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작업치료
CHAPTER 1 정신의학적 증상 _15
1.1 정신병리학 17
1.2 증상론 17
Summary 30
CHAPTER 2 신경인지장애(치매·섬망 등) _31
2.1 개념 33
2.2 섬망 33
2.3 치매 35
2.4 알츠하이머병 치매 40
2.5 기타 치매 42
Summary 54
CHAPTER 3 조현병 _57
3.1 개념 및 원인 59
3.2 임상양상 59
3.3 감별진단 67
3.4 경과 및 예후 68
3.5 치료 68
Summary 69
CHAPTER 4 양극성 및 관련 장애, 우울장애 _71
4.1 개념 73
4.2 Ⅰ형 양극성 장애 74
4.3 Ⅱ형 양극성 장애 80
4.4 순환성 장애 81
4.5 우울장애 82
Summary 85
CHAPTER 5 망상장애 _87
5.1 개념 및 원인 89
5.2 임상양상 90
5.3 경과 및 예후 90
5.4 치료 91
Summary 92
CHAPTER 6 불안장애 _93
6.1 개념 95
6.2 공황장애 95
6.3 광장공포증 98
6.4 특정공포증 99
6.5 사회불안장애 99
6.6 범불안장애 100
6.7 이별불안장애 101
6.8 선택적 함구증 101
Summary 102
CHAPTER 7 강박 및 관련 장애 _105
7.1 개념 107
7.2 강박장애 107
7.3 신체변형장애 109
7.4 저장장애 110
7.5 발모광 111
7.6 피부파기장애 111
Summary 112
CHAPTER 8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_115
8.1 개념 117
8.2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117
8.3 급성 스트레스 장애 118
8.4 적응장애 119
8.5 반응성 애착장애 119
8.6 탈억제성 사회관여장애 120
Summary 121
CHAPTER 9 지능장애 _123
9.1 지능장애 125
9.2 경계형 지능기능 131
Summary 132
CHAPTER 10 소아·청소년 정신의학 _135
10.1 의사소통장애 137
10.2 자폐증 스펙트럼 장애 140
10.3 주의력결핍과다활동장애 146
10.4 특정 학습장애 148
10.5 운동장애 149
Summary 153
CHAPTER 11 물질 관련 및 중독성 장애 _155
11.1 용어 157
11.2 알코올 관련 장애 159
11.3 아편유사제 관련 장애 164
11.4 진정제, 수면제 및 항불안제 관련 장애 168
11.5 자극제 관련 장애 168
11.6 대마 관련 장애 169
11.7 흡입제 관련 장애 170
11.8 카페인 관련 장애 171
11.9 담배 관련 장애 172
11.10 기타 173
11.11 비물질 관련 장애 174
Summary 176
CHAPTER 12 방어기제 _179
12.1 방어기제 181
12.2 방어기제의 종류 182
Summary 187
CHAPTER 13 정신과 작업치료의 접근법 _189
13.1 치료의 내용 191
13.2 변화하는 작업치료 분야의 본질 193
13.3 작업치료 과정 193
13.4 이론의 틀 193
Summary 197
CHAPTER 14 정신과 작업치료의 평가 _199
14.1 초기 평가 201
14.2 평가 내용 201
14.3 평가 방법 202
14.4 유효한 결과 204
Summary 205
CHAPTER 15 정신과 작업치료의 치료 계획 및 실행 _207
15.1 치료계획 209
15.2 치료실행 211
Summary 215
CHAPTER 16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운동 적성 _217
16.1 개요 219
16.2 운동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 219
16.3 정신건강과 신체적 장애 220
16.4 치료적 운동 221
Summary 225
CHAPTER 17 인지 접근법 _227
17.1 개요 229
17.2 인지장애 229
17.3 인지장애를 위한 작업치료 230
17.4 인지장애 이론 232
17.5 인지치료 234
17.6 작업치료의 인지치료 접근법 236
Summary 238
CHAPTER 18 그룹 활동 _239
18.1 작업치료에서의 그룹 241
18.2 그룹 계획하기 247
18.3 그룹 관리 249
Summary 251
CHAPTER 19 창조적 활동 _253
19.1 창조성 255
19.2 치료로서 창조적 활동 256
Summary 258
CHAPTER 20 놀이 치료 _259
20.1 놀이 261
20.2 놀이치료 소개 262
20.3 놀이치료의 이론적 틀 263
20.4 놀이 환경 265
Summary 268
작업치료 기초 이론
CHAPTER 1 정의 및 역사 _271
1.1 역사 273
1.2 작업수행 281
1.3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3rd Edition 282
1.4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4th Edition 302
1.5 작업수행 모델 및 전문용어 : 1994년 모델 345
1.6 작업치료의 과정 : 작업수행 모델 적용 351
1.7 치료 계획 356
1.8 작업치료 보고 361
1.9 주요 약어 362
1.10 기록과 보고 과정 및 형식 363
1.11 기타 367
CHAPTER 2 시지각 _375
2.1 시각장애의 평가와 치료 377
CHAPTER 3 ADL _387
3.1 ADL과 IADL(OTPFⅢ 기준) 389
3.2 ADL 및 IADL 요소 392
3.3 평가 392
3.4 중재방법 393
3.5 문제에 따른 중재 393
CHAPTER 4 치료적 작업 및 도구들 _429
4.1 적응 및 등급화 431
4.2 운동 432
4.3 능동적 작업 434
4.4 철학적 배경 434
4.5 작업과 건강 435
4.6 활동분석 435
4.7 치료적 접근 436
4.8 활동의 적응과 단계화 436
4.9 활동의 선택 439
4.10 모의 활동 440
4.11 치료적 활동 441
CHAPTER 5 보행보조도구와 보조기 _451
5.1 보행보조기구의 개요 453
5.2 보행보조기구의 종류 455
5.3 이동보조기구 459
5.4 이동 방법 469
5.5 보조기 제작 475
5.6 상지의 보조기 495
5.7 하지보조기 498
CHAPTER 6 운전재활 _513
6.1 운전 평가 515
CHAPTER 7 감각기능장애의 평가와 중재 _521
7.1 신체감각계 523
7.2 신체감각계중재 534
CHAPTER 8 안전과 감염관리 _537
8.1 임상에서의 안전 권고사항 539
8.2 특수 장비의 주의사항 540
8.3 감염관리 544
8.4 사고 및 응급상황 550
CHAPTER 9 수공예 _557
9.1 목공예 559
9.2 가죽공예 562
9.3 바늘공예 565
9.4 구리공예 및 금속공예 567
9.5 모자이크 569
9.6 도자기공예 571
9.7 직물 짜기, 코바늘, 매듭장식, 기타 섬유공예 577
9.8 종이공예 579
CHAPTER 10 기타 _583
10.1 작업치료사 선서 및 윤리강령 585
10.2 작업치료의 업무범위 586
10.3 작업치료 관련 의료 보험수가 586
10.4 정신의학과 건강보험 요양급여 기준 5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