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입문 건축 환경 설비

입문 건축 환경 설비

  • 박찬필
  • |
  • 광문각
  • |
  • 2023-03-25 출간
  • |
  • 288페이지
  • |
  • 188 X 257mm / 547g
  • |
  • ISBN 9788970930923
판매가

29,000원

즉시할인가

26,1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6,1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지속 가능한 친환경 건축을 위한 임문서!

건축환경공학과 설비의 연관성을 이해할 수 있는 책!

에너지 절약 기술의 구체적인 사례와 그림을 수록!

 

◈ 도서의 개요

 

건축환경은 건축에서 건강하고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하는 중요한 자연요소이다. 건축환경공학은 ‘건축환경을 수치화하고 그것을 객관적으로 해석하여, 공학적 수법으로 풀어 가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과학적으로 자연환경을 취급하는 과목이 ‘건축환경공학’이다. 그러나 도심부의 주택이나 빌딩에서는 자연에너지를 이용한 수법만으로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기 어렵다. 그래서 거기에는 에너지를 사용하는 기계적인 수법이 필요한데 바로 이것이 ‘건축설비’이다. 양자 모두 목적은 인간 생활의 쾌적성을 요구하는 것이며, ‘에너지 절약’을 목표로 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의지한 화석에너지는 자원의 고갈과 지구온난화의 문제가 있다. 그 대책으로써 최근의 세계 각국에서는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를 추구하여 활동을 시작하고 있다. 그 활동에는 에너지 절약이 절대 필요한 건축이 막대한 영향을 끼치면서 더욱더 건축환경공학과 건축설비의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건축환경·건축설비·에너지 절약의 세 분야의 범위는 넓고, 어렵게 느껴진다. 그리고 건축환경공학과 건축설비는 에너지 절약과 관련된 내용이 많으므로 당연히 중복되어 혼란스러운 내용이 있을 수 있다. 본서는 이 세 분야를 한 권으로 정리하여 중복 부분을 없애고 연결성을 알기 쉽게 정리하여 종합적으로 이해가 되도록 하였다.

 

또한, 이 세 분야를 잘 이용하여 건축에 적용하면 건축계획·설계에도 응용할 수 있고, 최근 주목하는 지속적인 친환경 건축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본서에는 건축환경·건축설비·에너지 절약 중에서 반드시 습득해야 하는 내용을 빠짐없이 저술하였다.

 

또한, 단원별로 개념 다지기와 연습문제도 다수 게재하여 스스로 테스트해 볼 수 있다. 건축환경·건축설비·에너지 절약을 합본한 이 한 권으로 세 분야를 동시에 효율적인 방법으로 공부할 수 있는 것이 본서의 가장 큰 특징이다. 그리고 학생을 포함하여, 건축사(건축 관련 자격 취득)를 꿈꾸는 수험생이나 건축설계에도 응용할 수 있는 좋은 교과서가 되기를 기원한다. 

목차

머리말

제1부 건축환경공학
 01 건축환경공학의 개요
  1. 건축환경공학의 분야
  2. 건축과 환경
  3. 자연을 가시화하는 환경공학
 02 외부 기후
  1. 기상과 기후
  2. 기온
  3. 기온 교차
  4. 온도의 측정
  5. 디그리데이(degree day, 度日)
  6. 온도
  7. 습도
  8. 기온과 습도의 일변화
  9. 바람
  10. 비와 눈
 03 실내 기후
  1. 인체의 열생산과 열방사
  2. 온열 감각
  3. 온열지표
  4. 온열 감각온도
 04 전열
  1. 열전달
  2. 열관류
  3. 단열
  4. 열이동 현상
  5. 축열
 05 결로
  1. 공기 선도
  2. 공기 선도를 보는 방법
  3. 결로의 해(害)
  4. 결로 제거 방지 방법
  5. 결로 발생의 판정식
  6. 공기 선도 종합
 06 실내 공기오염
  1. 실내 공기오염
  2. 포름알데히드
 07 환기
  1. 자연 환기
  2. 기계 환기
 08. 필요 환기량
  1. 환기 횟수에 의한 필요 환기량
  2. 필요 환기량 계산
  3. 오염 물질 발생량
  4. 연소 기구
  5. 연소 기구에 대한 필요 환기량
  6. 실내 환기
 09 일조
  1. 태양의 효과
  2. 태양의 위치
  3. 태양시
  4. 일조 · 가조(可照)
 10 일영
  1. 일영 곡선
  2. 일영 규제
  3. 인동간격
 11 일사
  1. 태양에너지
  2. 일사량
  3. 일사열
  4. 일사열 차폐
 12 채광
  1. 시각
  2. 순응
  3. 시감도
  4. 빛의 단위
  5. 천공조도
  6. 주광률
  7. 채광 방법
 13 조명
  1. 조명 용어
  2. 조명 방법
  3. 조도 설계
  4. 조명 방식
  5. 조명 계획
  6. 건축화 조명
 14 색채
  1. 색의 혼합
  2. 색의 3속성
  3. 색의 관계
  4. 표색계
  5. 색채대비
  6. 색채의 심리적·생리적 효과
 15 음 환경
  1. 음의 전파
  2. 음의 3요소
  3. 음의 진행 방식
  4. 음의 단위
  5. 음의 레벨 합성
  6. 등감도 곡선(라우드니스 곡선)
  7. 음의 감쇠
 16 음향
  1. 잔향
  2. 잔향 시간
  3. 잔향 시간의 계산식
  4. 반향(에코)
 17 흡음 · 차음
  1. 흡음
  2. 차음
  3. 음의 효과
  4. 특이한 음의 현상
 18 소음
  1. 소음이란
  2. NC치
  3. 바닥 소음 측정
  4. 벽 소음 측정
  5. 소음 방지
  6. 소음 재료
  7. 마스킹 효과
 19 지구환경
  1. 지구온난화(Global warming)
  2. 화석연료의 절감
  3. 산성비(Acid Rain)
  4. 지구 공기오염
  5. 오존층 파괴와 다이옥신의 환경 문제
  6. 기후의 변화
 20 도시환경
  1. 도시환경
  2. 건축과 환경
  3. 빌딩풍

제2부 건축설비
 01 건축설비 개요
  1. 건축설비
  2. 설비의 역사
 02 급수설비
  1. 물의 사용
  2. 급수 방식
  3. 급수 방법
  4. 저수조
  5. 펌프
  6. 중수
  7. 워터해머(water hammer, 수격)
  8. 급수관
 03 급탕설비
  1. 급탕의 성질·특징
  2. 물의 팽창과 관의 신축
  3. 급탕 온도·사용 온도
  4. 급탕 방식
  5. 급탕 수전
 04 배수설비
  1. 배수의 종류
  2. 배수 계통
  3. 배수 트랩
  4. 봉수의 파괴(봉파)
  5. 배수의 종류
  6. 배수 피트
  7. 크로스 커넥션
  8. 역사이펀 작용
  9. 디스포저
 05 통기 정화조설비
  1. 통기설비의 목적
  2. 통기관
  3. 통기 방식
  4. 정화조(오수처리) 설비
 06 위생설비
  1. 위생기구
  2. 위생기구의 종류
  3. 헤더 배관 공법
 07 가스설비
  1. 가스의 종류
  2. 가스경보기
 08 공기조화설비
  1. 개요
  2. 열반송 방식
  3. 정풍량 단일 덕트 방식(CAV, Constant Air Volume)
  4. 변풍량 단일 덕트 방식(VAV, Variable Air Volume)
  5. 이중 덕트 방식
  6. 유닛 방식
  7. 그 외 방식
  8. 개별 공조 방식
  9. 건식, 냉각 제습 방식
 09 공기와 열
  1. 잠열과 현열
  2. 공기의 혼합
  3. 열부하
 10 냉난방설비
  1. 냉방설비
  2. 압축식 냉동기
  3. 흡수식 냉동기
  4. 난방설비
  5. 성적계수(COP, Coefficient Of Deformance)
  6. 코제네레이션(CGS, Co-Generation System)
 11 공기조화 기기
  1. 공기조화 기기
  2. 냉각탑(쿨링 타워, cooling tower)
  3. 수 반송 기기
  4. 공기 반송
  5. 축열조
  6. 히트펌프
  7. 전열 교환기
 12 환기설비
  1. 자연 환기
  2. 기계 환기
  3. 그 외의 환기
  4. 클린룸
 13 전기설비
  1. 전기설비의 개요
  2. 전압, 전류, 저항
  3. 직류와 교류
  4. 전력과 전력량
  5. 전원 주파수
 14 수전설비
  1. 전원 인입
  2. 변전설비
  3. 전기배선설비
  4. 배선
  5. 접지 공사
 15 조명설비
  1. 조명 설계
  2. 조명기구
  3. 조명 계획
  16 통신설비
  1. 방송설비
  2. 공청설비
  3. 감시설비
  4. 인터폰 설비
  5. LAN 시스템
  6. TV 회의 시스템
  7. Web 회의
  8. PBX
 17 소화설비
  1. 소화설비
  2. 소화전
  3. 스프링클러 설비
  4. 방수설비
  5. 특수 소화설비
 18 방재설비
  1. 가연
  2. 방화 구획
  3. 방화 계획
 19 피뢰 · 진동설비
  1. 피뢰설비
  2. 진동설비
 20 피난설비
  1. 배연설비
  2. 자동 화재경보설비
  3. 감지기
  4. 비상용 발전설비
  5. 전환 시간 · 연속 운전 시간
  6. 비상용 엘리베이터
  7. 유도등과 비상조명
  8. 기타 설비
 21 반송설비
  1. 엘리베이터
  2. 에스컬레이터
  3. 이동 보도

제3부 에너지 절약
 01 에너지
  1. 에너지의 정의
  2. 에너지의 분류
  3. 에너지의 역사
  4. 에너지 절약법
 02 에너지 절약 지표
  1. CASBEE(건축환경 종합 성능 평가 시스템)
  2. 에너지 절약 평가 지표
  3. 제로 에너지
 03 재생 에너지 이용
  1. 지중열
  2. 풍력 발전
  3. 바이오매스 발전
  4. 수력 발전
  5. 해류 발전
  6. 조력 발전
  7. 파력 발전
  8. 태양광 발전
  9. 태양열 이용
 04 열의 제어
  1. 일사 차폐
  2. 건물의 차열
  3. 건물의 단열
  4. 옥상 녹화 · 벽면 녹화
 05 페리미터 존 레스 기법
  1. 에어플로우 윈도
  2. 라이트 셀프
  3. 에어 배리어
  4. 더블 스킨
 06 에너지 절약 기술
  1. 히트 펌프
  2. 에코큐트
  3. 에코아이스
  4. 에네팜
  5. 나이트 퍼지와 외기 제어
  6. 고효율 조명
  7. 연료전지
  8. 스마트하우스
 07 자연 재생 이용
  1. 지역 냉난방
  2. 우수 이용
  3. 중수 이용
 08 더운 지역의 에너지 절약 기법
  1. 일사열의 기본 지식
  2. 일사 차폐의 장점
  3. 더운 지역의 에너지 절약 기법의 요소
  4. 외부 차폐 장치에 의한 일사 차폐 기법
  5. 벽체에 의한 일사 차폐 방법
  6. 지붕에 의한 일사 차폐 방법
  7. 방사 냉방
 09 한랭지에서의 에너지 절약
  1. 일사열의 이용
  2. 바닥 난방
  3. 온수 순환식 바닥 난방 방식
  4. 전기히터식 바닥 난방 방식
  5. 온풍식 축열 바닥 난방 방식
  6. 방사 난방 방식

연습문제·심화문제 답안
색인(Index)
맺는말

저자소개

 

박찬필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학위

 공학박사·환경연구가,

 일본호우세이대학(法政大學)공학부 건축과박사과정수료, 국비유학생(일본문부성)

 

전공

 건축계획, 환경, 설비, 도시재생, 민속건축

 

강사·교수

 일본호세이대학(法政大學), 무사시노미술대학(武藏野美術大學), 동경코우카쿠인전문학교(東京工學院專門學校), 동경테크닉칼리지(T.T.C), 직업능력개발단기대학동경건축칼리지(職業能力開発短期大学校東京建築 カレッジ일본후생성운영)겸임강사, 계원예술대학초빙교수, 한양대학교공학과건축학부겸임 교수

 

현재

 일본호세이대학(法政大學) 디자인공학부건축학과전임교원, 일본민속건축학회이사

 

저서

 『入門テキスト建築環境・設備』 学芸出版社

 『그림으로 보는 건축설비』 기문당, 『図説やさしい建築設備』 学芸出版社

 『그림으로 보는 건축환경공학』 기문당, 『基礎講座建築環境工学』 学芸出版社

 『韓屋と伝統集落-韓国の暮らしの原風景-』 法政大学出版局

 『다시 태어난 청계천』 기문당, 『ソウル清渓川再生-歴史と環境都市への挑戦-』 鹿島出版会

 『Seoul Cheong Gye Cheon StreamRestoration』(영문판) 기문당

 『よみがえる古民家』 柏書房

 『일본의 풍토와 경관 서부지방편』 기문당

 『일본의 풍토와 경관 동부지방편』 기문당 외 저서 다수

 「온열환경에 관한 연구」, 「도시재생」, 「전통민가와 마을을 중심으로」 논문 다수

 「역사와 환경도시의 도전. 청계천사진·도면전람회」, 2012년 7월 동경, 2013년 3월 오사카 개최

 

수상

 일본민속건축학회장려상, 무사시노미술대학대학원우수논문작품상, 공익사단법인중앙일한협회공로감사장, 일본민속건축학회우수학술논문상, 무사시노미술대학나가오시게다케우수작품상, 대한건축학회저작상

 

*Home page: http://www.k.hosei.ac.jp/park/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