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단순한 개̇념̇정̇리̇에서부터 복잡한 사고를 요구하는 적̇용̇문̇제̇까지 ‘중등교사 신규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은 지난 20년간 다음의 형식으로 변화를 겪어왔습니다.
1992년 ~ 1996년 객관식 시험
1997년 ~ 2008년 서술형 시험
2009년 ~ 2013년 객관식 시험과 2차 논술시험
2014년 ~ 2019년 기입형·서술형·논술형 시험
2020년 ~ 현재 기입형·서술형 시험
이번 2024년 대비 영어교육론 기출해설서를 내면서 그동안 출제되었던 모든 영어교육론 문제에 대한 모범답안과 해설을 포함하였습니다. 새롭게 강화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각 문항에 출제원전을 포함하여 심층적인 추가학습을 가능하게 하였습니다.
각 문항에 난이도를 표시하여 이해도를 높이게 하였습니다.
유사 내용의 문제들을 묶어서 분류하여 쉽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1990년대 문제에서부터 논술문제까지 모두 수록하여 이 한 권으로 영어교육론 기출문제에 대한 정리는 완벽하게 마칠 수 있게 하였습니다. 답안을 작성할 때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모범답안에 가까운 답을 쓰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책은 영어교육론의 기출문제를 제대로 공부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사항에 중점을 두어 해설을 작성하였습니다.
철저히 수험생의 입장에서 해설을 작성하였습니다. 처음 기출문제를 풀어보는 수험생부터 시험을 앞두고 마지막 마무리로 기출문제를 풀어보고자 하는 수험생까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한 문제 한 문제 상세히 풀이하였습니다. 각 문제마다 난이도를 표시하여 자신의 실력을 스스로 가늠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미래의 시험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기출을 풀어본다는 의미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새롭게 나올 시험에 대비할 수 있는 변형문제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문제를 풀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습니다.
기출문제를 보아야 하는 본질을 놓치지 않으려 노력하였습니다. 기출문제를 토대로 새롭게 읽어나가야 할 핵심 개념과 ELT ARTICLE을 첨부하여 문제에 따른 심화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그것이 바로 답안이 나오게 되는 근거가 되기 때문입니다.
합격자 선생님들에게 합격의 비법을 물어보면 각자가 다 다른 공부법을 이야기합니다. 모두 자신의 공부법으로 공부하고 또 합격을 하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모두 공통적으로 강조하는 점이 있습니다. 바로 기출문제를 확실하게 분석하고 공부하는 것입니다. 임용시험에서 기출문제는 이제까지의 출제방향을 알려주는 척도이자 부족한 점을 알려주고 앞으로의 공부법을 제시하는 역할을 합니다. 영어교육론은 단시간에 암기하거나 이론만을 가지고 풀 수 있는 문제가 아니고 기본이론과 주요개념을 중심으로 하여 각기 다른 교실상황에 적용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 교실안 수업을 위한 실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다는 마음으로 풀어나가면 내년에 영어 선생님이 되시는 좋은 결과 나올 것이라 기대합니다.
노량진 연구실에서
권영주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