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수산업 들어가기·수산업 분류·채포방법·어구종류 7
제1절 수산업 들어가기
1. 수산업의 분류(3요소),특성 및 수산식품 기능
2. 수산업의 특성 및 수산식품 기능
3. 수산업의 관련 법령상 분류( 수산업법률 등)
4. 내수면어업법 10
5. 해양산업발전법
6. 수산업의 세계추세 및 우리 나라 수산업 부서 변천 27
7. 세계의 어장 및 수산업
제2절 수산자원(제5장 참조) 29
제3절 수산동식물의 어업 채포 방법 등 32
1.어군탐색 과정
2.집어의 종류(유집,구집,차단유도)
3.어획 단계 4.사료계수 및 사료효율
제4절 종묘·채묘시설·종묘생산 방식·넙치 등 생육변화 33
1. 수산 종자(종묘)
제5절 수산물 어구종류(그물어구)·경골 및 연골 어류 35
★ 단원별 기출 문제 및 예상문제 분석 및 회유성 어류 37
제6절 어구·어법 그림예시 45
★ 단원별 기출 문제 및 예상문제 분석 56
제2장 수산업 관리 제도·면허·허가·신고·등록·TAC 61
제1절 수산업 관리제도 및 법령
제2절 어업의 종류 및 수산업 63
제3절 수산업 관리제도 및 법적 제도 (면허·허가·신고·등록) 65
1.수산업관리제도·수산자원보호·TAC(12 ?시범3가지)·원산지 표시
★ 단원별 기출 문제 및 예상문제 분석 76
제3장 수산혁신 2030 비젼· 농수산물 유통론·유통마진 81
제1절 2030 비젼·TAC (2장 6절 참조)
제2절 유통론·유통기능 분류 82
제3절 유통구조
제4절 유통 경로(계통 및 비계통) 87
제5절 유통 거래 및 시장·수산업협동조합 및 공동판매 88
제6절 유통마진 및 마진율·기출문제 및 예상문제
★ 단원별 기출문제 및 예상문제 94
제4장 세계 5대양 및 우리 나라의 바다 (서해 남해 동해) 106
· 해저의 지형·해양환경·대륙붕·연안역 및 외양역 구분
제1절 5대양과 우리나라 삼면 바다
1. 5대양 및 서해,남해,동해·우리나라 바다의 변천
2. 수산일반 기출문제 분석
제2절 해양환경·연안역과 외양역 구분 113
1. 대륙붕, 대륙사면·해저 지형 및 구조
2. 해양환경 및 연안역과 외양역 구분·기출문제 분석
3. 수산일반 기출문제 분석(햇빛.수심.점심해층 등)
★ 단원별 기출문제 및 예상문제 116
제5장 수산 생물 자원 및 수산자원의 단위 121
제1절 수산자원
1. 개념 및 종류
제2절 수산자원의 조사 122
1. 조사의 중요성
2. 자원 생물의 자원량 추정
(1) 형태 측정법 (2) 통계조사법 (3) 계군 분석법
(4) 연령 형질법 : 1) 연령사정법 2) 체장 조성법 3) 표지방류법
3. 계군 및 분포와 회유
제3절 수산 자원 생물의 조성 127
1. 개 념
2. 체장조사법
(1) 형태 측정법 (2) 연령 형질법
(3) 체장 빈도법 (4) 성장 조사법. 러셀 방정식
(5) 자원량 추정법 (6) 어군 탐색 방법
제4절 수산자원의 가입 및 사망관리 130
1. 가입
2. 수산자원의 성장
3. 성장 조사법 .러셀 방정식 및 도표(김태산 인용)
4. 어황
5. 자원량 추정법
6. 성장 관리
7. 사망 관리
8. 자원량 추정방법
(1) 총량 추정법
1) 직접적인 방법
전수조사법 , 표본채취에 의한 부분조사법
2) 간접적인 방법 : 표지방류 채포 결과를 사용
★ 단원별 기출문제 및 예상문제(경골 및 연골 어류 문제) 135
제6장 어업·어장 형성·어장관리·어군 탐색 ?어구 및 어법 141
제1절 어장 및 환경요인(물리,화학(염분,용존산소,영양염류 등),생물학적)
1. 어업 개념 및 분류
2. 어장의 개념 및 성립분포
3. 어로과정 및 어군탐색
4. 환경요인(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요인)
5. 해수의 성질 및 해수구조와 해류의 순환 유형
제2절 어장 형성 147
1. 조경어장 및 엘리뇨 현상·용승어장 와류어장 대륙붕어장
2. 어장 예시 및 해수의 성질과 구조(수온, 염분,해류(취송류 등), 순환
제3절 어업 종류 및 어로 과정·어군 탐색 150
1. 어업 종류 2, 어로 과정
3. 어황과 해황 , 집어종류
· 1절 ~ 3절 단원별 기출 문제 및 예상문제 152
제4절 어구와 어구, 재료·그물감 및 그물코 156
1. 어구와 어구재료 2. 그물실 및 그물코
3. 그물코 등 규격 4. 그물감의 크기
5. 낚시어구
제5절 어업 기기 및 어구종류 160
1. 어로의 과정 및 분석목적
2. 어구와 어법 분류
1) 주어구 및 어군 탐지 장치, 소나 및 네트존대
2) 그물어구의 종류 및 기계장비, 탐지장비
3) 그물어구 및 어법
· 단원별 기출 문제 및 예상 문제 168
제6절 어업에 사용되는 기기 및 기계 173
1. 어업 기기의 분류
2. 어업 기계 등
3. 황천 항해
· 단원별 기출 문제 및 예상 문제 174
제7절 우리나라의 주요 어업 형태 177
1. 서해안
2. 남해안
3. 동해안
4. 원양어업 및 미래의 어업
제7장 선박운용 및 어선운용 및 선박 기기·어선의 설비 182
1. 어선 및 선박 개념
2. 선박구조 및 특성
3. 배의 톤수 및 총톤수 등
4. 어선의 주요치수 186
5. 어선의 설비 및 선박 도료
6. 선박 조정의 원리
7. 어선 분류 및 기출문제
8. Knot(노트) 및 선박 운항 속도
9. 해상교통 안전 및 항해규칙, 신호규칙 190
10. 어선기관
11. 어선의 냉동설비 및 냉동, 동결장치
12. 그 외 가공식품 기기 ,연제품 기기, 통조림 기기
13. 어선의 주기관 운전에 사용하는 용어 197
14. 내선기관 구성
★ 단원별 기출 문제 및 예상문제 198
제8장 수산 양식 환경형태 및 어업 형태·양식방법·수확·절식·축양·사료계수 203
제1절 양식업형태 및 양식방법, 시설
제2절 수산종자 = 종묘
제3절 영양소,양어사료·사료효율·사료계수 등 208
제4절 양성과 관리제도·수용량·방양량·용존산소량
제5절 수확·절식·축양·수송과 운송·활어수송방법·해양환경
제6절 필수아미노산 10가지 및 20가지 213
★ 단원별 기출문제 및 예상 문제 215
제9장 주요 수산 양식 중 주요 질병관리 220
제1절 수산동물의 질병
제2절 수산질병의 종류 224
1. 바이러스성 질병
2. 세균성 질병
3. 기생충성 질병
4. 진균성 질병
5. 사료성 질병
★ 단원별 기출 문제 및 예상 문제 226
제10장 주요 수산 양식 어종 228
제1절 양식장 환경요인·물리적·화학적·생물학적 요인
제2절 수산종자(종묘) 생산 및 채묘시설
★ 단원별 기출 문제 및 예상 문제 231
제3절 주요 수산물 및 어류 양식 방법 233
1. 넙치·조피볼락·어육연제품·무지개송어·역돔=틸라피아·잉어 등
2. 어류의 회유(산란회유,연안성회유,색이회유 등)
★ 단원별 기출 문제 및 예상 문제 237
3. 유영성 저서동물·대하·보리새우·게 등
4. 부착성 동물·굴·우렁쉥이·바지락 등 5. 포복성 동물
6. 비부착성 동물의 양식·대합류·해삼 244
7. 해조류의 특성·종류·해조류 양식·미역·극미세부유생물 등
1) 해조류의 특성
2) 해조류의 종류
(1) 저서식물 분포( 광합성 구조 :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 순서)
(2) 저서동물(해면동물, 유영동물)
(3) 부유생물(극미세,미세,미소,대형부유생물)
★ 단원별 기출 문제 및 예상 문제 246
7. 주요 해조류의 양식 종류·김·미역·다시마 등 250
★ 단원별 기출 문제 및 예상 문제 255
제11장 해양 오염 유형 및 대응 263
제1절 해양 오염
제2절 해양오염의 유형 266
1.갯녹음=백화현상·부영양화·적조현상
2. 빈산소 수괴·냉수대 현상
★ 단원별 기출 문제 및 예상 문제 270
제12장 수산업 법률( 2020년 개정법률 반영) 277
제13장 수산업·어촌발전기본법률( 2020년 개정법률 반영) 323
제14장 수산자원관리에 관한 법률( 2020년 개정법률 반영) 333
1. TAC (바지락 등 12가지)
2. 원산지표시법 15가지(아귀,다랑어,주꾸미 추가)
★ 단원별 기출 문제 및 예상 문제 349
제15장 수산가공과 식품위생· 수확 후 품질관리·통조림 공정·HACCP 351
제1절 수산물 특징 및 변화 과정
제2절 수산 어류의 사후변화 355
제3절 수산물의 특성 및 저장 중 품질변화
제4절 염장법 및 염장품 358
제5절 온도 및 저장법·저온저장법·냉장법·냉동법·급속 및 완만동결 366
제6절 건조법·건제품 370
제7절 훈연법·품 374
★ 단원별 기출 문제 및 예상 문제
제8절 수산물 변화 과정의 life cycle 381
제9절 기능 식품 EPA·DHA 및 어체 어육처리 384
1. 수산물의 처리 및 가공식품의 목적, 어체 및 어육 처리 과정
2. 가공품의 종류(동결품,건제품, 연제품, 어묵공정, 통조림 등)
(1) 동결 종류와 동결 방법
(2) 해동과 드립
(3) 연제품 및 동결 수리미, 어육소시지
3. 기능성 식품 ,EPA 및 DHA
4. 기능식품 분류 (인정형 및 개별형)
5. 해조류 가공품
6. 기능식품 개별적 분류
제10절 수산식품의 가공 원료 특징·불포화지방산 392
★ 단원별 기출 문제 및 예상 문제
제11절 단백질,연제품 및 탄력형상 400
제12절 어체 처리 및 어육처리, 해동 및 드립 404
제13절 자연독 및 식중독, 세균 및 바이러스 407
★ 단원별 기출 문제 및 예상 문제
제14절 통조림 공정 및 레토르트 식품, 조미가공품 413
★ 단원별 기출 문제 및 예상 문제
제15절 수산물의 변질 유형, HACCP 425
제16절 수산물의 성분 , 냄새성분, 적색어 및 백색어 427
★ 단원별 기출 문제 및 예상 문제
제17절 어패류의 사후변화 과정 및 특징, 해당작용 및 사후경직 434
제18절 신선도 측정 방법(서류 및 관능검사, 화학적 검사 등) 436
제19절 수소이온농도 지수의 특징(pH)
제20절 개별검체 선별 및 검사 준비 및 서류검사, 관능검사,정밀검사 441
제21절 관능검사 등 445
제22절 수산물 안전성조사 고시 453
제23절 수산물 안전성 허용기준 고시 454
제24절 식품공전 457
제25절 등급판정실무 및 정밀검사 방법 477
제26절 표준규격 (등급규격 10가지 및 포장규격) 및 거래단위 482
김용회(7급수석합격 및 관세사, 수품사, 경매사 등) 저자 소개 4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