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의 특징 ◆
왜 ‘과학사’인가?
과학사를 얘기하기 전에 왜 과학을 싫어하고 어려워하는 아이들이 많을까? 과학만큼 세상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는 게 많지 않다. 그리고 과학적 방법론을 갖고 세상을 이해한다는 것이 더 불확실한 세상에 큰 무기가 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아이들이 학년이 올라갈수록 과학을 포기하곤 한다. 왜 과학이 어렵고 재미없게 되었을까?
고윤곤 작가는 바로 바로 ‘이야기’가 빠졌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바로 ‘이야기’가 빠졌기 때문이에요. 이야기가 빠지니 밑도 끝도 없이 과학 지식을 외워야하는 따분한 공부가 되고 만 것이죠. 과학도 사람들이 발명하고 발견한 것이고, 그 과학자들에게는 저마다 독특한 이야기가 살아 있는데 말이에요. 그 이야기를 빼고 과학만 얘기하니 재미없을 수밖에요.
작가가 〈읽똑 만화 과학사〉를 기획하고 만들게 된 이유가 여기에서 시작된다. 작가는 과학 지식이 만들어지는 생생한 역사의 현장에서, 과학자의 이야기를 들려준다면 어렵게 느껴지는 과학의 원리를 자연스럽게 알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과학사를 아는 것은 분명 아이들에게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첫째, 세상을 이해하는 데 과학은 큰 도움을 준다. 과학사는 과학적 발견과 발명 당시의 방법과 원리를 이야기와 함께 풀어놓기 때문에 과학을 이해하기 쉽게 한다. 둘째, 과학사를 알게 되면 가설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증거를 분석하고, 정보의 출처를 평가하는 등의 비판적 사고력, 즉 과학적 방법론을 체득하게 된다. 셋째, 과학사를 아는 것은 최근 중요시되는 융합적 사고력를 키우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과학사는 당시 사회 문화적 발전과 그 토대에서 과학적인 발견과 발명이 이루어지는 이야기와 기존에 발견이나 발명된 원리를 바탕으로 새로운 것을 찾아나가는 과정이 통합적으로 그려지기 때문이다.
실제 ‘과학사’를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수업에 활용했을 때, 과학에 대한 학습 동기와 이해를 과학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는 연구도 있다. 하지만 과학사를 접하는 것은 쉽지 않다. 과학사가 방대하고 그 내용을 모두 얘기할 수 있는 시간이나 공간이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학교에서도 그러다보니 과학사보다는 현상이나 지식 중심으로 가르치기 바쁘게 된다.
〈읽똑 만화 과학사〉는 이러한 고민을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시리즈이다. 5권으로 계획된 〈읽똑 만화 과학사〉는 사람들이 불을 사용하고, 기초적인 도구를 사용했던 것부터 뉴턴, 아인슈타인을 넘어 최근 양자물리학과 유전학, AI 까지를 모두 다룬다. 그래서 이야기처럼 읽고 그 흐름 속에서 과학적 원리와 지식을 자연스럽게 배워 나가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이야기를 넘어 원리까지 풀어내는 깊이 있는 과학
과학을 쉽게 이야기한다는 경우에 과학자들의 에피소드를 이야기로 다루는 경우가 많다. 아르키메데스가 목욕탕에서 벌거벗고 뛰어 다니며 ‘유레카’라고 외쳤다는 에피소드는 다들 들어봤을 것이다. 하지만 아르키메데스가 어떤 과학적 발견을 했고, 그 과학의 원리와 지식을 제대로 아는 경우는 많지 않다.
특히 과학사라고 하니, 과학자들의 역사를 나열한 것으로 착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책은 과학의 발견과 발명을 역사의 흐름 속에서 얘기한다. 에피소드로부터 출발해서, 그것이 발견 또는 발명된 배경을 풀어놓고, 그 속에 담긴 원리를 그림으로 설명하고 있다. 중간 중간 어려운 어휘의 경우, 그 어휘가 갖는 원래 뜻을 얘기하면서 과학을 풀어놓는다.
이정모 전 국립과천과학관장은 〈읽똑 만화 과학사〉를 이렇게 평가하였다.
유쾌한 삼촌이나 이모가 조카에게 들려주는 과학사 이야기다. 어린 시절 할머니 이야기만큼이나 재밌다. 그러면서도 옛날이야기에 그치지 않는다. 최신 과학과 기술의 수준을 함께 보여 준다. 과학과 과학사가 한데 어우러진 멋진 시리즈다.
2권을 들여다보면, 독일의 과학자 쇤바인이 실험에서 실수를 통해 니트로셀룰로오스라고 하는 화약을 발명한 게 나온다. 그 속에서 화약이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지, 화약의 발달이 어떻게 되어 가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노벨이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하게 된 것과 이후 로켓이 무엇이고 로켓의 원리인 작용 반작용의 법칙에 대한 것까지 꼬리에 꼬리를 물면서 과학 이야기를 풀어낸다. 풍부한 지식이 이야기에 실려서 들어오다 보니 책장을 넘기는 것만으로도 똑똑해지는 것을 느끼게 한다.
그림과 비유로, 쏙쏙 이해시키는 쉬운 과학
좋은 학습만화는 재미와 교육적인 요소를 모두 갖춘 작품이다. 재미있는 이야기가 배울 지식을 즐겁게 만들며, 동시에 학습자가 배워야 할 내용을 명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방식으로 전달해야 한다. 특히 학습하려는 어려운 개념을 만화라는 형식을 통해 시각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구성되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읽똑 만화 과학사〉는 매우 좋은 학습만화이라고 할 수 있다. 과학이라는 어려운 개념과 지식을 재미있는 이야기와 유머를 통해 전달하고 있다. 특히 어려운 개념을 여러 비유와 그림을 통해 풀어서 전달하고 있어, 말로 여러 번 얘기하는 것보다 훨씬 더 빠르게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소의 순환을 설명하는 장면을 보자. 식물이 개가 변을 보는 모습을 보며 이렇게 말한다. “맛있게 먹고 더럽게 돌려주네!” 이러한 유머를 통해 암모니아나 요소 속에 질소가 식물의 뿌리를 통해 흡수되고, 그 질소가 매우 식물의 성장에 중요하다는 것을 말한다. 질소의 순환은 계속 확장되어 나간다. 유럽에서 왜 삼포식 농업을 했고, 칠레 초석이라는 것이 한때 큰 이슈였던 것, 비료를 개발하게 되는 것까지 풀어서 그려낸다.
정말 과학이 이렇게 쉽고 재밌게 얘기할 수 있구나하는 것을 〈읽똑 만화 과학사〉를 통해 느끼게 될 것이다.
◆ 주요 내용 ◆
건축의 발전사로 이야기가 시작된다. 건축 재료로부터 건축에서 기둥에 걸쳐진 보를 어떻게 지탱시킬 것인지에 대한 부분, 그 속에서 나온 아치를 설명한다. 시간과 달력의 발명, 문자의 발명, 숫자의 발명 등과 그리스 자연 철학이 서양 과학의 시초라고 할 수 있다는 얘기를 푼다. 그리고 중세 암흑 시대에 등자와 편자의 발명, 비료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화약까지 이야기를 넓혀서 풀어놓는다. 그리고 나침반에서 시작한 항해술에 대한 이야기는 GPS의 원리를 설명하며, 활자와 인쇄기의 발달과 원리를 이야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