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이융의 연산군일기 1

이융의 연산군일기 1

  • 이남철
  • |
  • 공감의힘
  • |
  • 2023-04-25 출간
  • |
  • 904페이지
  • |
  • 150 X 225mm
  • |
  • ISBN 9791169740289
판매가

39,500원

즉시할인가

35,55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5,5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서언 / 5
본서(「연산군일기」1권)에 나오는 주요인물 / 41
연산군일기 총서 / 71

연산 즉위년(1494년 12월)

12월 25일 ㆍ 이극돈 등이 성종의 염습을 정침에서 집행할 것을 아뢰다 / 73
ㆍ 을시에 습할 때 백관이 인정전에 들어와 곡하다 / 74
ㆍ 습을 마치고 제사가 끝나지 않아 세자가 나가자 신승선·노사신 등이 말리다 / 74
ㆍ 예조 판서 성현이 절에서 제 지낼지를 묻자 왕비가 허락하다 / 74
ㆍ 정시에 소렴할 때 노사신·신승선·이극돈 등이 들어와 염하고 백관이 곡림하다 / 75
ㆍ 이극균·한치형 등을 국장 도감 제조로, 정문형·유순 등을 산릉 도감 제조로 삼다 / 75
12월 26일 ㆍ 왕세자가 두 대비와 왕비전께 죽 들기를 청하자, 승정원이 먼저 세자에게 청하다 / 76
ㆍ 왕비가 성복할 날짜를 변경하려 하다가 빈전 도감 제조 이극돈의 반대로 그치다 / 77
ㆍ 부모의 상과 임금의 상이 겹친 유자광의 입장에 대하여 신하들이 찬반 토론하다 / 78
ㆍ 성종을 위하여 수륙재를 올리려 하자 강백진·이의손이 반대하여 상소하다 / 79
ㆍ 승지 강귀손이 태종에 대한 세자의 호칭 문제를 상고할 것을 아뢰다 / 81
ㆍ 승정원과 예조가 작호를 받은 부인의 상복을 백의 3년으로 할 것을 의논하다 / 82
12월 27일 ㆍ 승정원이 수라 들기를 권하여 이에 따르다 / 82
ㆍ 강백진·이의손이 불사의 폐해를 아뢰다 / 83
ㆍ 홍문관 부제학 성세명 등이 불사를 하지 말도록 서계하다 / 83
ㆍ 모친상과 국상이 겹친 유자광에게 모친상을 따르도록 하다 / 85
ㆍ 표연말·양희지·권주 등이 성종을 위하여 불재를 지내지 말 것을 서계하다 / 86
ㆍ 홍문관 수찬 손주가 수륙재를 올리는 소문을 짓기를 사양하다 / 87
ㆍ 예문관 봉교 이소 등이 성종의 불교 배척 의지를 본받기를 아뢰다 / 88
ㆍ 홍문관 부제학 성세명 등이 절에 재 올림을 책하고, 영의정 이극배가 사직을 청하다 / 89
12월 28일 ㆍ 노사신이 절에 재 올림을 조종조의 고사로써 가볍게 여기다 / 89
ㆍ 홍문관 부제학 성세명 등이 재 올림의 옳고 그름을 대신에게 묻기를 청하다 / 90
ㆍ 사헌부 장령 강백진이 즉위한 처음에 재 지내지 말기를 아뢰다 / 91
ㆍ 홍문관 수찬 손주가 불사를 거행하는 일로 소문짓기를 거절하여 승지가 짓다 / 91
ㆍ 축수재를 지냄에 대해 강백진·이의손 등이 하지 말기를 서계하였으나, 듣지 않다 / 93
ㆍ 예조가 태종 대왕의 칭호를 임시로 칭하고, 홍문관이 옛 제도를 상고하도록 아뢰다 / 94
ㆍ 5일 동안 철시하다. 모든 백성과 왜인까지 슬퍼하다 / 95
12월 29일 ㆍ 승정원이 즉위 때 사령을 반포할 것을 아뢰니, 정승들이 충군자만 석방토록 아뢰다 / 95
ㆍ 미시에 성복하다. 의례를 마치고 중외에 사령을 반포하다 / 96
ㆍ 성균관 유생 조유형 등이 선왕을 위해 재를 지냄은 효도가 아니니 금지를 청하다 / 99
ㆍ 정언 이의손이 송흠·김흥수가 성종에게 약을 잘못 썼다하여 극형 징계를 청하다 / 100
ㆍ 정승들과 국사를 의논하라는 성종의 유교를 시행토록 승정원에 전교하다 / 101
ㆍ 강백진·이의손이 수륙재에 대한 대간의 간언을 금지한 데 대해 실망을 아뢰다 / 101

연산 1년(1495년 1월)

1월 1일 ㆍ 왕이 빈전에서 조전하고 백관이 곡림하다 / 102
ㆍ 홍문관 부제학 성세명 등이 재 지내는 일로 아뢰지 못하게 하는 잘못을 아뢰다 / 102
ㆍ 유자광이 어머니의 상을 당하고 임금의 상에 참가함에 대신들과 논란하다 / 103
ㆍ 대간이 합사하여 설재의 그른 것을 논하니 노사신이 입계하지 말도록 하다 / 105
ㆍ 승정원이 재 지내는 것을 허락치 말도록 아뢰었으나 왕이 따르지 않다 / 106
ㆍ 성균관 생원 조유형이 재 지내는 것이 선왕의 정치에 누가 된다고 상서하다 / 107
ㆍ 의정부와 육조가 성종의 상을 당하여 의관에게 죄주기를 청하다 / 109
ㆍ 노사신·정문형 등이 서계하여 세조의 유교에 따라 사대석만 만들기로 하다 / 109
ㆍ 고부사 청시 청승습사가 중국 조정의 연회에 음악을 듣고 꽃 꽂는 것을 따르기를 아뢰다 / 110
1월 2일 ㆍ 대간이 합사하여 재 지내지 말기를 거듭 논계했으나 좇지 않다 / 110
ㆍ 성균관 생원 조유형 등이 재 지내는 것을 허망한 것이라 하고 노사신을 비난하다 / 110
ㆍ 왕대비가 성종의 효성에 대해 한글로 교지를 내리다 / 113
1월 3일 ㆍ 홍문관 부제학 성세명 등이 성종의 어서를 들어 불교를 믿지 않았음을 아뢰다 / 114
ㆍ 성균관 생원 조유형 등이 불공의 불가함을 상서했으나, 듣지 않다 / 114
1월 4일 ㆍ 호조 판서 홍귀달 등이 황해·충청·경기의 실농으로 경비를 절약하기를 아뢰다 / 114
ㆍ 윤필상·노사신·신승선·등이 대간의 탄핵을 받고 사직을 청하다 / 115
ㆍ 성세명 등은 설재의 부당함을 아뢰고, 권유는 소를 지을 수 없다 하다 / 116
ㆍ 성균관 생원 조유형 등이 설재를 찬성한 노사신을 탄핵하다 / 117
ㆍ 예문관 봉교 이주 등이 「논어」의 효를 들어 설재의 명령을 거두기를 상서하다 / 117
1월 5일 ㆍ 홍문관 교리 권유가 설재의 부당함을 서계하고, 성세명 등이 소 짓기를 사양하다 / 120
ㆍ 병조에서 군적청을 파하는 대신 인원수를 감하기를 아뢰다 / 121
ㆍ 예조에서 진향하는데 정해진 대로 사치스럽게 하지 말기를 건의하다 / 121
1월 6일 ㆍ 고부사 등이 떠날 때 관가에서 의복을 주도록 하다 / 121
ㆍ 승정원에서 성종 때 사신으로 간 자들의 복명하는 예를 참작하도록 아뢰다 / 122
1월 7일 ㆍ 제2재를 진관사에서 행하다 / 122
ㆍ 대비가 진향할 때 왕의 곡위 전례를 상고하도록 하다 / 123
ㆍ 승정원에서 중국 사신의 접대 물자를 미리 준비할 것을 아뢰니, 신수근에게 묻다 / 123
1월 8일 ㆍ 왕대비가 내명부를 거느리고 빈전에 진향하고, 왕이 곡위에 나아가다 / 123
ㆍ 승정원이 왕의 잦은 소변에 대한 치료약을 아뢰다 / 124
ㆍ 사은사 신준이 중국에서 면창을 치료하는 약을 가지고 오다 / 124
1월 9일 ㆍ 승정원에서 왕의 옥체를 염려하여 조석전에만 곡위에 나가도록 청하다 / 125
1월 10일 ㆍ 승정원에서 왕의 몸이 상함을 염려하여 조석전에만 곡림하기를 청하다 / 125
ㆍ 윤필상 등이 산릉의 자리에 대해 아뢰니 광평 대군의 묘로 정하다 / 125
1월 11일 ㆍ 윤필상 등이 성종의 장지로 광평의 묘를 주장하니, 예의를 갖추어 이장하게 하다 / 129
1월 12일 ㆍ 원상 및 승정원이 왕의 병을 걱정하여 조석전에만 곡림하기를 아뢰다 / 131
ㆍ 성종의 현궁 내리는 날짜에 대해 전교하다 / 131
ㆍ 내섬시 정 이균과 승정원이 삼재의 소문 짓기를 사양했으나 균에게 짓게 하다 / 132
1월 13일 ㆍ 고부 청시 청승습사 이계동·이육이 명으로 가 고부표와 청시표를 바치다 / 132
ㆍ 성종 대왕의 행장 / 133
1월 14일 ㆍ 정부·육조·홍문관 등의 5품 이상이 성종의 시호·묘호 등을 의논하다 / 152
1월 15일 ㆍ 망전을 의식대로 행하다 / 153
ㆍ 성종의 시호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나 성종으로 따르다 / 153
1월 16일 ㆍ 윤필상·노사신·신승선 등과 산릉 제조에게 산릉의 사방을 살피게 하다 / 157
1월 17일 ㆍ 성종의 정치를 하는 도에 관한 책을 관에 넣지 말게 하다 / 157
ㆍ 삼전께 문안 드릴 때 옷에 관해 물으니, 심의가 좋다 하다 / 158
ㆍ 예조 판서 성현이 왕비들의 복이 끝나 가니 지방에 어육을 진상케 하기를 아뢰다 / 159
ㆍ 정승들이 인수·인혜 두 대비께서 친히 진향하지 못하게 하다 / 159
ㆍ 성세명 등이 성종의 시호를 ‘인’자로 하기를 청하다 / 160
1월 19일 ㆍ 시강원 보덕 이거가 불사의 그름을 아뢰고, 소문을 짓지 않기를 청하다 / 163
1월 20일 ㆍ 월산 대군 이정의 처 승평 부인이 진향하다 / 164
ㆍ 면창이 나서 중국에 가서 약을 구해 오게 하고 조제법까지 물어 오게 하다 / 164
ㆍ 노사신·신승선 등이 중국 인종의 시호를 씀이 참람된 것임을 서계하다 / 165
1월 21일 ㆍ 사재를 정인사에서 거행하다 / 166
ㆍ 국장 도감 당상 이극균·한치형 등이 발인 할 때 거쳐 갈 길과 길일을 아뢰다 / 166
ㆍ 홍문관이 편휘하여 인종이라 쓰지 말자는 대신의 의견에 대해 관계 없음을 아뢰다 / 167
1월 22일 ㆍ 처음으로 정사를 보다 / 169
ㆍ 지평 안윤덕이 성종의 승하 때 혼인한 자 등을 국문하기를 청하다 / 169
ㆍ 대간의 두 상소문을 승정원에 등서하도록 이르다 / 170
ㆍ 유생의 재 금지 상소가 지나치다 하여 가두자, 신료들이 언로를 열어주기를 바라다 / 170
1월 24일 ㆍ 계성군 이순이 진향하다 / 174
ㆍ 대간·홍문관 등이 유생을 국문함이 언로를 막는 일이라 하여 용서하기를 청하다 / 175
ㆍ 유생의 용서를 허락하다. 사헌부가 상피를 범한 신용개 등을 추국하기를 청하다 / 181
1월 25일 ㆍ 승지 권경우가 의금부에서 유생을 추국한 안을 아뢰다 / 182
ㆍ 이조 판서 이극돈이 신용개 등을 천거한데 대해 책임지고 사퇴를 청하다 / 183
ㆍ 이의·윤민·성세명 등이 유생을 추국함은 타당치 못하다고 아뢰다 / 183
ㆍ 이철견을 서용하고, 파직된 사람을 원상과 의논하여 서용하게 하다 / 185
ㆍ 경기 관찰사 신종호가 산릉에 부역한 군민을 진대하기를 아뢰다 / 185
ㆍ 성현이 「오례의」 혼전 우제 의주가 전례와 다름을 지적하여 고제를 상고하게 하다 / 186
1월 26일 ㆍ 안양군 이항의 진향 때 상아로 만든 권자를 쓰다 / 186
ㆍ 홍문관·대간이 유생을 국문함이 타당치 못함을 논하였으나, 듣지 않다 / 187
ㆍ 정희량·조유형 등 유생들을 부처하거나 정거하다 / 189
ㆍ 이조가 파직된 사람을 아뢰니, 정석견·오순 등을 서용하다 / 189
ㆍ 이조가 수령 후보를 천거하니, 노사신·신승선이 황표를 붙인 자들이 채택되다 / 190
ㆍ 정승과 정부에 새로 즉위한 때를 맞아 가언을 올릴 것을 전교하다 / 190
ㆍ 산릉 도감 제조 이세좌가 장사를 치르고자 군인 3천 인을 가정하기를 청하다 / 190
ㆍ 대행 대비가 산릉에 시위하고자 하니, 전례가 없어 불가하다고 말리다 / 191
ㆍ 생원 이공수 등이 조유형과 벌을 함께 하기를 상언하다 / 191
ㆍ 산릉 지역에 묘 있는 자들을 차등하여 치루고, 군인을 주어 이장하게 하다 / 192
1월 27일 ㆍ 대간과 홍문관이 유생을 죄주는 것이 타당치 못함을 논계하다 / 192
ㆍ 표연말·성세명 등이 중국의 예를 들어 직언을 위하고 언로를 열어 주기를 바라다 / 192
ㆍ 정희량·이목 등을 귀양 보내고, 생원 조유형 등 21인을 과거 응시를 정지시키다 / 194
ㆍ 이철견·정경조·박건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195
ㆍ 영돈령부사 윤호가 성종의 유지를 받드는 것이 효도임을 진언하다 / 195
ㆍ 파평 부원군 윤필상이 「서경」 무일편과 「시경」 칠월편을 본받기를 진언하다 / 196
ㆍ 인수 대비가 편찮자, 김흥수와 송흠을 내약방에 입직시키다 / 197
ㆍ 의정부에서 양대비에게 복이 다 끝났으므로 고기를 들기를 권했으나, 듣지 않다 / 197
ㆍ 홍문관이 순임금의 예를 들어 간언을 받아들이고 성명을 거두도록 상차하다 / 198
ㆍ 영의정 이극배가 수신·납간·구현·절용·애민을 여쭈니 등사하도록 하다 / 199
ㆍ 대간과 홍문관이 유생의 일로 상소하였으나, 듣지 않다 / 199
1월 30일 ㆍ 성준·홍귀달·성현·권건이 유생을 풀어주기를 아뢰다 / 201
ㆍ 이조 참판 안침이 유생의 불경죄를 용납하여 언로를 열어 주기를 서계하다 / 202
ㆍ 대신들이 유생을 풀어 주기를 논함에, 유생의 죄를 위를 능멸하는 풍습으로 보다 / 203
ㆍ 성세명 등이 유생을 귀양 보낸 것은 공의를 거스리는 것이라 상차하다 / 203

- 이하 목차 생략 -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