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의 일상 회복을 돕는 통증 전문가,
물리치료사
물리치료사는 환자가 장애로 인해 사회적 사망 선고를 받는 일을 막기 위해 노력한다. 여러 통증 혹은 만성통증을 겪고 있는 환자들의 일상 회복을 위한 통증 관리에도 최선을 다한다. 하지만 환자가 원래의 일상으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물리치료사 혼자만의 노력으로는 어렵다. 환자 스스로 자신의 통증을 관리하는 ‘자가 치료사’가 될 수 있도록 돕는 통증 교육과 물리치료사의 역할이 필요한 이유다.
《물리치료사는 이렇게 일한다》에는 환자를 자가 치료사로 만들어내는 치료 이야기가 실렸다. 물리치료사는 우리 몸의 통증 억제 기능을 알고, 환자가 이미 가지고 있는 ‘약상자’를 열어주는 촉진자다. 그 약상자를 열기 위해서는 환자의 협조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친밀한 신뢰를 바탕으로 환자들에게 어려운 과제를 극복해나갈 방법을 함께 찾아간다.
저자는 환자가 치료를 거부할 때, 즉 환자 스스로 이겨내겠다고 말할 때 큰 보람을 느끼며, 환자가 병원을 떠나 직장으로 복귀할 때가 치료사로서 가장 기쁜 순간이라고 말한다. 환자를 자가 치료사로 만들어 그들의 일상 회복을 돕는 통증 전문가, 물리치료사로서 성장해나갈 때다.
이 책의 구성
이 책은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는 물리치료사 지망생들을 위한 정보를 실었다. 물리치료사는 어떤 일을 하는지, 취업 및 전망은 어떤지,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지, 해외 물리치료사의 삶은 어떤지 등 물리치료사로의 여정을 떠나려는 이들이 읽으면 좋은 이야기가 많다.
제2장에서는 새내기 물리치료사들이 성장해나가는 데 도움이 될 만한 팁을 실었다. ‘치료실’이라는 공간에 대한 설명과 그곳에서 환자와 ‘치료적 동맹’을 맺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또한 환자 인터뷰가 왜 중요한지, 치료사로서 겪게 되는 슬럼프를 어떻게 극복해야 하는지 등 물리치료사로 일하며 바로 적용해나갈 수 있는 노하우들이 쏟아진다.
제3장과 제4장에서는 환자의 ‘통증’을 다루는 법에 관해 이야기한다. 환자를 집요하게 괴롭히는 ‘통증’을 다루는 방법을 상세히 다룬다.
제5장에서는 더 나은 물리치료를 제공하는 치료사로 성장하는 방법을 담았다. 치료사들은 끊임없이 연구하고 적용하면서 올바른 치료를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사람의 몸을 다루는 직업이기 때문이다. 신체를 넘어 환자의 생각과 정서 역시 치료사들이 돌봐야 할 대상인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