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로부터 나라가 혼란하면 육지에서는 도적이, 바다에서는 해적 떼가 날뛰었다.”
23년 닥쳐올 전 세계적 경기 침체는
해적을 다시 불러올까
소말리아 해적 관련 사건이 가장 극심했던 시기는 2008년에서 2010년 사이로 리만브라더스발 금융위기로 인해 전 세계 경기가 침체되어 있을 때였다. 소말리아 해적은 2020년을 기점으로 거의 사라졌으나, 세계 경제가 휘청이자마자 이제는 기니만에서 나이지리아 해적이 세를 확장하고 있다(최근 이 해적 집단에게 억류됐던 선박에 한국인이 탑승해있기도 했다). 이렇듯 해적과 해적들의 활동은 기본적으로 경제와 빈곤과 깊게 연관되어 있다.
저자는 고대 북해의 바이킹부터 현대 소말리아 해적까지 전 세계, 전 시대 해적을 분석하면서 ‘빈곤’과 ‘탐욕’을 핵심이라 설명했다.
저자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해적은 “주류 사회가 외면하는 사람들”이 “비참한 생활에서 벗어날 방도를 강구한” 결과였다. 생계를 유지하기 어려운 특정 공동체들, 특히 해양 근처에서 활동하는 공동체들이 주로 본인들의 기술을 활용하여 해적이 되었다. 한 에로 북유럽 바다에서 활동했던 해적인 ‘양식형제단(이후 평등공유단)’은 그 이름처럼 전시에 적군을 뚫고 음식을 보급하는 임무로 시작했다. 이런 집단은 현재에도 존재하며 동남아시아의 해상민족인 오랑라우트족이 한 예다.
하지만 저자는 그 근저에 ‘탐욕’, 즉 “손쉬운 돈벌이의 유혹”이 있음도 지적한다. 처음에는 아니었어도 해적질을 하며 약탈품을 챙기는 과정에서 결과적으로 그렇게 변해 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한 예로, 현대 소말리아 해적은 원래 불법 조업의 피해에 불만을 가져서 생긴 해적이었다. 하지만 이후 호화 요트를 납치해 몸값으로 200만 달러를 벌어들인 후, 해적행위가 일종의 ‘골드러시’로 변질되었다.
낭만 넘치는 모험담이 아닌
지질하고 기구한 ‘진짜 해적’의 이야기
저자는 세인트앤드루스대학 테러학 교수로 해적 활동을 예방하기 위해 해적을 연구했다. 저자는 이 책에서 ‘해적의 순환 주기’라는 개념을 주장한다. 전 세계, 전 시기의 해적에 적용할 수 있는 이 순환 주기에 따르면 대부분의 해적은 소규모로 시작해 약탈, 국가의 공인 등 적당한 기회를 만나 힘을 키운다. 이후 큰 조직을 이루면 한 국가나 지역을 조직적으로 약탈하기 시작한다. 북해에서 활동한 바이킹의 경우, 이 단계를 넘어 국가를 무너뜨리고 자신들의 제국을 건설하기도 했다. 만약 국가가 강하게 반격하면 해적은 다시 바다로 퇴각해 힘을 키울 적당한 기회를 기다린다.
저자는 이런 악순환의 주기를 끊으려면 무엇보다 ‘의지의 연대’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과거에 해적을 박멸할 수 없었던 이유는 무역 이권 다툼으로 인해 해적과 관련된 모든 국가가 동맹을 맺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제 많은 국가연합체에서 해적행위를 테러리즘의 하나로 보기 시작했고, 동맹을 맺고 해군력을 투입하기 시작했다.
또한 해적을 완전히 없애기 위해서는 ‘육지 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중요하다. 현대 해적 문제 대부분이 국가의 통제력 문제와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해적으로 유명한 소말리아 등 아프리카 국가들은 국가가 약하고 불안정해 해적행위를 통제하지 못한다. 또한 통제력이 부족하면 다른 국가에서 온 불법 조업을 막지 못해, 어민들이 더욱 가난해져 결국 해적이 되는 효과도 있다.
국가 간의 연대, 국가 통제력 문제 해결, 이 두 가지를 해결해야 해적을 완전히 없앨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