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열을 봉합하라!”
조선의 리더십에서 국가경영의 답을 찾다
왕의 인간적인 이모저모와 숨겨진 일화까지
“고사성어 ‘흥청망청’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자타공인 조선시대의 가장 잘생긴 신하는?”
“우리 역사상 가장 많이 수도를 버린 왕은?”
사학자 신병주 교수의 대표 베스트셀러 《왕으로 산다는 것》이 더 깔끔한 디자인과 새로운 내용으로 읽기 쉽게 재탄생했다.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성군 세종, 문종의 이야기를 더했다. 무엇보다 책에서 왕이 살아 움직여 흥미롭다. 우리는 보통 역사를 교과서에 나열되어있는 ‘사실’로 배우고 접하는 경우가 많다. 재미를 더하고, 이유를 알아야 역사적인 인물들이 머릿속에서 살아 움직이기 마련이다. 이 책은 그들도 그 시대를 치열하게 살아간 한 사람이었음을 깨닫게 한다.
이 책은 같은 땅에서 역사를 만든 조상의 지혜를 재미나게 소개한다. 그중에는 ‘청계천’에 얽힌 이야기도 있다.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청계천은 태종, 영조 시대에 걸쳐서 만들어진 인공 하천임을 모른다. 그래서 청계천이라는 용어는 《조선왕조실록》에 등장하지 않는다. 이 책은 그저 ‘천거해서 수리했다’는 뜻의 ‘개천’으로 불렸던 청계천이 어떻게 조성되고 이름이 붙여졌는지 자초지종을 흥미롭게 다루고 있다. 또 5장에서는 영조가 홍수로 자주 범람해서 국가적인 문제였던 청계천을 본격적으로 개보수한 과정을 소개했다. 영조의 ‘청계천 준천 사업’은 서민의 삶의 터전과 경제,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그야말로 조선판 뉴딜 정책이었다. 이렇게 독자는 텍스트로 여기저기 흩어져있던 정보들이 머릿속에서 유기적으로 엮이는 경험을 하게 된다. 종으로도, 횡으로도 역사를 바라볼 수 있게 된다.
조선의 왕은 무소불위의 권력으로 매사가 쉬웠을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각 시대마다 복잡한 정황이 있었다. 조선의 왕들은 때로는 과감한 개혁정책을 선보였고, 왕권에 맞서는 신권에 대해 대응하며 조정자의 역할도 했다. 모든 왕은 백성을 위한 정책을 폈다. 하지만 대동법과 균역법처럼 시대의 요청에 부응해서 성공한 정책도 있었고, 무리한 토목 공사와 천도처럼 실패한 정책도 있었다. 이렇듯 체제의 안정과 개혁의 중심에 국가의 리더, 왕이 있었다. 과거이든 현재이든 리더의 고충은 같다. 결국 세상사를 움직이는 것은 감정을 가지고 살아가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과거 같은 땅에서 같은 고민을 했던 조상의 혜안을 빌려 우리의 미래를 설계해나가면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