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이황의 예종실록 (상)

이황의 예종실록 (상)

  • 이남철
  • |
  • 공감의힘
  • |
  • 2023-04-25 출간
  • |
  • 592페이지
  • |
  • 150 X 225mm
  • |
  • ISBN 9791169740326
판매가

38,000원

즉시할인가

34,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4,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표는 기사 내용이 간단한 목차입니다.

서언 / 7
본서「예종실록」상-하권에 나오는 주요 인물 / 63
“예종 이황”에 대하여 … / 115
「예종실록」 총서 / 117

예종 즉위년(1468년 9월)

9월 7일 혜성이 나타나다 / 119
세자가 수강궁 중문에서 즉위하고 교서를 내리다 / 119
박중선·남이·오자경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121
함길북도 절도사 김교에게 북방의 방비에 당부하다 / 121
* 도승지 권감에게 매일 숙직하도록 명하다 / 122
* 왕태비를 높여서 자성 왕태비로 하다 / 122
예조에서 즉위 하례를 외방에서 듣는 순서대로 전을 올리게 할 것을 아뢰다 / 122
* 유곡·강생·성부의 고신을 돌려주게 하다 / 122
9월 8일 혜성이 나타나다 / 123
* 종친과 재추가 태상전에 문안하다 / 123
예조에서 태상왕의 전지를 선지로 일컬을 것을 건의하다 / 123
* 태상왕의 병 때문에 태상왕과 왕태비의 존호를 봉책하려던 계획을 정지하다 / 123
태상왕이 명하여 소훈 한씨를 왕비로 삼다 / 123
함길북도 절도사 김교에게 북방의 방비에 힘쓸 것을 당부하다 / 123
백관과 함께 태상왕에게 사은하였는데 그날 밤에 태상왕이 훙하다 / 124
9월 9일 아침에 백관들이 곡림하다 / 126
승정원에서 신전의 역사를 파하고 그 역부를 빈전에 쓸 것을 건의하다 / 126
태상왕의 장례 담당자들을 임명하다 / 126
* 사은사 김양경이 명나라에서 돌아오다 / 127
응골과 해청을 놓아주게 하다 / 127
금 캐는 것을 정지하였으므로 군인을 보내지 말 것을 병조에 전지하다 / 127
* 경기 군적사를 정지하도록 명하다 / 127
대행 대왕의 상제 의식은 문종시의 예에 의할 것을 예조에서 건의하다 / 127
9월 10일 혜성이 나타나다 / 131
* 태상왕의 부음을 종묘와 사직에 고하다 / 131
* 왕대비의 전교를 내지로 일컫게 하다 / 131
습전의를 베풀다 / 131
* 금의 채취를 파하다 / 131
중국에 보내는 고부사와 청시사 등의 호송군의 수를 정하게 하다 / 131
평안도에 절도사 오자경을 급히 부임하게 하다 / 132
의정부에서 없앨 만한 폐단을 아뢰다 / 132
평안도 절도사 에게 주문사·고부사 등을 7백 명으로 호송하게 하다 / 133
상장의 일은 과거에 정승 이상을 지낸 자와 의논하여 행하게 하다 / 133
예조에서 졸곡 전에는 종묘와 문소전에 천신할 어육을 올리지 말 것을 건의하다 / 133
9월 11일 소렴전을 베풀다 / 134
좌의정 박원형이 창덕궁으로 이어하기를 청하다 / 134
강원도 관찰사 김관에게 연철의 채취를 금하게 하다 / 134
찬궁을 조계청에 안치할 때에 머리의 방향을 궁실의 향배를 따를 것을 정하다 / 135
간경 도감 제조 한계희가 간경 도감의 정파를 반대하다 / 135
9월 12일 혜성이 나타나다 / 135
대렴전을 베풀다 / 136
성빈전을 베풀다 / 136
산릉 도감의 사목에 대해 승정원과 의논하다 / 137
빈·장의 일은 의궤에 준하고 기타는 횡간을 참작할 것을 예조에서 건의하다 / 138
9월 13일 혜성이 나타나다 / 138
* 이날부터 산릉에 나아가기까지 항상 여차에서 거처하다 / 138
하동군 정인지 등이 영릉에 가서 장지를 살펴보고 돌아오다 / 138
중국에 승습을 청하는 것과 고부·청시 등의 일을 대신들과 의논하다 / 139
빈전에서 법석을 베풀다 / 140
혜성이 나타나다 / 140
* 영순군 이부·영의정 이준에게 번갈아 금중에서 숙직하게 하다 / 140
표기의 모양과 색을 신숙주와 의논하다 / 140
9월 18일 혜성이 나타나다 / 141
임금이 빈전에 나아가서 상식하다 / 141
진시에 망전을 베풀다 / 142
주문 문서에 대행 대왕은 훙서 전하로, 태비는 왕비로 일컫게 하다 / 143
숙위 군사를 늘리게 하다 / 143
조전 절제사 이소 등이 이석철과 최청강을 데리고 방수하려 하다 / 143
9월 16일 혜성이 나타나다 / 144
백관을 거느리고 빈전에 나아가서 성복하고 곡림하다 / 144
신숙주 등이 대행 대왕의 행장을 초하여 올리다 / 145
백관들이 백의·오사모·흑대 차림으로 창덕궁에서 배표하다 / 146
옥수의 처벌 규정을 의논하게 하다 / 159
국상 중의 모든 의식은 구례를 따를 것을 예조에서 건의하다 / 160
9월 17일 혜성이 나타나다 / 160
종친과 재추들에게 원릉으로 쓸 만한 땅을 살피게 하다 / 160
능에 석곽은 쓰지 않고 석실과 석난간만 쓰는 문제를 의논하다 / 160
능침에 적당한 주산의 형세라고 그림을 그려온 화공 한귀를 추핵하게 하다 / 161
9월 18일 혜성이 나타나다 / 161
정흠지의 분영이 능침에 적당한 가를 가서 살피게 하다 / 161
종묘의 제사에 각실의 선왕·선후 축문을 정하다 / 162
9월 19일 혜성이 나타나다 / 162
대행 대왕의 유명대로 능침에 석실을 만들지 말 것을 전지하다 / 163
명나라 자의 황태후가 훙하니 변포를 보내 진위하게 하다 / 163
고령군 신숙주 등이 능침에 적당한 땅을 다시 고를 것을 청하다 / 164
대행 대왕의 자복을 위해 금니로 사경하게 하다 / 164
9월 20일 박원형이 대행 대왕의 혼전과 중궁 책봉 문제를 아뢰다 / 164
9월 21일 혜성이 나타나다 / 165
* 행 대호군 장진충을 명나라에 보내 정조를 하례하게 하다 / 165
신숙주·한명회·구치관·박원형·최항·홍윤성·김질 등을 원상으로 삼다 / 165
산릉 도감·국장 도감의 일을 문종의 장의에 의거하게 하다 / 165
중 신미·수미·학열·학조 등이 광연루에 머물면서 한계희와 담론하다 / 166
9월 22일 혜성이 나타나다 / 166
원상들이 능침에 석실을 쓸 것을 건의하였으나 윤허하지 않다 / 166
이조에서 상중에 제수하는 구례와 날짜를 아뢰므로 그대로 따르다 / 170
병조의 생기에 군액이 감소된 연유를 묻다 / 171
수빈과 숙의, 소훈 등에게 멥쌀을 내려 주다 / 171
호조에서 번이 갈리면서부터 정한을 계산하여 횡간을 기록할 것을 건의하다 / 171
옛 경희전이 혼전을 만들기에 적합하므로 선공감에게 수리하게 하다 / 172
9월 22일 혜성이 나타나다 / 172
병조 좌랑 최팔준을 의금부에 가두어 국문하게 하니 숙위 군사가 적기 때문이다 / 172
예조에 명하여 여러 포에 사는 왜인의 수를 계달하게 하다 / 173
군사의 수를 과장한 병조 낭관을 추국하게 하다 / 173
신숙주·구치관·조석문 등에게 상지관을 거느리고 경기에 가서 상지하게 하다 / 174
역부를 돌려보내게 하니 석실을 짓지 않기 때문이다 / 174
조지서 제조가 구임을 두어 관사의 허술함을 보충할 것을 건의하다 / 175
종친 영순군 이부가 빈전에 진향할 때 제품의 대소를 품하다 / 175
9월 24일 혜성이 나타나다 / 175
대행 대왕의 존호와 시호를 속히 정할 것을 전교하다 / 176
9월 25일 혜성이 나타나다 / 178
2품 이상과 함께 의논하여 묘호·시호·능호·혼전을 정하다 / 178
함길북도 관찰사와 절도사 에게 일에 능한 자를 배전 차사원으로 택하게 하다 / 179
9월 26일 혜성이 나타나다 / 179
* 여러 종친과 재추에게 전에 가려서 정한 산릉의 터를 살피게 하다 / 179
직숙한 위사의 수를 마음대로 줄인 최팔준의 죄를 정하게 하다 / 179
9월 27일 혜성이 천시원으로 들어가니 소격전과 내불당에서 기도하게 하다 / 179
밤에 천둥하고 번개치니 승정원에 억울한 죄수를 계달하게 하다 / 180
의금부에서 최팔준의 죄를 정하니 파직시키다 / 180
9월 28일 혜성이 나타나다 / 180
* 손차면·김이정·최팔준을 석방하여 복직시키고 형조의 죄수 7인을 석방하다 / 181
조석전에 배례하는가의 여부를 상고하게 하다 / 181
종친과 재추들에게 능침에 적합한 곳을 살펴 정하게 하다 / 181
민간의 소란함을 염려하여 내지에서 쌀값을 받게 한 것을 정지시키다 / 182
9월 29일 혜성이 나타나다 / 182
시호의 ‘의숙’이 하성위 공주의 작호와 같으므로 ‘의’를 ‘흠’으로 바꾸게 하다 / 182
예조에서 태비전의 방물을 예전대로 따를 것을 건의하다 / 183
* 일본국 대마주 태수 종정국과 종정수가 토물을 바치다 / 183
9월 30일 혜성이 나타나다 / 183
종친과 재추에게 명하여 정흠지의 묘자리를 살피게 하다 / 183
의정부에서 백관을 거느리고 빈전에 진향하다 / 184
병조와 도총부에 명하여 궐내의 순찰과 보경의 일을 엄하게 하다 / 185
함길북도 절도사 김교가 훈춘의 야인들이 곧 도둑질할 것임을 아뢰다 / 185
제사에서 행할 일들은 주장관에게 전보하게 하다 / 185
도승지 권감이 서소 위장 금산정 이연을 추국하기를 청하였으나 윤허치 않다 / 186

- 이하 목차 생략 -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