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오직 옆모습으로만 서로를 보았고, 결코 서로 사랑하지 않았다
『잃어버린 옆모습』에는 조제를 둘러싼 세 명의 남자가 등장한다. 광기에 가까운 집착을 보이며 서로를 갉아먹고 급기야 조제를 감금해 소유하려 했던 전남편 앨런, 부유한 배경을 바탕으로 물심양면으로 조제를 돕지만 어딘가 결여되어 보이는 성공한 사업가 줄리우스, 첫 만남부터 서로에게 호감을 보이며 즐거운 대화를 나누지만 이내 조제를 줄리우스의 정부로 착각해 무례를 저지르는 젊은 수의사 루이.
각각의 등장인물은 자신만의 방식으로 서로를 바라보고 사랑을 이어나간다. 누군가는 상대방의 옆모습만을 바라보고, 또 누군가는 온전한 모습을 보는 듯도 하다. 사강은 세 명의 남자와 조제의 관계에서 사랑이라고 포장된 소유욕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랑을 통해 행복해지고 싶어하는 모순을 그녀 특유의 감성과 문체로 섬세하게 표현하고 있다.
“우리는 지독히도 평행이고 지독히도 낯선 서로의 인생 속을 지나갔다. 우리는 오직 옆모습으로만 서로를 보았고, 결코 서로 사랑하지 않았다. 그는 나를 소유하기만을 꿈꾸었고, 나는 그에게서 달아나기만을 꿈꾸었다. 그게 전부였다.” _233쪽
그 초봄 저녁, 파리는 눈부셨다
조제는 우연히 찾은 꽃집에서 루이와 다시 만나게 되고 두 사람은 사랑에 빠진다. 루이는 조제와 줄리우스의 관계를 오해해 질투와 실망감에 저지른 실수를 사과하고, 조제 역시 루이를 만나 5년 만에 가슴 뛰는 사랑에 빠졌음을 깨닫게 된다.
“그가 한 손을 내밀더니, 나를 자기 쪽으로 끌어당겼다. 심장이 마구 쿵쾅거렸다. 그는 나를 끌어안고 한쪽 뺨을 내 이마에 대고는 한동안 꼼짝 않고 있었다. 그가 몸을 떠는 것이 느껴졌다. 이윽고 그가 나에게 키스를 했다. 욕망의 나팔 수천 개가 소리를 내고, 피를 고동치게 하는 수천 개의 북소리가 우리의 혈관 속에 울려퍼졌다.” _169쪽
다리들은 공중에 걸쳐져 있는 것처럼 보이고, 기념물들은 부유하는 것 같았으며 보행자들의 발걸음은 가벼워 보이는 초봄의 파리, 아름답고 자유로운 도시에서 조제는 새로운 사랑을 시작한다. 전작들이 연인들의 이별에 이르는 과정을 보여준다면, 이 작품에서는 허무한 사랑의 비극적 결말이 아닌 이제 막 시작된 조제와 루이의 사랑의 감정을 구체적이고 열정적인 모습으로 그려낸다. 조제가 자신의 삶을 구속하던 인물들, 서로 이해하지 못하고 같은 곳을 바라보지 못하던 인물들에게서 벗어나 사랑하는 존재들과 함께 보다 솔직하고 풍요로운 삶을 살아가는 모습으로 ‘조제 3부작’을 마무리 짓고 싶은 것이 작가의 바람이 아닐까 생각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