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적 변화와 간호조무사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보건 간호 관련학과의 다른 전공 교과목에 우선하여 지도하는 기초 과목으로서, 실무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올바른 직업 윤리관과 자세를 확립하여 간호 보조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가. 2018년 4월에 고시된 국가 교육 과정의 교과목 목표를 반영한다.
- 간호 보조 업무 수행에 필요한 질환별, 환자별, 상황별 기초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이를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기른다.
① 간호조무사로서의 역할 및 윤리 등의 태도를 확립할 수 있다.
② 간호 보조 현장에서 주로 볼 수 있는 기본적인 질환의 정의, 원인, 증상의 기초적 지식을 습득함으로써 간호 보조에 필요한 기본 지식을 이해한다.
③ 기본적인 간호 보조 활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대상별 간호 보조 및 특수 간호보조 활동에 대해 이해한다.
나. 교과 특성에 맞는 다양한 학생 참여형 수업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각 단원마다 교사와 학생들이 함께 활동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였다.
다. 단원평가에서 학생들의 문제 해결 능력, 창의력, 탐구력, 실천적 추론 능력 등을 기를 수 있도록 수능형 문제와 한국 보건 의료인 국가 시험원의 문제 유형과 평가 기준에 맞추어 문제를 제시하였다.
라. 이 책은 보건 간호 관련 학과의 다른 전공 교과목에 우선하여 지도하는 기초 과목으로서의 역할에 충실하고, 기존 간호의 기초 과목처럼 다른 보건 간호 관련 학과의 전공 교과목과 중복되는 부분이 없도록 네 개의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1단원은 간호조무사의 역할과 직업 윤리, 2단원은 주요 질환의 이해와 질환별 환자 간호 돕기, 3단원은 대상자별 간호 보조, 4단원은 특수 분야 간호 보조이다.
특성화 고등학교 보건 간호 관련 학과 학생들의 간호 조무의 기초 실무에 필요한 지
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태도 형성에 도움이 되며, 교사들에게는 학생들을 효과적으로
교육하는 데 도움이 되는 교과서가 되기를 희망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