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팬데믹 3년을 지내며 종교는 코로나 이전과는 완전히 다른 존재가 되었다. 종교에 관한 사회적 인식은 되돌리기 어려운 수준으로 악화했고, 포스트코로나 시대 새로운 질서와 함께 호흡하기 어려운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역설적으로 팬데믹 기간은 한국 사회의 현재를 이해하고 설명할 때 종교가 얼마나 중요한지 확인하게 해 주었다. 종교를 깊이 있게 고려하지 않고는 한국의 현실을 제대로 파악하거나 이해할 수 없으며, 당연히 미래에 대한 타당한 예측도 불가능함을 절감하는 계기였다. 미디어와 종교의 만남이 시사하는 교훈이다.
[미디어, 종교로 상상하다]는 이러한 미디어와 종교에 관해 들여다보는 책이다. ‘미디어와 종교’를 오래 연구해 온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미디어의 종교 재현을 들여다보고 이를 통해 종교는 어떤 것이어야 하는지를 일깨운다. “오늘날 종교는 필요한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하는 이 책은 ‘매개 종교’라는 개념을 통해 미디어가 그려내는 종교에 대해 읽어낸다. 세월호 참사와 코로나 팬데믹의 재난 속에서 미디어는 종교를 어떻게 소환했으며, 종교는 어떻게 반응했는지 살펴본다. 종교에 비판적인 저널리즘 사례를 통해 그 함의를 종교에 대한 ‘기대’로 설명한다. 또한 종교 집단이 미디어를 바라보는 방식과 논리, 제도 종교가 미디어를 어떤 존재로 규정하는지에 따라 만들어지는 결과를 논의한다. 김수환 추기경, 법정 스님, 옥한흠 목사 등 신망이 높은 종교 지도자의 죽음을 미디어는 어떤 태도로 보도했는지, 프란치스코 교황, 래퍼 비와이, 대중문화 속 ‘힐링’ 담론은 각각 사회가 기대하는 종교의 사회적 역할이 무엇이라고 말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읽어 본다. 아울러 〈오 나의 귀신님〉, 〈싸우자 귀신아〉와 같은 초월성과 초자연성이 등장하는 픽션 텍스트를 통해 종교를 다루는 미디어의 궁극적 관심을 살펴본다. 이러한 사례들을 통해 미디어가 종교를 통해 ‘상상’하는 것은 절망적 현실을 벗어나 새롭게 꿈꿀 세상임을 보여 준다.
미디어에 묻고 답하다
현대 사회에서 미디어는 종교를 발견하는 핵심 장소다. 미디어와 종교가 만나는 다양한 지점을 잘 들여다보면 종교가 여전히 필요한지를 둘러싼 사회적 합의를 읽어 낼 수 있다. 더구나 미디어를 통해 종교의 필요성을 따져 보는 일은 지금 우리 사회가 서 있는 자리를 확인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일이기도 하다. 미디어가 종교를 다룰 때 강조하는 바가 한국 사회에 무엇이 결핍되어 있는지, 무엇이 충족되어야 하는지 등을 분명하게 드러낸다. 이를 통해 이 책은 한국 사회의 현재를 비판적으로 진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의미 있는 변화의 방향성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