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머리말 ●
회계는 기업의 언어입니다. 또한 이러한 회계의 자료를 가지고 기업의 경영성과에 대하여 기업은 사회적 책임을 집니다.
회계는 매우 논리적인 학문이고, 세법은 회계보다 상대적으로 비논리적이나, 세법이 달성하고자 목적이 있으므로 세법의 이면에 있는 법의 취지를 이해하셔야 합니다.
회계와 세법을 매우 잘하시려면
왜(WHY) 저렇게 처리할까? 계속 의문을 가지세요!!!
1. 회계는 이해하실려고 노력하세요.
(생소한 단어에 대해서 네이버나 DAUM의 검색을 통해서 이해하셔야 합니다.)
2. 세법은 법의 제정 취지를 이해하십시오.
3. 이해가 안되시면 동료들과 전문가에게 계속 질문하십시요.
전산세무를 공부하시는 수험생들 중 대다수는 이론실력이 없는 상태에서 전산프로그램 입력연습에 너무 많은 시간을 할애합니다. 그런 수험생들을 보면 너무 안쓰럽습니다.
법인세는 회계이론의 정립된 상태에서 공부하셔야 합니다. 법인세는 세무회계의 핵심입니다. 법인세는 회계나 마찬가지입니다. 회계를 잘하시면 법인세도 잘합니다. 법인세는 세법의 꽃입니다. 법인세를 모르면 세법을 안다고 할 수 없을 정도로 우리나라의 가장 중요한 세법입니다.
필자도 불혹의 나이에 세무사에 도전할 때 법인세에 대해서 외우다시피하여 세무사 시험에 합격하였습니다. 법인세 부분만 인터넷강의를 4명의 유명 강사들에게도 들었습니다. 그러나 이해가 되지 않았습니다. 그만큼 법인세가 어렵습니다.
LOGIN전산세무1급(법인조정)과 LOGIN전산세무1급(회계,부가,소득)으로 이론과 실무를 심도 있게 공부하시고, 마지막 본인의 실력을 테스트하고, 시험시간의 안배연습, 그리고 최종적으로 본인의 부족한 점을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아시다시피 전산세무1급 자격증은 합격률도 낮고 별로 강의하는 학원도 많지 않습니다. 그러나 최근 전산세무1급은 합격률이 높아지는 추세로서 쉬워지고 있습니다.
기출문제에서 합격율을 참고하셔서 본인의 실력을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본서에 있는 법인조정은 반드시 수기와 프로그램입력 연습으로 최종 정리를 하시기 바랍니다.
법인세가 36점(이론 및 결산자료입력) 배점이 되어 있는데 33점을 목표로 하시고 나머지 부분에서 37점만 획득하시면 됩니다.
무엇보다도 전산프로그램 입력은 단순 반복적인 작업입니다.
회계나 세법실력과 무관하나,
전산세무1급에 합격하기 위해서는 회계와 세법이론에 입각한 입력을 하셔야만 합니다.
수험생 여러분!!
법인세에 힘을 쓰십시요!! 법인세는 회계와 똑같습니다. 원리를 이해하시고 공부하세요. 그리고 자신을 이기십시요!!!
마지막으로 이 책 출간을 마무리해 주신 도서출판 어울림 임직원에게 감사의 말을 드립니다.
2023년 2월
김 영 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