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 ◈
◆ 5G/LTE 자가망을 활용한 기업의 디지털 혁신 사례 소개
◆ 5G 자가망을 활용한 기업의 디지털 혁신 적용 유형 소개
◆ 5G 자가망과 통신사 5G, Wi-Fi의 비교 및 차이점 설명
◆ 기업의 5G 자가망 도입을 위한 5G 특화망 제도 및 도입 절차 소개
◆ Nokia Bell Labs의 5G 인증 교육 소개 및 5G 자가망 SaaS 소개
◆ 5G의 기술적 아키텍처, 주요 구성 요소 및 특징에 대한 상세한 설명
◆ 네트워크 슬라이싱 및 MEC의 아키텍처 및 상세 기술 설명
◆ 5G의 QoS 기술, 무선 기술 설명 및 설계/도입 기술적 방안 소개
◆ 5G의 표준화 동향 및 6G 전망
◈ 이 책의 대상 독자 ◈
◆ 기업의 DX 전략을 수립 및 실행하는 담당 CDO, CIO, 전략팀장과 실무 담당자
◆ 5G 기술을 활용한 글로벌 기업 DX 사례 및 적용 방안에 관심이 있는 기업 DX 담당자
◆ 5G 자가망 구성과 활용을 위한 제도, 주파수, 솔루션, 교육, 5G 기술 등이 필요한 기업의 네트워크 담당자 및 담당 부서
◆ 5G 자가망 기술 및 솔루션을 기반으로 기업 DX 시장에서 비지니스를 진입 또는 확대하려는 기업 DX 솔루션 제공사 프리세일즈 팀
◈ 이 책의 구성 ◈
이 책은 기업의 생존과 지속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시대에 개별 기업이 디지털 혁신을 통한 미래 전략 수립에 최신 무선 통신 기술인 5G를 활용하는 안내서로 기획됐다. 기업의 DX 전략 담당자, 기획 담당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담당자 및 IT 부서까지 다양한 업무 분야에 필요한 내용을 담았다. 각자의 업무, 경험과 필요에 따라 일부 장 또는 전체를 읽으면 되겠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 ‘기업의 DX와 5G’에서는 기업의 DX 동향과 기업 DX에 수반되는 기술 요소를 살펴본다. 딜로이트, 세계경제포럼, 노키아 벨연구소 등의 세계 유수 기관들의 보고서를 인용해 객관적 관점에서 기업 DX에서 5G의 필요성과 Wi-Fi와의 차별점 등을 살펴본다.
2장, ‘5G를 활용한 글로벌 기업 DX 사례’에서는 기업 DX의 적용 유형들을 포함하고 있는 인더스트리 4.0 프레임워크를 살펴본다. 인더스트리 4.0 프레임워크의 주요 범주인 디지털 산업 현장, 자동화된 작업 현장, 커넥티드 작업자, 스마트 자산 등에 따라 대표적인 적용 유형들을 소개한다.
3장, ‘5G 이해하기’에서는 5G의 주요 사용 사례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것을 통해서 5G가 우리의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산업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4장, ‘5G 네트워크 구성’에서는 5G 네트워크의 전체 구성에 대한 개요를 살펴보고, 5G 코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개별 NF(Network Function) 와 RAN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요소, RAN 프로토콜 아키텍처, 및 RAN 아키텍처에 대해서 상세히 소개한다.
5장, ‘네트워크 슬라이싱’에서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전반적으로 소개한다. 네트워크 슬라이싱 정의, 4G 네트워크 슬라이싱 개념과 5G 네트워크 슬라이싱 비교, 각 도메인(코어, RAN, 전송)별 슬라이싱 및 네트워크 슬라이싱 동작 절차를 다룬다.
6장, ‘MEC’에서는 MEC를 전반적으로 소개한다. ETSI MEC 구조, MEC 구성 요소, MEC 구축모델 그리고 MEC가 3GPP 5G망과 어떻게 밀결합 될 수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MEC와 5G와의 관계를 서비스 및 기술적 관점에서 이해한다.
7장, ‘5G QoS, 무선 기술과 안테나’에서는 4G 및 5G 망에서 QoS모델을 비교해 소개한다. 5G망에서 QoS 처리가 4G망에서의 처리와 어떤 차이점을 갖는지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8장, ‘망 설계 및 적용’에서는 기업에서 P5G망을 도입하기 위해 고려할 수 있는 기술적인 방안인 NPN(Non-Public Network)의 기술적인 내용과 적용 방안을 소개한다.
9장, ‘5G의 미래와 6G’에서는 5G 표준의 진화방향과 6G의 미래 비전을 통한 산업 통신망의 미래를 그려볼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했다. 유무선의 통합과 산업 통신망의 요구 사항들을 더 많이 수용하게 되는 6G의 비전을 살펴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