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브르의 질문
프랑수아 라블레는 ≪가르강튀아≫, ≪팡타그뤼엘≫의 저자로 잘 알려진 16세기의 작가다. 강한 개성으로 생존 시에 격렬한 반발을 불러일으킨 그는 ‘무신론자와 자유사상가의 선구자’, ‘20세기 자유사상가들의 우두머리’로 평가받곤 했다. 그가 살았던 16세기는 어떤가? 후대의 사람들은 인문주의와 종교개혁의 시대인 16세기를 회의주의·자유사상·합리주의의 세기로 칭송했다. 프랑스의 역사학자 뤼시앵 페브르는 이에 반문을 던진다. “라블레는 과연 무신론자였는가? 그리고 그의 시대는 무신앙을 가능하게 해 주었는가?”
라블레를 비난하던 동시대인의 ‘무신론자’라는 말과 오늘날에 쓰이는 ‘무신론자’라는 말은 그 의미가 상이하다. 16세기에는 기독교가 삶의 모든 영역에 스며들어 일상과 분리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또한 16세기의 과학과 철학은 무신론을 전개하고 체계화할 만한 그 어떤 “심성적 도구”도 제공하지 못했다. 그 시대 사람들은 현대인의 눈으로 터무니없어 보이는 비학(秘學)에서 불완전한 대안을 찾을 수밖에 없었다. 페브르는 16세기가 “믿기를 원하던 시대”였으며, 그 속의 라블레는 무신론자가 아니었을 뿐만 아니라 무신론자가 될 수도 없었다는 결론을 내린다.
심성, 구조, 역사
페브르는 라블레가 무신론자인지 아닌지를 검토하기 위해 삶, 철학, 언어, 과학, 음악, 감각, 마녀, 비학 등 16세기의 구석구석을 들여다본다. 이를 통해 페브르는 그 시대 사람들의 심성(men- talités, 망탈리테)을 재구성한다. 심성이란 농민, 부르주아, 시민과 같은 집단, 혹은 페브르식으로 16세기인 전체의 집단 심성을 말한다.
페브르의 심성사는 구조주의적이다. 역사가에게 구조는 ‘한계’를 의미한다. 우리는 흔히 역사를 바꾼 예외적인 개인에 대해 말하지만, 그러한 사람조차 아무리 노력해도 벗어날 수 없는 한계가 바로 구조고 그 시대의 심성이다. 이 책이 16세기와 라블레의 관계를 통해 제기하고자 한 것은, 달리 말하면 역사가들의 중요한 문제인 개인의 창의력과 구조의 관계인 것이다.
페브르는 정작 그 시대에 없었던 개념과 언어로 과거에 대해 이해하고 평가하려는 시도를 “시대착오”라며 통렬하게 비판한다. 지금의 관점을 소급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의 눈으로 역사를 보아야 한다는 것이 이 책에 담긴 페브르의 주장이다. 역사적 방법론뿐만 아니라, 인간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도 많은 통찰을 얻을 수 있는 책이다.
이 책은 1962년 알뱅 미셸(Albin Michel) 출판사에서 출간된 ≪Le problème de l’incroyance au 16e siècle: La religion de Rabelais≫를 원전으로 삼아 전체의 15% 정도를 발췌, 번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