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송 시대 홍매가 독서하며 얻은 지식을 그때마다 정리해 집대성한 것으로 역사, 문학, 철학, 정치 등 여러 분야의 고증과 평론을 엮은 학술적 내용의 필기다. ≪용재수필≫ 16권, ≪속필(續筆)≫ 16권, ≪삼필(三筆)≫ 16권, ≪사필(四筆)≫ 16권, ≪오필(五筆)≫ 10권인 5부작으로 구성되어 있다. ≪오필≫을 제외하고는 각 편마다 서문이 있는데 ≪사필≫의 서문에서 “처음 내가 ≪용재수필≫을 썼을 때는 장장 18년이 걸렸고, ≪이필≫은 13년, ≪삼필≫은 5년, ≪사필≫은 1년도 채 걸리지 않았다”고 했다. 이와 ≪오필≫을 합쳐 본다면 홍매는 근 40년의 세월을 ≪용재수필≫과 함께한 셈이다. 총 1229조목에 달하는 분량은 개인의 필기로는 보기 드문 것으로 여기에는 홍매 일생의 모든 학식이 오롯이 담겨 있다.
흔히 에세이(essay)의 의미로 사용하고 있는 ‘수필(隨筆)’이라는 용어를 제일 처음 사용한 용례가 바로 ≪용재수필≫이다.
그러나 홍매가 사용했던 ‘수필’이라는 용어의 함의는 지금처럼 개인의 경험과 감상을 가볍게 서술하는 신변잡기식의 감성적 글쓰기와는 거리가 있다. 홍매는 자신의 글을 ‘수필’이라 명명한 이유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생각이 가는 대로 써 내려갔으므로 두서가 없어 수필이라 했다.” 생각을 따라 자유롭게 쓴 글이라는 의미로 보이지만, 실제 내용은 그렇지 않다. ≪용재수필≫은 경전(經典)과 역사, 문학 작품에 대한 고증과 의론, 전인(前人)의 오류에 대한 교정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독서의 심득을 기록한 공부의 산물이다. 그의 ‘생각’은 주로 학문적인 것에 국한한 것이었다. 다만 시종일관 엄중한 태도로 치밀하고 객관적인 논증이나 규명의 과정을 거치기보다는 학문적 심득과 단상을 가볍게 임의대로 풀어낸 것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학술 저작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무겁고 덜 체계적이다.
따라서 문학적이고 서정적인 글에 대한 기대로 이 책에 접근한다면 실망과 무료함에 책을 덮을 수도 있다. 그러나 홍매가 보여 주는 역사와 현실을 통찰하는 탁월한 식견과 다방면을 두루 섭렵하고 꿰어 내는 박학다식함, 정연한 논리는 ≪용재수필≫을 ‘남송 필기 중 최고 작품’으로 인정받게 했으며, 고문의 대가인 구양수(歐陽脩)나 증공(曾鞏)도 따를 수 없다는 찬사까지 받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