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구성]
1부: 필요성
- 공교육 현 상황 분석(정체성 상실, 비전문성, Tech Push, 행정주도, 파편화, 정책 관리 부재, 갈라파고스 현실, 비전을 잃은 교사 현실)
- 공교육 혁신을 위해 필요한 국가적 컨센서스 조성, 사회 및 가정교육 강조
- 7080세대의 책임감. 부채의식
2부: 혁신 내용
- 지식 진달 교육을 사고력에 기반한 미래역량 중심으로 전환(탐구하는 수업, 일부 학생중심의 교육에서 모든 학생을 위한 교육, 문제해결력 함양)
- 디지털교과서
3부: 교육혁신 추진 방안
-교육의 본질 회복, 교육적 가치 우선, 페다고지 기반, 컨센서스, 교육혁신 거버넌스 재정비, 혁신을 실행하는 연수 체제 확립
-협회 시범사업, 미네르바 스쿨 및 싱가포르 교육혁신 시사점
(교사 주도 혁신, 페다고지 중요성, 세부 가이드라인, 구체적인 목표 설정, 국가적 지원)
4부: 교육혁신 성과
호기심 자극으로 자기주도학습, 토론과 소통으로 열린 학습 환경
부록 1: 싱가포르 교육혁신 시사점
페다고지 기반으로 교사중심의 일관성 있는 혁신, 거버넌스 구성 및 운영, 우리나라 교육 혁신 가능성 확인
부록2: 협회 시범사업 세부 내역
- 수업 모형: 전시학습 복습, 동기 유발, 수업 목표, 활동, 정리, 평가, 차시학습 예고.
- 학생중심 활동수업 상세: 모둠 활동을 통해 학생끼리 설명하고 토론, 교사는 학생들이 서로 설명하는 과정에서 잘못 이해하지 않도록 가이드 역할.
- 페다고지 중요성, 백가쟁명식이 아닌 모든 학생을 위한 수업 기반
- 수업 진행 상세: 교실 구성, 예습 중요성, 깊은 이해를 위한 수업 기술.
- 활동지: 학생의 학습 이력서. 자기 생각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