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당대 관문서와 문서행정

당대 관문서와 문서행정

  • 박근칠
  • |
  • 주류성
  • |
  • 2023-02-28 출간
  • |
  • 372페이지
  • |
  • 210 X 300mm
  • |
  • ISBN 9788962464986
판매가

40,000원

즉시할인가

36,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6,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동아시아 고대국가의 형성과 관련하여 율령체제나 율령제 국가군이라는 개념이 강조되기도 하였다. 이는 주로 唐代에 정비되었던 율령이라는 법률규정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동아시아 주변 국가에 영향을 주었고 이를 바탕으로 해당 지역에서 국가체제를 갖추게 되었다는 인식에 따른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당대 율령으로 조문화된 제반 제도에 대한 규정은 해당시기 동아시아 왕조들의 지배체제를 이해하는 典範으로 간주되기도 하였다.
그런데 특정 시기의 법령 조문에서 확인되는 각종 제도에 대한 운영규정이 그 정책적, 이념적 지향과 마찬가지로 사회체제를 유지하는 데 실제적 기능을 온전하게 발휘했다고 단정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사실 당대의 율령제는 진, 한대 이래 황제를 정점으로 하여 구축된 법률체계의 변천 과정을 전제하면서도 당시의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당대에 국가통치의 기본법으로 기능했던 법체계가 수차례의 수정, 보완을 거쳐 온전한 법전체제를 갖추게 되는 데는 그 과정에 수반되었을 통치제도 운영상의 문제, 사회체제의 변화 등 여러 현실적 배경들이 작용했을 것이다. 다만 법률규정을 통해 제시된 제도운영의 원칙이 실제로 어떻게 기능했는지, 제도운영은 구체적으로 어떠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는지 등 법률규정의 실제적 적용상황에 대해서 전존하는 典章 문헌만으로는 그 실상을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다. 돈황 ㆍ 투르판 출토문서의 의미가 부각되었던 까닭이기도 하다.

돈황 · 투르판 문헌은 해당 지역의 자연 환경적 조건에 의하여 종이가 서사 도구로 사용되었던 초기(대략 3세기 이후)의 자료들을 오늘날까지 그대로 전해 주었다. 돈황 막고굴의 석실에서 발견된 사본들과 투르판 분지의 묘장이나 유지에서 발굴된 문서에는 동서 문화교류의 흔적만이 아니라 중원왕조와의 관계를 반영한 다양한 내용이 혼재하였다. 특히 당조가 沙州나 西州라는 행정조직을 통해 실시했던 여러 제도의 구체적 운영상황도 확인할 수 있다.
이른바 균전 체제 또는 균전적 지배라는 당 전기 지배체제에 대한 종래의 이해에 대하여 필자가 박사학위 논문(「당대 적장제의 운영과 수취제도에 관한 연구」)에서 돈황 ㆍ 투르판문서의 분석을 통해 균전제와 조용조제 운영의 실상에 접근해 보고자 했던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였다. 사주(돈황군), 서주(교하군)를 대상으로 작성된 호적의 기재 내용, 靑苗簿, 九等定簿 등 장부류 문서의 편제 방법 등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당해시기 토지제도와 수취제도 운영의 실상과 상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당대 서북 변경지역의 특수성이란 제약에도 불구하고 돈황 · 투르판 문서는 지방제도로서 향리제, 물가정책으로 화적제, 예산편성과 관련한 용조 징수나 계장 작성, 그리고 물류 이동 등 당조가 추진한 제도 운영의 실상에 접근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였다. 주로 당대 사회경제사 분야의 주제를 관심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했던 필자가 지속적으로 돈황 · 투르판 문서 분석에 천착했던 배경이다.

당대 사회경제제도의 운영실태가 반영된 문서와 더불어 돈황 ㆍ 투르판 문서에는 상정된 안건을 해당 관사에서 처리하는 과정, 즉 문서행정의 처리절차를 파악할 수 있는 문건들도 확인되었다. 특정한 사항에 대한 보고내용을 기재한 장부류 문서가 해당 제도의 운영 실태를 반영한 자료라고 한다면 해당 관사에서 작성, 발급되는 문서들은 문서행정의 운영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라고 하겠다. 예를 들어 개인의 통행허가증에 해당하는 과소는 이동 대상자의 발급 신청과 발급 담당관사의 심의 과정, 관부 장관의 결재, 그리고 과소의 작성이라는 일련의 행정 절차를 거쳐 개인에게 지급된 것으로 그 전체 과정을 출토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른바 율령의 규정이 황제를 정점으로 한 행정조직[官制]의 편성, 이를 구성하는 官人에 대한 직무 분장과 그 엄격한 준수를 의도한 것이라면 해당 관사에서 이루어지는 문서행정의 처리절차는 율령의 실제적 효능과 이와 관련된 관인의 역할을 명확히 반영한 것이라 하겠다. 돈황 · 투르판 문서를 통해 관문서의 유형별 실례와 그 처리 과정의 실상에 접근하고자 했던 것이 최근 몇 년 동안 필자의 연구 주제였다.
이와 같은 돈황 · 투르판 문서를 통한 당대사 연구 가운데 이 책에서는 주로 문서행정과 관련된 내용을 다루고자 하였다. 돈황 · 투르판 문서를 통하여 유형별 관문서의 서식과 기능은 어떠한지, 관부에 상정한 안건이 처리되는 과정에서 문서행정의 절차는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관인들은 어떻게 역할 했는지 등 당대 지방 문서행정의 실상을 파악하고자 했던 연구들이다. 다만 이들 연구성과에 대하여 “출토문서 자체의 난해함과 치밀한 논증 과정”으로 오히려 내용을 이해하기 쉽지 않다는 평가도 제기되었다. 출토문서에 대한 분석성과가 나름대로 축적되면서 출토문서 자체의 이해를 위한 석록문이나 번역문, 또는 해설문 등을 충실하게 제시하지 못한 데다가 소재를 파악하기도 버거울 정도로 급증한 출토문서에 대해 도판조차 제공하지 않는 등 필자의 불성실함에 기인한 지적일 것이다. 혹은 중국이나 일본학계의 관련 연구성과를 반영하면서도 스스로 입론의 근거를 모색하려던 작업의 성숙도가 미진했던 결과이기도 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이 책은 당대사의 특정 주제에 대한 출토문서를 통한 연구성과를 정리하기에 앞서 돈황 · 투르판 문서를 석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을 우선적으로 소개한 것이다. 당대 관문서와 관련된 본격적인 연구서이기보다 관문서를 통하여 출토문서를 읽어내는 데 도움이 될 만한 내용을 담으려 하였다. 이에 따라 인용한 문서는 가능한 도판과 함께 원문, 번역문을 제시하고 몇 부분으로 내용을 구분하여 문서의 구성을 구조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더불어 문서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관련 표와 지도도 제시하였다. 돈황 · 투르판 문서에는 관사에서 발급한 여러 유형의 관문서만이 아니라 상정된 안건의 처리과정에서 작성한 문안이 두루마리 형태로 연접된 안권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 안권에 기재된 해당 안건의 처리절차나 안권을 구성하는 문안의 연접상황 등은 당대 문서행정의 구체적인 운영상황을 이해하는데 특기할 만한 자료라고 하겠다. 돈황 · 투르판 문서 자체에 대한 이해가 특히 요구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물론 돈황 · 투르판 문헌에는 관문서 외에도 매매문서, 서신, 喪葬 기록물이나 사원문서, 社邑문서 등 여러 부류의 사회 문서와 함께 불경을 위시하여 유교, 도교 등 경전류의 종교 문서들이, 그리고 한문문헌 외에도 소그드문, 티베트문, 브라흐미문, 마니문, 시리아문 등 다양한 문자의 문헌들이 다량 포함되어 있다. 출토문서의 이해를 위해 주목한 한문 관문서 이외의 문헌들에 대한 발굴, 정리, 소재 등의 현황도 간과할 수 없는 사항이라 하겠다. 마침 한국에 소재한 투르판 출토문서에 대한 정리도 진행된 바 있어 투르판 문헌의 정리 현황을 함께 소개하게 되었다.

목차

책 머리에

출토문서 인용 관련 일러두기

제1편 당대 관문서의 작성과 문서행정

문제 제기

제1장 公式令의 규정과 관문서의 분류
1. P.2819 「唐開元公式令殘卷」과 관문서의 유형
1) 관문서의 유형과 기능
2) 공식령과 관문서의 서식
2. 출토문서의 관문서 서식과 기능
1) 關文의 서식과 기능
2) 牒文의 서식과 평행문서의 기능
3) 符式 문서의 유형 구분과 서식
3. 소결

제2장 정무 처리과정과 관문서의 작성 절차
1. 지방 문서행정의 운영과 관문서의 작성
1) 지방 문서행정의 운영 절차
2) 行判과 관문서의 작성
2. 문서행정의 처리절차와 관문서의 서식
1) 關文 발급 과정과 관문의 서식
2) 符文[下達문서]의 처리 절차
3. 관문서의 발급과 공식령의 복원
1) 上申문서로서 解文의 작성
2) 관부 발급 문서와 過所의 서식
4. 소결

제3장 案卷의 구성과 문서행정의 운영
1. 「開元21年過所案卷」의 구성과 문서행정
1) 關文, 解文의 접수와 官司의 處決
2) 狀文의 접수와 관사간의 공조
2. 정무 처리절차와 안권의 작성
1) 案由文書 유형에 따른 立案 과정
2) 문안의 연접과 안권의 성립 과정
3. 소결


제2편 吐魯番 출토문헌의 정리

제1장 투르판 출토문헌의 발굴과 정리
1. ‘新材料’와 투르판 출토문헌
2. 투르판 출토문헌의 流散과 정리
1) 러시아의 新疆 진출과 투르판 탐사
2) 독일 투르판고찰대와 투르판지역의 발굴
3) 일본 오타니탐험대와 투르판문헌의 散藏
4) 스타인의 투르판 발굴과 英藏 투르판문헌
3. 새로운 발굴과 출토문헌의 정리
1) 1959년~1975년의 발굴과 투르판 출토문서
2) 1997년~2006년의 발굴과 출토문서의 수습
3) 중국내 투르판 출토문헌의 정리
4. 소결

제2장 한국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투르판 출토문서의 정리
: 國博 ‘唐儀鳳3年(678)度支奏抄 ㆍ 4年(679)金部旨符’ 판독
1. 국박 삿자리[葦席] 문서의 복원
2. 국박 ‘度支奏抄’의 조문별 분석
1) 2020NMK1:1(K") 문서의 판독문 검토
2) 2020NMK1:2(K) 문서의 판독문 검토
3. 아스타나 230호묘 삿자리 문서의 釋錄
1) 국박 ‘탁지주초’의 새로운 판독문
2) 아스타나 230호묘 삿자리 부착 문서의 釋文
4. 소결 [보론]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