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구약성서연구 방법론

구약성서연구 방법론

  • M. 드라이차
  • |
  • 비블리카 아카데미아
  • |
  • 2023-02-15 출간
  • |
  • 377페이지
  • |
  • 155 X 255mm
  • |
  • ISBN 9791195663743
판매가

22,000원

즉시할인가

19,8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9,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역자서문 5
저자서문 9
차례 15

제1장 서론
1. 주석의 목적 25
2. 과거와 현재의 구약성서 해석 27
2.1. 구약성서 안에서의 해석에 관하여 27
2.2. 신약성서에 나타난 구약성서의 해석 28
2.3. 고대 교회 31
2.4. 중세 34
2.5. 종교개혁시대: 루터와 깔뱅 35
2.6. 개신교 정통주의: 마티아스 플라시우스(Matthias Flacius) 38
2.7. 계몽주의와 시작되는 역사비평 39
2.7.1. 스피노자(Baruch [Benedikt] de Spinoza) 40
2.7.2. 리샤르 시몽(Richard Simon) 41
2.8. 경건주의(Pietismus) 43
2.9. 요한 게오르그 하만(Johann Georg Hamann) 45
2.10. 역사비평의 출현 46
2.10.1. 오경비판 47
2.10.2. 역사의 상(像) 재구성(Umbau) 49
2.10.3. 역사비평의 다른 주장들 50
2.11. 20세기 51
2.12. 종합과 평가 54
3. 방법론적 숙고의 필요성과 한계 57
3.1. 방법론의 의미 58
3.2. 영과 방법(Geist und Methode) 60
3.3.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성서 61

제2장 본문
1. 번역 63
1.1. 역사, 이론, 번역의 실제 63
1.2. 번역의 과정 67
1.3. 실제적인 제안들 68
2. 본문비평 69
2.1. 무엇에 관한 것인가? 69
2.2. 본문훼손과 변경의 요인들 70
2.2.1. 비의도적인 본문변경들 70
2.2.2. 의도적인 본문변경들 78
2.3. 본문역사 84
2.3.1. 히브리어 본문 84
2.3.2. 사마리아 오경 89
2.3.3. 번역본들 90
2.4. 본문비평의 목적 100
2.5. 본문비평의 실제 104
2.5.1. 전승된 본문의 확정 104
2.5.2. 전승된 본문의 검토 105
2.5.3. 본문비평적인 결정 105
2.6. 본문비평의 신학적 의미 108
2.7. BHS의 약어들(일부선택) 108

제3장 문학적 분석
1. 언어적 분석 118
1.1. 기초들 119
1.2. 형태론과 통사론 119
1.2.1. 형태론적 질문들 120
1.2.2. 통사론적인 질문들 122
1.3. 의미론 124
1.3.1. 다의성 124
1.3.2. 어원론 126
1.3.3. 실제적인 결과들 127
1.4. 문체의 분석 129
1.4.1. 서론적 고찰 129
1.4.2. 어법(Stilfigur)의 결정 132
2. 구조분석 137
2.1. 과제 137
2.2. 단락의 구분 138
2.3. 본문구조 139
2.4. 본문모형도(Textschaubild) 143
3. 양식(Form)과 장르(Gattung) 147
3.1. 양식비평이란 무엇인가? 147
3.2. 양식비평의 과제 149
3.3. 양식비평의 가능성과 한계들 150
3.4. 개별 장르들에 대한 개관 152
3.4.1. 서사(敍事)본문들 153
3.4.2. 율법본문들 158
3.4.3. 지혜문헌 162
3.4.4. 시편 165
3.4.5. 예언적 본문 171
4. 본문의 상황과의 관계 189
4.1. 근거제시 189
4.2. 전제조건 190
4.3. 방법적 조치들(Vorgehen) 190
4.4. 실제적인 수행 191
4.5. 주석사와 연구사 193
5. 본문의 통일성 196
5.1. 본질적인 질문 196
5.2. 본문의 통일성에 대한 근거들 197
5.3. 본문생성에 관한 설명을 위한 결론들 198
5.4. 신학적 해석을 위한 결론들 200

제4장 역사적인 문제들
1. 서론적인 숙고 231
2. 본문과 보도된 사건
- 사건과 기술과 해석의 관계에 대한 숙고들 235
2.1. 서론적인 생각들 235
2.2. 성서 보도의 독특성와 근대적 현실이해 236
2.3. 이스라엘 역사와 관련한 다양한 해석모델들 239
2.4. 어떤 사건에 대한 신학적 서술과 역사기술적 서술의 상호보충 241
3. 본문과 저자 245
3.1. 저자에 대한 질문 - 하나의 정당한 문제제기 245
3.2. 문제의 수치들(Problemanzeigen) 247
3.2.1. 성서의 관찰결과 247
3.2.2. 역사-비평적인 연구결과들 250
3.2.3. 성서의 저자들과 동일시하는 재구성들 253
3.3. “저자” 개념에 대한 숙고들 253
3.3.1. 저자와 서기관/필사자 253
3.3.2. 저자언급에 대한 이해에 관하여 255
3.3.3. 본문의 구성/편집 257
3.4. 실제적인 결과들 257
3.4.1. 저자언급이 있는 본문들 257
3.4.2. 저자언급이 없는 본문들 258
4. 구약본문과 이스라엘 주변세계의 본문들 276
4.1. 이스라엘 주변세계에서 생성된 본문들의 의미에 관하여 276
4.2. 문제의 영역들 278
4.2.1. 존재하지 않는 유례(類例)들 278
4.2.2. 종교사적인 비교 279
4.3. 방법적 조치들 282
4.4. 한 가지 기본원칙 284
5. 본문과 실상들에 대한 전문지식들(Realien) 285

제5장 신학적 해석
1. 예비고찰 288
1.1. 전제조건 288
1.2. 적절치 않는 대안들 289
1.3. 이중적 과제 291
2. 종합적인 주석 292
2.1. 개별주석 293
2.2. 본문의 주요진술들에 대한 요약 294
2.3. 본문의 핵심사상(Skopus) 295
2.4. 질문을 통한 지원(Hilfestellung) 296
3. 구약성서의 상황 안에서 신학적인 해석 297
3.1. 내용상 유사본문들과의 비교 298
3.1.1. 다양한 본문의 진술들이 내용적으로 일치한다. 299
3.1.2. 다양한 본문의 진술들이 서로 보완한다. 300
3.2. 구약성서의 상황에서 신학적 진술들의 의미 301
3.3. 내용적인 유사본문들이 없는 본문들 302
3.4. 시대적 제한이 있는 진술들과 일반적으로 유효한 진술들 303
4. 성서 전체의 맥락 안에서 신학적 해석 304
4.1. 해석학적인 기초들 304
4.2. 논의의 결과들 306
4.2.1. 구약성서는 고립되어(isoliert) 해석될 수 없다. 306
4.2.2. 신약성서에 나타난 구약성서 이해 307
4.2.3. 구약성서와 신약성서의 서로에 대한 이해 309
4.2.4. 지속되는 구약의 의미 311
4.2.5. 구약성서와 신약성서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모델들 314
4.3. 개별 본문에서의 해석을 위한 결론들 315
4.3.1. 방법적 조치들 315
4.3.2. 구체적인 질문들 316
5. 지금까지 수행된 해석에서 드러난 본문의 이해 325
6. 요약 330

제6장 선포 안에 있는 본문
1. 기초사항들 331
2. 어떤 연설이나 설교의 작성을 위한 실제적인 제안들 334
2.1. 도입과 종결 334
2.2. 놀라게 함 335
2.3. 분명함 335
2.4. 구체성 336
2.5. 대화 중에 있는 설교 337
2.6. 단순함 337
2.7. 원고 337

참고문헌 339
성구색인 364

※ 부록
부록 I: 양식사(Formgeschichte)
1. 연구사에 관하여: 헤르만 궁켈(Hermann Gunkel) 184
2. 삶의 자리(Sitz im Leben) 185
3. 역사성의 질문 186
4. 양식사의 문제점에 관하여 187

부록 II: 문헌비평(Literarkritik)
1. 문헌비평이란 무엇인가? 203
2. 문헌비평의 전제들 206
3. 문헌비평의 자리 207
4. 문헌비평의 방법적인 조치 209
5. 연구사에 관하여 211
6. 문헌비평의 문제점에 관하여 214
7. 논의 결과들 217

부록 III: 새로운 해석학적 방법론들
1. 서론 219
2. 문예학적인 방법론들(Literaturwissenschaftliche Ansätze) 220
3. 정경적인 방법론(Kanonischer Ansatz) 227

부록 IV: 전승사(Überlieferungsgeschichte)
1. 전승사란 무엇인가? 260
2. 전승사의 전제조건들 261
3. 연구사에 관하여 262
4. 전승사의 문제성에 관하여 263
5. 논의의 결과들 264
부록 V: 편집사(Redaktionsgeschichte)
1. 편집사란 무엇인가? 266
2. 전제조건들 268
3. 편집사의 자리 268
4. 편집사의 방법적 조치들 269
5. 연구사에 관하여 270
6. 편집사의 문제성에 관하여 272
7. 논의의 결과들 274

부록 VI: 전통사(傳統史, Traditionsgeschichte)
1. 전통사란 무엇인가? 319
2. 전통과 모티브(Motiv) 320
3. 전통사의 과제 321
4. 전통사의 방법적인 조치들 322
5. 전통사의 가능성과 한계성 323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