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히 다독을 하는 건 사고력과 통찰력을 잃는 지름길
세상에는 자세히 들여다보면 근거 없는 경우가 대부분인 편견이 넘쳐난다. 편견은 우리의 눈을 가리고 통찰이 나올 수 있는 길을 막아버린다. 저자는 학창 시절 지식에 대해 잘못된 편견을 품고 있었다고 고백한다. 이는 저자에게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 전반에 퍼져 있는 편견이기도 하다.
저자는 지식은 누적되는 것이며, 책을 많이 읽으면 그만큼 지식이 차곡차곡 쌓인다고 믿었다. 또한 지식이란 사고의 정확성과 응용성을 키워주는 도구이며, 지식이 풍부하면 그만큼 사고가 단단해진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지식을 수집하는 행위 자체가 사고력을 키우며,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폭넓게 쌓으면 그만큼 넓은 식견을 가질 수 있다고 여겼다. 저자는 이런 지식에 대한 편견에 사로잡혀 책에 적힌 내용을 전혀 의심하지 않고 고스란히 머릿속에 집어넣는 독서를 오랫동안 고수했다. 그 결과 그는 자기 생각을 잃고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고 표현해야 할지 모르게 되었다고 한탄한다.
철학자 쇼펜하우어의 명저 『문장론』은 저자에게 독서법에 대해 근본적으로 다시 생각하는 계기를 마련해주었다. 그 책에서 쇼펜하우어는 독서를 타인의 사색 흔적을 추적하는 일에 빗대며, 다독은 다양한 사람의 생각을 단편적으로 이어 붙이는 행위에 불과하다고 통렬하게 비판한다. 책은 누군가 모래 위에 남긴 발자취로, 발자취를 따라가는 독서를 계속하면 타인의 사고에 함몰되어 스스로 사고하는 힘을 잃게 된다는 것이다.
스스로 사고하는 것은 단순히 타인의 사상을 되뇌는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사색을 전개하는 일이다. 저자는 지식이란 누군가 남긴 사색의 흔적이고, 그 흔적을 긁어모은다고 해서 스스로 사고하는 힘이 생기는 것은 아니라고 단언한다. 그런 까닭에 단순히 책에 담긴 지식을 머릿속에 집어넣는 독서는 우리를 사고가 지식에 지배되는 예속적인 상태에 빠뜨려 스스로 사고하는 힘을 잃게 할 수 있다. 사색하는 정신에는 책을 읽고 그 속에 담긴 지식을 고스란히 받아들이는 일방향의 독서가 아니라 질문을 던지면서 책에 담긴 저자의 사색을 새롭게 더듬어가는 쌍방향의 독서가 필요하다. 저자는 지식을 수집하는 독서와 지식을 창조하는 사색은 별개로 다루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지성을 단련하는 과정에서 가장 본질적인 행위는 다독을 하며 지식을 수집하는 것이 아니라 사색을 하며 스스로 지식을 창조하는 것이다.
탐구를 위한 공부의 힘을 키우는 다섯 가지 사고법과 세 가지 대화법
이 책은 원리 편과 응용 편으로 나뉜다. 원리 편에서는 스스로 사고하는 힘을 ‘질문을 끌어내는 힘·분절하는 힘·요약하는 힘·논증하는 힘·이야기화하는 힘’의 다섯 가지로 분류하고 각각의 힘을 키우는 방법을 제시한다. ‘어디서부터 생각을 시작할 것인가’, 즉 사고의 출발점을 정하기 위해서는 ‘질문을 끌어내는 힘’이 필요하다. 출발점을 착각한다면 목적지에 도착할 수 없다. ‘무엇이 중요한 정보 덩어리인가’를 가려내기 위해서는 ‘분절하는 힘’이 필요하다. 분절에 실패하면 다양한 정보를 난삽하게 늘어놓아 핵심을 한눈에 알아볼 수 없다. ‘어떤 논리를 재현하고 구성할 수 있는가’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요약하는 힘’이 필요하다. 요약에 실패하면 애초에 근거로 제시된 데이터나 텍스트를 잘못 이해한 것이다. ‘누락과 중복 없는 추론으로 논거를 짤 수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논증하는 힘’이 필요하다. 논증에 실패하면 이야기가 두서없게 된다. ‘사고 과정을 투명하고 유려하게 전달할 수 있는가’를 고민하기 위해서는 ‘이야기화하는 힘’이 필요하다. 자기 생각을 타인에게 설명하지 못한다는 것은 자기 자신도 정확히 이해하지 못했다는 의미다.
응용 편에서는 다섯 가지 사고법을 응용하여 생산적 사고로 이어지는 대화법을 세 단계로 나누어 설명한다. 첫 번째 단계는 질문으로 타자에게 다가간다. 타자와 대화할 때 처음부터 서로 의견이 일치하는 일은 드물다. 질문은 타자를 처음부터 부정하는 것도, 그렇다고 무턱대고 긍정하는 것도 아니다. 질문이란 가능성을 열어두고 타자와의 대화를 유도하는 중요한 언어 작용이다. 두 번째 단계는 타자 입장에서 호의적으로 해석한다. 대화 자리에서 자신과 다른 의견을 접할 때 우리는 둘 중 하나는 틀렸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호의적 해석’이라는 철학 현장에서 널리 알려진 독해 방법을 적용하여 상대의 처지에서 생각하면 새로운 관점을 발견할 수 있다. 세 번째 단계는 타자에게 적합한 이미지를 사용한다. 무언가를 설명할 때 그 내용이 추상적으로 흐르거나, 반대로 구체적으로 흐르지 않도록 적절한 방법을 고안해야 한다. 이때 활용할 수 있는 강력한 말의 기법이 은유와 유추다. 은유는 더 설득력 있게 설명하는 기술이고, 유추는 상대의 감정을 자기 일처럼 공감하는 기술이다.
탐구를 위한 공부는 삶을 살아가는 힘
굶주린 사람에게 물고기를 주는 것보다는 물고기를 잡는 법을 알려주는 것이 좋다. 저자는 시중에 나와 있는 공부법이나 사고법 책은 대부분 곧바로 실천에 옮기는 방법을 담고 있으며, 본질적인 질문을 던지고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방법을 제대로 다루고 있는 책은 찾아보기 힘들다고 지적한다. 예를 들어 철학적 사고에 관한 책이라면 ‘본래 생각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어떻게 해야 생각했다고 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부터 짚어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이 책의 초점을 ‘탐구를 위한 공부’의 실천 방법이 아니라 ‘탐구를 위한 공부’의 힘을 키우는 사고법에 맞춘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말한다.
저자는 더 큰 시각에서 볼 때 ‘탐구를 위한 공부’는 삶을 살아가는 힘이 된다고 말한다. 스스로 사고하는 힘을 키우는 ‘탐구를 위한 공부’는 우리가 풍요로운 삶을 일구는 과정에서 맞닥뜨리는 본질적인 문제를 고민하는 원동력이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행복하게 살려면 무엇이 필요한가’라는 질문에 답하려면 ‘애초에 행복이란 무엇인가’, ‘도대체 무엇이 내 행복을 방해하고 있는가’와 같은 큰 질문에 답해야 한다. 이 문제를 고민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행복한 삶을 자율적으로 바라거나 스스로 일구지 못할 수 있다. 철학적으로 사고하고 문제 해결하는 법을 알려주는 이 책은 삶을 대하는 자세와 현상을 인지하는 태도를 새로이 가다듬게 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