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현장에서 철학(함)의 의미와 활용
우리가 살아가며 접하게 되는 생활세계 내에서 마주하는 다양한 현안들을 실천철학적 시각에서 온전히 조망하고 철학 그 자체의 의미나 역할, 기능 등에 관해 살펴보고자 하는 기획 의도를 가진 선우현 교수의 〈철학은 현실과 무관한 공리공담의 학문인가〉는 특히 교육과 관련하여 철학(함)의 본래적 의미와 그 역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즉, 이 책은 예비 교사와 현장의 교사들을 염두에 두고, 철학(함)은 핵심적인 실천적, 계몽적, 자기비판적 사유 방식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온전히 인식하도록 일깨우고 동시에 그러한 사고 체계를 한층 더 계발하고 현장에 적용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그리고 우리 교육 현장에서 일어나는 교육 당국과 교사들의 갈등, 그리고 더 이상 개천에서 용이 날 수 없는 교육 현실과 제도상의 문제점 등을 비판철학적 관점에서 날카롭게 파헤치고 있다.
미국 사회의 주요 사회철학 유형들에 대한 비판적 고찰
미국은 우리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는 나라이다. 미국의 경제와 군사 분야는 물론이고, 할리우드로 대표되는 그들의 문화는 우리의 의식을 사로잡고 있다. 하지만 미국 사회를 움직이는 사상 체계에 대해서는 조금 막연한 부분이 있다. 이 책에서는 미국의 신 주류로 자리 잡은 신보수주의(네오콘)에 영향을 준 사상 체계로서 미국의 자유지상주의와 공동체주의를 비롯해, 이들과 사상적 논쟁을 벌여 온 롤스의 수정 자유주의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즉, 현대 미국의 대표적 사회철학 유형들의 기능 및 실태에 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미국 사회를 움직이는 사상적 흐름을 살펴볼 수 있다.
우리의 자생적 사회철학은 가능한가
이 책에서는 우리의 자생적 실천철학이 가능한지, 가능하다면 어떤 자격 조건을 지녀야 하는지 모색하고 있다. 그 대상은 전두환 군사독재 정권에 참여해 정권의 통치 이념을 정립하고, 그 일환으로 국민윤리교육을 통해 반공의식을 고취하고 군부 독재에 순응하는 시민을 양성해 내려 했던 이규호와, 이승만 정권의 통치 이념인 일민주의 철학을 확립한 안호상이다. 이 책은 그들의 부정적인 실천철학의 실체를 파헤치고 그것을 통해 우리의 현실에 맞는 제대로 된 자생적 실천철학의 정립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그 밖에도 근대 철학의 아버지라고 평가 받는 데카르트의 철학(하지만 지극히 획일적으로, 관념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을, 그의 철학이 태동한 시대적 배경과 함께, 사회철학적인 입장에서 살펴보고 있다. 또한 인간의 이성을 두고 펼쳐진 비판 이론과 탈근대론의 논쟁과 함께 아직도 이성을 옹호할 수 있는 것인지, 폐기해야 하는 것인지의 물음에 대한 답을 모색하고 있다. 그리고 현시대에 우리의 관심사가 되고 있는 ‘몸짱 문화’를 비판 이론의 문화 산업론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이렇듯, 이 책은 우리가 일상에서 접하게 되는 현실의 문제를 어떻게 바라보고, 접근하고, 또 실천할 수 있는가를 철학(함)을 통해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