풀에 집착하는 나나니등에를 비롯해 꽃과 곤충을 함께 만나는 즐거움을 〈곤충을 부르는 들꽃〉 18항목으로 만난다. 이어서 텃밭에 심어놓은 작물 중에 울타리를 벗어나 도랑가나 산자락에 뿌리를 내리는가 하면, 토종 수수꽃다리가 지구를 한 바퀴 돌아 다시 돌아와 ‘미스킴라일락’으로 금의환향하기도 하고, 수많은 외래작물이 끈질기게 살아남아 귀화식물로 정착하는 등 12항목으로 정리한 〈울타리를 넘는 들꽃〉이 마지막을 장식한다.

지리학자는 어떤 시선으로 들꽃 세상을 바라볼까? 역시나 249종의 들꽃과 26종의 곤충을 소개하면서 그들을 만난 장소와 시기를 꼼꼼하게 기록하는 것을 놓치지 않는다. 언제쯤 그곳에 가면 그가 만난 들꽃들을 다시 만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작은 설렘마저 느낀다. 선생이 어릴 때 시골에서 만난 들꽃에 얽힌 이야기를 함께 풀어내면 우리 동네에서 만난 들꽃 이야기가 더욱 풍성해진다. 팍팍한 일상에서 잠시 벗어나 지금 당장이라도 마실에 나서서 동네 어귀에 피어난 들꽃에 눈을 맞추며 그들의 이름을 불러보고 싶지 않은가.

목차

여는 글/ 우리 동네 들꽃 마실

시간을 알리는 들꽃
새벽잠 없는 메꽃/ 시인 두보가 사랑한 닭의장풀/ 시름을 잊게 해주는 원추리꽃/ 대청부채 비밀의 시간/ 낮과 밤이 뒤바뀐 달맞이꽃/ 풍년화와 봄맞이의 계절 감각/ 농사의 시작을 알리는 귀룽나무/ 세한삼우 매화/ 민들레는 봄꽃인가?/ 산수유와 생강나무의 봄꽃 경쟁/ 목련 겨울눈과 고깔콘/ 봄의 여왕 벚꽃/ 여름잠을 자는 봄냉이/ 여름의 전령 아까시나무/ 칠자화의 꽃단풍

장소를 가리는 들꽃
물속으로 뛰어든 버드나무/ 봉황을 닮은 물봉선/ 도랑가 고마리/ 물에 사는 쓴 푸성귀 큰물칭개나물/ 털개구리미나리와 개구리자리/ 돌나물, 돌단풍 그리고 바위취/ 뽑히기를 기다리는 괭이밥/ 밟히거나 베이거나, 질경이와 잔디/ 골프장의 수크령/ 산국에 산국이 피다/ 무덤가 할미꽃/ 바닷가 모감주/ 양지꽃과 딸기 가족/ 두 지붕 한 가족 환삼덩굴/ 철부지 으름덩굴/ 석회질 초원의 타래난초/ 바닷바람이 좋은 사데풀/ 작은 물동이 동의나물

곤충을 부르는 들꽃
도깨비바늘과 풀색노린재/ 노박덩굴과 노랑배허리노린재/ 붉은토끼풀과 노랑나비/ 큰금계국과 꽃등에/ 파리풀에 집착하는 나나니등에/ 댕댕이덩굴과 찔레털거위벌레/ 미국쑥부쟁이와 검은다리실베짱이/ 애기똥풀과 먹세줄흰가지나방/ 바디나물과 개미/ 갈참나무와 우리목하늘소/ 오이꽃과 흰점박이꽃무지/ 호박꽃과 사마귀/ 수레국화 푸른색 꽃의 비밀/ 때죽나무와 때죽납작진딧물/ 큰까치수염과 흰줄표범나비/ 비비추와 어리호박벌/ 좀꿩의다리와 호박벌/ 버들잎마편초와 작은검은꼬리박각시

울타리를 넘는 들꽃
들깨들의 세상/ 돌연변이의 역설 옥수수/ 탄천 갓꽃/ 뚱딴지같은 녀석/ 독초 나물 미국자리공/ 서양등골나물의 생물지리학/ 가시박 0.25그램의 기적/ 미스킴라일락의 금의환향/ 냄새 맡는 미국실새삼/ 사랑의 열매 피라칸다/ 새콩과 새팥/ 미국부용과 중국부용

참고한 자료/ 찾아보기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