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부진, 어쩔 수 없는 것일까?코로나19 이후 교사들은 심각한 학습 격차와 사회성 감성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이전에도 학습부진 현상은 존재했지만, 코로나19는 그 격차를 더욱 크게 만들었다. 특히 취약계층 아이들의 학습 어려움은 심각한 수준이다. 이 문제를 어떻게 접근하고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야 할까? 가르치는 학생들이 학습에 의욕이 없고 예의를 지키지 않을 때 교사들은 처음엔 혼을 내다가 결국 좌절하고 문제를 회피하기 쉽다. 교사의 처벌이나 무관심은 오히려 학생들로 하여금 스트레스를 가중시키고 자기 존중감을 잃게 만들어, 결과적으로 학업 성취에 더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학습부진의 원인, 열악한 환경에 있다
저자인 에릭 젠슨은 빈곤층 아이들이 문제 행동을 일으키고 학습이 부진한 이유를 그들의 열악한 환경에서 찾고 있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거나 감성 및 사회성을 발달시키기 어려운 환경에서 자라면, 뇌가 학습에 부적합한 상태로 변하기 쉽다는 것이다. 저자는 빈곤층 아이들의 학업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들을 감성 및 사회성 발달 문제, 급성/만성 스트레스 요인, 인지 기능 저하, 건강 및 안전상의 문제 등 크게 4가지로 나누어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4가지 위험 요인을 뇌과학과 인지심리학 분야의 흥미로운 연구 사례들을 들어 알기 쉽게 설명한다.
학습부진 극복방안, 뇌의 변화에서 찾는다
이 책에서 특히 주목할 만한 부분은 "뇌의 신경가소성"에 대해 다루고 있는 부분이다. 뇌는 어떤 환경과 경험에 노출되느냐에 따라 긍정적인 방향 혹은 부정적인 방향으로 변할 수 있다. 즉, 수업을 통해 좋은 환경과 경험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면, 아이들의 뇌도 "학습하는 뇌"로 바뀔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사에게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변화에 대한 믿음"과 "자신이 먼저 변하겠다는 의지"라고 저자는 말한다.
뇌의 학습능력 개선을 위한 제안, SHARE 모델
저자는 학습부진 극복을 위해 학교와 수업에서 실천할 만한 전략으로 SHARE 모델을 제안한다. 이는 저자가 수많은 학교의 성공 사례와 관찰 내용, 그리고 뇌과학에 관한 연구를 토대로 도출한 것이다.
[학교 차원의 성공 요인]
ㆍ전면발달을 위한 지원(Support of the Whole Child)
학생들에게 필요한 것을 정확히 하고, 부모들과 긴밀한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라. 그들에게 가장 취약한 부분이 무엇인지 확인하여 그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지원을 제공하라.
ㆍ데이터 수집과 활용(Hard Data)
학생들은 자신만의 학습스타일이 있다. 학교가 목적을 정해 학생들에 대한 정확하고 구체적인 데이터를 수집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교사가 학생의 학업수행에 대해 풍부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상황에 따라 교수방법을 개선해나갈 수 있고, 학생은 자신에게 맞는 적절한 학습전략을 찾을 수 있다.
ㆍ책무성 강화(Accountability)
교사들로 하여금 책무성을 갖추게 하는 최선의 방법은 설득력 있는 집단적 목표를 설정하고, 형성평가를 통해 실제적이면서도 구체적인 데이터를 제공하여 목표 달성 상황을 분명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교사는 이런 과정에 대한 믿음을 가져야 하고, 더욱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해 헌신하고,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주어진 상황에 맞추어 교육방식을 변화시켜야 한다.
ㆍ긍정적인 관계 구축(Relationship Building)
교사는 학생들의 관계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학생들이 학교에서 교사들과 긍정적인 유대감을 형성하면 중퇴율이 낮아지고 졸업률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또한 교사가 학생들과 일대일 관계를 맺어 학생들을 보살피거나 교사 1인당 학생 수 비율을 낮추어 지도할 경우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개선되고 자아존중감이 높아질 가능성이 커진다.
ㆍ다양한 자극이 풍부한 환경(Enrichment Mind-Set)
교실과 학교, 캠퍼스를 푸르고 아름다운 자연환경으로 꾸미자. 전 교직원이 맞춤형 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는 마인드를 갖도록 하자. 모든 학생에게 좀 더 나은 맞춤형 학습 프로그램을 찾아준다. 교직원들이 모두 새로운 변화 패러다임을 믿고 참여하도록 하는 일은 성공적인 학교를 만드는 데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교직원 채용과 교사교육 문제를 변화의 우선순위에 포함시켜라.
[학급 차원의 성공 요인]
ㆍ 성취기준에 기반한 교육과정 및 교수법(Standards-Bas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성공적인 학교에서 교사들은 자신의 수업 방식과 학생들의 수행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학생들의 성취기준 도달을 위해 자신이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결정한다. 학생이 성취기준에 미치지 못할 때 담당교사는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진다. “어떻게 하면 이 부분을 다른 방식으로 가르칠 수 있을까? 학생이 성취기준에 도달하려면 무엇을 바꿔야 할까?” 교사들은 개별화지도를 계획하고 학생들의 성취기준 통과에 도움이 되는 보충자료를 준비한다.
ㆍ희망 심어주기(Hope Building)
학생에 대한 교사의 믿음과 전제는 학생의 성취에 큰 역할을 하는데, 특히 낮은 기대를 받아왔던 학생들에게 그렇다. 그들은 살아오면서 부정적인 경험을 너무 많이 했기 때문에 자신은 희망이 없다고 느끼면서 자신들의 미래는 밝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그 어떤 학생들보다도 이들에게 희망을 듬뿍 불어넣어줄 필요가 있다.
ㆍ 예술, 체육 및 심화학습(AP)과정(Arts, Athletics, and Advanced Placement)
예술교육은 인지능력에 영향을 준다. 예술을 공부하는 학생들은 자기가 선택한 예술과목을 익히고자 하는 의지와 집중력, 동기가 높다. 동기는 보통 지속적인 집중력으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집중력과 관련되는 뇌신경망의 효율성을 증가시킨다. 이렇게 향상된 집중력은 수학이나 과학과 같은 다른 영역의 인지적 발달로 이어진다.
ㆍ뇌의 학습운영시스템 개선(Retooling of the Operating System)
학습능력을 향상시켜주면 학생의 학업성취가 눈에 띄게 달라질 수 있다. 단, 변화를 일으키는 데 정말 중요한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실제 변화를 일으키는 영역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아무런 계획이나 목표 없이 일반적으로 쓰는 교수법으로는 학생에게 꼭 필요한 세부적인 학습능력을 키워줄 수 없다.
ㆍ 적극적 참여를 이끌어내는 수업(Engaging Instruction)
학생들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가장 강력한 방법은 학생들이 스스로 학습에 대해 책임을 지도록 하는 것이다. 책임감 있는 학생들은 교실에서 자기 자리가 어디인지, 같이 공부할 파트너가 누구인지, 학습자료들은 어디에 있는지 알고 있다. 자신을 잘 통제하고, 의미 있다고 느끼는 학습목표를 제안하기도 하고, 공부하는 데 따르는 어려움을 털어놓기도 한다. 시간관리를 잘하고, 루브릭이나 체크리스트를 이용해 스스로 학교생활의 질을 점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