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 가펑클의 ‘Traveling Boy’를 다시 듣습니다. 오래전, 이 노래를 들으며 펑펑 울었던 어두운 새벽이 있었습니다. 나는 가끔 이 노래를 들으며 그날의 절망을 되살리곤 합니다. 삶의 결정적 순간들을 반복해 체험하고자 하는 욕구는 누구에게나 있는 것 같습니다. 아니 에르노는 서른 살 가까이 어린 ‘젊은 남자’와 그 여정을 함께합니다. ‘젊은 남자’는 아니 에르노라는 삶의 독자가 되고, 우리는 그들의 체험의 독자가 되며, 작가는 자기 자신을 낱낱이 해체함으로써 그 경험을 다시 한번 낯선 것으로 만들어버립니다.『젊은 남자』를 읽고 난 지금, ‘Traveling Boy’가 환기하는 나의 기억 또한 달라진 것을 느낍니다. 나는 내가 생각했던 것만큼 순수하고 절박하기만 한 주인공이 아니었습니다. 그러고 보니 아니 에르노는 절대 실눈을 뜨는 법이 없는 작가였죠. 그런 면에서 『젊은 남자』는 아니 에르노만이 쓸 수 있는 글이고, 가장 아니 에르노다운 글입니다. 텍스트를 향한 작가의 집념과 실험에 한 사람의 독자로서, 편집자로서 동참할 수 있어서 기쁩니다. 이 책을 읽고 함께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이 책은 당신의 경험을 어떻게 변화시켰나요?
(편집자 이승희)
[옮긴이의 말]
『젊은 남자』는 30여 년 전 작가 자신의 불법 임신중절 수술 경험을 다룬 『사건』을 쓸 수 있도록 이끈 ‘사건’을 다룬 텍스트로 이해할 수 있으며, 『세월』에서 몇 페이지에 걸쳐 언급한 이야기의 확장판이기도 하다. 무엇보다도 기억과 시간, 사랑과 글쓰기에 대한 아니 에르노 문학의 핵심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텍스트가 짦은 만큼 그 밀도 또한 대단히 높다.
우리가 아니 에르노를 읽는 이유는 작품 속 인물을 하찮은 가십거리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작가의 사적인 경험에서 출발한 독특한 글쓰기를 통해 우리의 삶을 돌아보는 데 있다. 더군다나 작가에게 이 ‘젊은 남자’는 마르셀 프루스트의 ‘마들렌느’처럼 기억의 전달자이니, 우리 역시 텍스트 안에서의 ‘젊은 남자’가 맡은 역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