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문의 조직이 가로챈 살인 사건과 그 비밀을 쫓는 두 명의 수사관!
“그들을 기다리는 건 복제 인간 연쇄 살인의 시작이었다!”
편의점표 도시락을 사서 퇴근하던 가와무라 경위는 집 근처 맨션 앞에 경찰차와 구급차가 와 있는 걸 보고 무심코 사건 현장을 방문한다. 살인이 의심되는 피해자의 시신을 앞에 두고 관할서 형사와 얘기를 나누는 사이, 갑자기 들이닥친 의문의 남자들. 후생성 소속이라는 그들은 ‘사건 이양 명령서’를 내밀며, 형사들의 철수를 요구한다. 경찰서장의 전화까지 받은 터라 어쩔 수 없이 물러서긴 했지만, 석연치 않은 기분을 느낀 가와무라. 그는 곧 혼자만의 수사에 나선다.
한편 사이버 수사관 류세이는 경찰 수사가 잘 이뤄졌는지 평가하는 프로그램을 개발 중이다. 프로그램에 에러가 뜬 사건을 조사하라는 상사의 명령에 어쩔 수 없이 담당 형사를 찾은 그는, 가와무라와 얽혀 반강제적으로 수사에 참여하게 된다.
우연히 얻은 작은 단서 하나에 의존해 정체 모를 조직의 비밀을 파헤치던 두 사람은 곧 놀라운 사실을 알게 된다. ‘돌스’라는 이름의 이 조직은 ‘복제 인간’의 존재를 감시하고 은폐해 온 정부 기관이라는 것. 그리고 그들이 그 사실에 경악하기도 전에, 또 다른 복제 인간의 시신이 발견되는데…….
| SF적 상상력에 숨 가쁜 현장감을 결합시킨 극강의 반전 수사극!
추리 소설의 공식을 그대로 보여 주는 촘촘한 구성과
마지막까지 끝나지 않는 반전의 미학
수백만 독자를 사로잡은 요코제키 다이 미스터리의 가장 큰 재미는 뭐니 뭐니 해도 잘 짜인 플롯에서 나온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은 에도가와 란포상 수상 작가의 치밀한 필력이 돋보이는 극강의 페이지터너라 할 수 있다. 경찰과 연쇄살인범이 쫓고 쫓기며 반전의 반전을 거듭하고, 이를 지켜보는 독자들은 작가가 뿌려놓은 ‘떡밥’을 따라 사건의 전모를 함께 풀어 나간다.
처음 사건 현장에서 쫓겨났을 때, 가와무라 경위가 의문을 품었던 것은 ‘정체 모를 조직이 평범한 회사원의 죽음을 은폐하려는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이었다. 하지만 복제 인간의 존재와 이를 감시하는 ‘돌스’의 정체가 드러난 순간, 이제 사건의 핵심은 ‘누가 왜 복제 인간을 살해하는가?’로 바뀐다. 그때부터 독자들은 등장하는 모든 인물을 수상쩍게 지켜보면서, 범인에 대한 단서를 수집한다. 하지만 작가는 독자의 추리를 완전히 뛰어넘어, 군데군데 뿌려놓은 ‘떡밥’을 마지막까지 치밀하게 회수하면서 끝까지 손을 뗄 수 없는 반전의 미학을 선사한다.
| 세 가지 시점에서 전개되는 이야기들의 결합과
복제 인간이란 교차점 속에 숨겨진 서늘한 질문들
요코제키 다이의 데뷔작 『재회』가 에도가와 란포상을 수상했을 때 심사위원 우치다 야스오는 ‘잘 짜인 플롯’을, 덴도 아라타는 ‘시점 이동을 통한 이야기와 수수께끼의 변화’를 호평했다고 한다. 『클론 게임』 역시 그러한 장점이 고스란히 살아 있는 작품이다.
국가에서 비밀리에 감시 중인 복제 인간이 차례차례 살해당하는 긴박한 상황에서, 수사 1과의 베테랑 수사관과 사이버 보안 대책실의 풋내기 경찰관이 각각 시점 인물로 등장해 수수께끼를 풀어 나간다. 그리고 한편으론 살해 대상이자 오리지널의 잠재력에 눈뜨는 복제 인간의 시점도 추가해, 분위기를 환기하는 동시에 긴장감을 더한다.
이렇게 세 가지 시점이 교차되어 드러나는 복제 인간이라는 키워드 속에서, 작가는 언젠가의 미래로 닥칠지 모를 서늘한 질문을 던진다. ‘나와 복제 인간 사이에서, 나를 규정 짓는 건 무엇인가’, ‘복제 인간 기술은 어디까지 허용될 수 있는가’ 등과 같은 철학적, 윤리적 질문을 생각할 거리로 던져 주면서도, 엔터테인먼트적인 재미를 놓치지 않는 장치가 아닐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