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 사회는 정보화 시대를 지나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스마트 사회(Smart Society), 초연결 사회로 진화하고 있고, 우리의 실생활 또한 엄청나게 변화하고 있다. 누구든지 스마트 기기만 가지고 있으면 어느 곳에 있든 초고속통신망인 인터넷을 통해서 전 세계 모든 정보를 원하는 대로 찾아보고 활용할 수 있어서 정치, 금융, 행정, 교육, 국방 등 거의 모든 산업 분야에 엄청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특히, SNS를 통한 소통의 변화는 시공간을 초월해서 전 세계 모든 사람과 소통할 뿐만 아니라 공통의 관심을 가진 분야의 사람끼리 원하는 목적을 위해 마음대로 소통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이렇게 우리 삶의 거의 모든 분야에서 변화를 가져다준 인터넷(Internet)은 우리가 알고 있는 다양한 좋은 점(순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반대로 이에 못지않게 우리에게 엄청난 피해를 줄 수 있는 여러 가지 역기능을 가지고 있다. 각종 악성코드, 악의적인 해킹, 도청, DDoS 공격, 개인정보 침해사고 등이 날이 갈수록 새롭게 생겨나고 있으며, 그 유형 또한 점점 더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역기능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응책으로서 다양한 정보보호(security 또는 보안) 기술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인터넷 보안 기술에 대한 기초적이고 체계적으로 다룬 책은 많이 나와 있지만, 대부분은 이론 중심의 책이다. 더군다나 최근에 많은 대학에서 보안 관련 학과를 개설해서 운영되고 있지만 전공분야 학생들뿐만 아니라 보안에 관심이 많은 일반인에게 보다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제적이고 실무적인 내용을 담은 책은 많지 않았다.
인터넷 보안 관련과 위협과 공격을 실습을 통해서 학습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없다고 생각하던 차에 미국 시라큐스대학의 Wenliang Du 교수가 쓴 “Internet Security” 3판 책을 접하고 이 책이 인터넷에서 동작하는 TCP/IP 프로토콜과 각 계층에서 일어날 수 있는 보안 위협과 공격을 실제로 실습을 통해서 학습할 수 있는 좋은 책이라고 생각되어 번역해서 출간하게 되었다.
이 책의 내용은 저자가 수년에 걸쳐 구축한 실험, 실습 내용(SEED Lab)을 학생들이 직접 접속해서 실습과 구현을 해보면 계층별로 가지고 있는 취약점과 공격, 나아가 대응책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또, 대학에서도 교수 개인별 또는 학과별로 실험, 실습 환경을 구축하기 보다는 무료로 제공하는 SEED Lab을 활용하면 보다 알찬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 책은 인터넷의 계층구조에서 데이터 링크계층에서부터 응용계층까지 각 계층이 가지고 있는 취약점과 공격들을 SEED Lab을 통하여 실제 실습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