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남북한문전 11 현대(4)

남북한문전 11 현대(4)

  • 김학준
  • |
  • 단국대학교출판부
  • |
  • 2023-01-25 출간
  • |
  • 782페이지
  • |
  • 172 X 245mm
  • |
  • ISBN 9788970927213
판매가

70,000원

즉시할인가

69,3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69,3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남북한문전(南北漢文典)은 대한민국(남한)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역사·정치·법제·행정·사회경제·사상·문화·외교·통일 등을 주제로 국내외에서 출판된 저술들을 총집대성한 후 분류와 해설한 대한민국 학계와 출판계 최초의 “문전(文典) : 문헌(文獻)과 전적(典籍)=출전(出典)”이다.
남북한문전은 총 15권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제1권 고대 (1) : 선사시대·고조선·부여·삼한
제2권 고대 (2) : 고구려·백제·신라·가야
제3권 중세 : 통일신라·발해·후삼국·고려
제4권 근세 (1) : 조선 개국~왜란 종결
제5권 근세 (2) : 왜란 종결~개항 직전
제6권 근대 (1) : 개항~대한제국 성립
제7권 근대 (2) : 일제강점과 항일독립운동
제8권 현대 (1) : 항일독립운동과 해방공간
제9권 현대 (2) : 미소의 분할점령과 남북한 정부수립
제10권 현대 (3) : 6·25전쟁
제11권 현대 (4) : 제3공화국
제12권 현대 (5) : 제4공화국
제13권 현대 (6) : 제5공화국
제14권 현대 (7) : 제6공화국
제15권 부록(총 색인)

제11권은 총 4부로 구성하였다. 제1부는 “제1공화정”, 제2부는 “4월혁명으로부터 5월군사정변까지의 남북한”, 제3부는 “5월군사정변과 남북한”, 제4부 “제3공화정”이다.

목차

제1부 제1공화정

제1장 제1공화정의 통치과정 21
제1절 사료집 및 회고록 21
제1항 사료집 21
제2항 대통령비서실 비서의 회고록: 직제를 중심으로 22
제3항 국무위원의 회고록 또는 전기 23
제2절 권력구조 및 통치행위 (1): 비서실 정치를 중심으로 25
제1항 개관 25
제2항 프란체스카 여사와 비서실정치 27
제3절 이기붕의 권력 30
제1항 프란체스카 여사와 박마리아 30
제2항 이기붕의 정견과 이기붕에 대한 지인의 관찰 31
제3항 이기붕의 후계자 공식화와 이강석의 양자 입양 33
제4절 경찰과 검찰 36
제1항 국가공권력의 폭력집단과의 결탁을 통한 통치 36
제2항 경찰의 장면부통령암살시도사건 37
제3항 류근일필화사건 38
제5절 군부 39
제1항 개관 39
제2항 핵심적 군장성의 회고록 41
제3항 김창룡장군암살사건 42
제4항 경무대와 자유당에 정치자금을 공급한 육군참모총장 48
제5항 정치군인의 민간인 불법살해와 야당탄압 개입 48
제6항 서정철준장살해사건 50

제2장 제1공화정의 입법부 51
제1절 선거와 의회 51
제1항 개관 51
제2항 제3대 민의원 총선(1954년 5월 20일) 51
제3항 제3대 대통령 및 제4대 부통령선거 52
제4항 제4대 민의원 총선(1958년 5월 2일) 54
제2절 정당 개관 및 자유당 55
제1항 개관 55
제2항 자유당 56
제3절 민주당 59
제1항 개관 59
제2항 호헌동지회 결성 60
제3항 민주당 창당 61
제4항 제3대 대통령 및 제4대 부통령 선거 62
제5항 경무대소요사건 또는 경무대의거 63
제4절 진보당 64
제1항 자료 64
제2항 광릉회합 65
제3항 진보당에 관한 연구 66
제4항 진보당사건의 전주곡: 근로인민당재건사건 68
제5항 진보당사건과 조봉암의 처형 69
제6항 진보당과는 별도로 평화통일운동을 전개한 김낙중 74
제5절 노농당·민주혁신당·통일당 76
제1항 노농당 76
제2항 민주혁신당 77
제3항 통일당 77
제6절 지방자치 78
제1항 개관 78
제2항 제2대 지방의회 선거(1956) 78
제7절 국가보안법 파동과 3⸱15부정선거 79
제1항 국가보안법파동 79
제2항 3⸱15부정선거 80

제3장 제1공화정의 사법부 82
제1절 사법부의 지도자들 82
제1항 개관 82
제2항 대법원장 김병로 84
제2절 형법 및 민법 제정 85
제1항 형법 제정 85
제2항 민법 제정 86

제4장 제1공화정의 경제와 사회 88
제1절 경제 88
제1항 미국 및 유엔과의 협약 88
제2항 여러 기관 수립 90
제3항 개인기업의 성장과 발전 93
제4항 연구저술 94
제2절 사회(언론계 동향 포함) 96
제1항 사회구조: 농촌사회를 포함해 96
제2항 한글간소화파동과 불교정화운동 98
제3항 미국문화의 영향 99
제4항 신문·라디오·관훈클럽 100
제5항 새로운 사회현상 103
제3절 문화 및 체육 106
제1항 세계문학전집 출판 106
제2항 문학작품에 나타난 사회상 107
제3항 소설 「자유부인」에 나타난 사회상 108
제4항 맥타가트와 이중섭 109
제5항 아시안게임과 국제올림픽 참가 110

제5장 제1공화정의 대외관계 111
제1절 대미관계: 이 대통령의 미국방문과 아이젠하워 대통령과의 회담 111
제1항 영문자료 111
제2항 국문자료 112
제2절 대일관계 113
제1항 한일회담 113
제2항 재일교포북송 114
제3절 동남아에 대한 반공정책 120
제1항 라오스 파병 검토 120
제2항 이승만정권과 고딘디엠정권의 비교 121

제6장 제1공화정 시기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22
제1절 개관 122
제1항 북한의 설명 122
제2항 서방세계의 관찰 123
제2절 흐루쇼프의 소련공산당 20차 대회에서의 연설 이전 124
제1항 개관 124
제2항 ‘주체’의 등장 125
제3절 흐루쇼프의 스탈린격하 및 평화공존 연설과 북한의 대응 128
제1항 조선로동당 제3차 대회 (1): 김일성의 보고를 포함한 공식자료 및 북한의 공식해석 129
제2항 조선로동당 제3차 대회 (2): 흐루쇼프 연설에 대해 조선로동당 제3차 대회 이후에 김일성이 보인 반응 130
제3항 조선로동당 제3차 대회 (3): 외부의 분석 131
제4절 1956년 8월 ‘종파사건’ 134
제1항 북한의 설명 134
제2항 외부의 분석 135
제3항 헝가리에 파견된 북한유학생의 저항운동 138
제4항 조선로동당 제1차 대표자회 138
제5절 경제와 사회 및 문화 144
제1항 전후경제복구 계획과 실천 144
제2항 전후경제복구 계획과 실천에 대한 외부의 평가 147
제3항 외부로부터의 지원 150
제4항 농촌집단화 또는 농업협동화 153
제5항 자백운동 156
제6항 강서군당 사업지도 157
제7항 문화 및 예술 157
제6절 통일문제 및 대외관계 159
제1항 통일문제에 대한 북한의 자세와 제안 159
제2항 휴전성립 이전 북한의 소련과 중국에 대한 자세 163
제3항 휴전성립 직후 북한의 소련 및 중국에 대한 자세 164
제4항 일본 및 제3세계와의 관계 167

제2부 4월혁명으로부터 5월군사정변까지의 남북한

제1장 4월혁명과 제1공화정 붕괴와 과도정부 성립 171
제1절 4월혁명 171
제1항 자료집(회고록 포함) 171
제2항 2⸱28 경북고등학교 학생시위 176
제3항 3⸱15 마산의거와 김주열 열사 176
제4항 4⸱18 고려대학교 학생시위 178
제5항 4월혁명 연구논문 179
제6항 4월혁명 연구저술 182
제7항 4월혁명에 대한 북한의 반응 194
제2절 허정과도정부 195
제1항 개관 196
제2항 허정과도정부의 출범 197
제3항 군 내부의 동요와 갈등 201
제4항 개헌에서 장면내각 출범까지 202
제5항 대통령 선출과 장면내각의 출범 205
제6항 혁신운동과 통일운동의 확산 206
제7항 교원노조운동 208
제8항 구체제 아래서의 학살사건 및 암살사건 진상규명운동 208
제9항 신용협동조합 출범 209

제2장 제2공화정 성립과 붕괴 그리고 북한의 태도 210
제1절 개관 210
제2절 윤보선 대통령 및 장면 국무총리: 회고록 및 전기 212
제1항 윤보선 대통령 212
제2항 장면 국무총리 215
제3절 제2공화정 시대의 중요한 쟁점 217
제1항 정치 217
제2항 외교와 통일 218
제3항 경제 221
제4항 사회ㆍ언론·문화 등 224
제4절 연구저술 228
제1항 단행본(논문모음) 228
제2항 쿠데타모의에 무지했던 장면정부 230
제3항 제2공화정 붕괴의 원인에 대한 분석 234


제3부 5월군사정변과 남북한

제1장 제1공화정부터 제5공화정까지의 헌법·정부·체제 237
제1절 40년(1948~1988)정치사의 개관 237
제1항 자료 그리고 40년사에 대한 인식의 문제 237
제2항 해방 이후 또는 정부수립 이후의 정치사 인식 239
제3항 연구저술 242
제2절 헌법 개관 246
제1항 기본자료 246
제2항 한국헌법사 247
제3항 5⸱16군사정부에서의 헌법 248
제4항 제3공화정 헌법 248
제5항 제4공화정 헌법: 유신헌법 251
제3절 제1공화정으로부터 제5공화정까지 252
제1항 정치제도론의 시각 252
제2항 권위구조 또는 권력의 특성 253
제3항 정치경제학의 시각 254
제4항 제1공화정으로부터 제3공화정까지의 개관 255
제5항 제3공화정으로부터 제5공화정까지의 개관 256

제2장 5⸱16군사정부 258
제1절 관련자의 회고록 및 전기 259
제1항 5⸱16군사정변을 당한 쪽의 회고록 및 전기 등 259
제2항 5⸱16군사정변의 기획설계자 김종필 264
제3항 5⸱16군사정변 주역의 회고 269
제4항 5⸱16군사정변 참여자의 회고 271
제5항 5⸱16군사정변 또는 민주공화당 창당에 참여한 민간인의 기록 272
제6항 5⸱16군사정변에 참여했다가 제거당한 쪽의 회고록 275
제7항 5⸱16군사정부를 취재한 기자의 저술 277
제2절 5⸱16직후의 상황과 미국의 결정 278
제1항 미국측 자료 278
제2항 윤보선 대통령의 사의 표시와 김용식 외무차관의 건의 279
제3항 5⸱16군사정변에 대한 케네디행정부의 기본입장 280
제3절 국가재건최고회의의 발족 287
제1항 기본자료 287
제2항 국가재건최고회의 시절 박정희 288
제3항 박정희에 대한 미국의 의심 290
제4항 국가재건최고회의 292
제5항 대통령권한대행직 겸임 시절의 박정희 293
제6항 박정희의 대표적 전집 및 전기 294
제4절 국가재건최고회의의 산하기관 296
제1항 중앙정보부 296
제2항 혁명재판소 및 혁명검찰부 300
제3항 재건국민운동본부 304
제4항 수도방위사령부 306
제5절 군사정변주도세력 사이의 내분과 갈등 306
제1항 개관 306
제2항 5⸱16정변세력 내부에서의 권력투쟁 308
제3항 4대 의혹사건 309
제4항 민주공화당 사전 조직 310
제6절 경제 314
제1항 박정희 의장의 경제발전관 314
제2항 대기업인의 구속과 석방: 전경련 출범의 토대 마련 316
제3항 농어촌고리채정리사업 317
제4항 경제기획원 창설 및 제1차 경제개발5개년계획 수립 318
제5항 상법제정 325
제6항 화폐개혁 또는 통화개혁 326
제7항 한전과 주공 출범, 정유공장 건설, 라면 제조 328
제7절 사회 330
제1항 청신한 사회기풍 진작 330
제2항 언론 331
제3항 대학 및 학계 333
제4항 한센병 환자에 대한 새 조치 336
제8절 대외관계 및 대북관계 337
제1항 개관 337
제2항 미국과의 관계 337
제3항 일본과의 관계 342
제4항 특별사절단 파견 345
제9절 민정으로 가는 길: 제5대 대통령선거와 제6대 국회의원선거 349
제1항 개관 349
제2항 「정치활동정화법」을 통한 반대세력의 출마 제한 351
제3항 제5대 대통령선거: 특히 ‘사상논쟁’을 중심으로 351
제4항 제6대 국회총선 355
제5항 5⸱16군사정변 평가를 둘러싼 논쟁 357

제3장 5⸱16군사정부 시기의 북한 365
제1절 황태성 밀파 및 남북 비밀접촉 365
제1항 5⸱16군사정변에 대한 북한의 해석 365
제2항 황태성사건 366
제2절 김일성의 소련·중공 방문과 군사동맹조약 체결 369
제1항 공식발표 369
제2항 서방세계의 분석 370
제3절 중소분쟁 속에서의 북한 371
제1항 소련공산당 자료 출판 371
제2항 중공과 국경조약 371
제3항 중공에 기울면서 소련을 비판 372
제4항 중공과 소련 사이의 북한 373
제5항 북한 「로동신문」 사설: 소련비판·중공지지 377
제6항 서방세계의 해석 378
제4절 조선로동당 제4차 대회 380
제1항 김일성의 연설 등 대회자료 380
제2항 북한의 해석 381
제3항 서방학계의 해석 381
제5절 7개년 인민경제계획과 대안의 사업체계 383
제1항 북한의 발표 383
제2항 한국정부의 시각 383
제3항 한국학계의 시각 384
제4항 서방학계의 분석 385
제6절 기타 대내외쟁점 387
제1항 김봉한경락사건 387
제2항 불가리아에 유학하던 북한학생 집단망명 389
제3항 도쿄올림픽 단일팀구성을 위한 남북체육회담 390
제4항 대남 강경군사노선의 채택 390

제4부 제3공화정

제1장 자료 및 개관 395
제1절 자료 395
제1항 연설문집 395
제2항 통치사료집 399
제2절 개관 399
제1항 제3공화정 399
제2항 제3공화정에서 제4공화정까지 402

제2장 국가목표와 관료체제 407
제1절 박 대통령의 국가목표 407
제2절 박 대통령의 권력구조 413
제1항 제2인자를 두지 않으려는 시도 413
제2항 관료중심체제 또는 테크노크라트체제를 통한 직접통치 415
제3절 육영수 여사의 역할 424

제3장 힘에 의존한 국내통치 429
제1절 대통령경호체제의 강화 429
제1항 개관 429
제2항 박종규 경호실장 431
제2절 계엄령·위수령·비상사태선포 발동의 통치 435
제1항 사례 436
제2항 연구저술 438
제3절 중앙정보부를 활용한 정치공작과 국가폭력의 행사 439
제1항 개관 439
제2항 신문기자 등에 대한 테러(1964~1966년) 441
제3항 김두한의원고문사건(1966년): 사카린밀수사건과 관련해 441
제4항 국민복지회사건(1968년) 443
제5항 일련의 고문조작사건(1968~1985년) 444
제6항 정치인에 대한 테러 447
제7항 개인적에 대한 고문 또는 폭력 450
제4절 통일논의 봉쇄를 위한 반공법통치 450
제5절 문예계에 대한 반공법통치 458
제6절 사법권독립에 대한 심대한 위협 463
제7절 반정부쿠데타음모사건: 원충연사건 465
제8절 청와대의 정치자금 모금 467

제4장 국회의원선거·대통령선거·국민투표 472
제1절 제6대 대통령선거 및 제7대 국회의원선거 472
제1항 자료 472
제2항 개관 473
제3항 제한선거론의 제기와 그것에 대한 반론 473
제4항 제6대 대통령선거(1967년 5월 3일) 474
제5항 제7대 국회의원선거(1967년 6월 8일) 476
제2절 3선개헌과 국민투표(1969년 10월 17일) 479
제3절 제7대 대통령선거(1971년 4월 27일) 482
제4절 제8대 국회의원선거(1971년 5월 25일) 486

제5장 국내경제 및 과학기술 494
제1절 수출입국과 경제제일주의: 성취와 문제 494
제1항 개관 495
제2항 정책집행자의 시각 508
제2절 재벌의 형성과 자본축적과정 515
제1항 재벌의 형성과정 515
제2항 자본축적과정 또는 자본주의 발전과정 519
제3항 가발수출로 시작한 ‘수출입국’ 520
제4항 자본축적과 자본가계급의 형성 520
제5항 재벌 또는 대기업에 연관된 사항들 524
제6항 개별 대기업 연구 527
제3절 중소기업의 곤경·사회적 불평등 등 535
제1항 중소기업 535
제2항 차관 또는 외자 538
제3항 수출주도형 성장정책 540
제4항 무역성장이 경제·사회에 미친 영향: 땅값의 폭등을 포함해 540
제4절 주요한 국책사업 541
제1항 경부고속도로 541
제2항 포항종합제철 543
제3항 서울특별시 개발: 재건의 모습과 문제점 545
제5절 과학기술정책 551
제1항 자료 551
제2항 최형섭 553
제3항 과학자의 회고록 및 평전 553
제4항 연구저술 554

제6장 노동·농어촌·새마을운동 556
제1절 노동운동 제약 속에서의 근로자의 빈곤과 투쟁 556
제1항 기본자료 556
제2항 개관 558
제3항 산업공업단지 563
제4항 여공(女工) 565
제5항 전태일과 한국노동운동의 전환 567
제6항 문학 속의 노동자 573
제2절 공업중시정책에 따른 사회변화 574
제1항 농촌사회의 변화 574
제2항 어민 581
제3항 폐광촌 581
제4항 도시빈민 581
제5항 산업재해 및 공해와 생태계운동 584
제6항 도시화의 정치적·사회적 영향 및 의미 586
제3절 농어촌과 새마을운동 590
제1항 자료 590
제2항 현지취재 591
제3항 한국농어촌 592
제4항 새마을운동 595

제7장 국내 교육·종교·문화·예술·사회 601
제1절 교육 601
제1항 자료 602
제2항 개관 603
제3항 국민교육헌장 604
제4항 서울대학교 605
제5항 사학(私學) 606
제6항 중등교육 및 교원 608
제7항 전문학교 및 공업교육 609
제8항 교육열 609
제9항 방송통신대학 610
제10항 기타 주제 610
제2절 종교 612
제1항 개관 612
제2항 각론: 개신교·천주교·불교·원불교 등 615
제3절 언론 622
제1항 언론탄압 623
제2항 새로운 일간지의 발행 허용 627
제3항 언론과 재벌의 관계 628
제4절 문화와 예술 628
제1항 문학 628
제2항 출판 633
제3항 영화 634
제4항 국악 637
제5항 방송: 라디오전성시대의 전개 638
제6항 연예 및 뮤지컬 640
제5절 다양한 사회상 643
제1항 개관 643
제2항 사회적 성격 644
제3항 부패(뇌물 포함) 649
제4항 여성 655
제5항 사회생활의 모습 656
제6항 마약 666
제7항 해외여행·인력수출·이민 666
제8항 독서경향 670

찾아보기 673
저자명 673
조선=한국인 673
일본인 692
서명 692
논문명 715
건명 751
영문 인명 757
영문 서명 763
영문 논문명 767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