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쓰고자 하는 당신에게
글로 드러내지 않으면 그 무엇도 허깨비에 불과하다
이응준은 반드시 작가까지는 아니더라도 자신만의 글을 쓰려는 욕망이 있는 독자라면, 이 책이 도움을 줄 수도 있으리라고 믿는다. 문학은 감히 누가 누군가에게 지도할 수 있는 게 아니며, 제자가 스승을 닮아버리면 그 스승과 제자는 함께 망해버리기 때문이다. 그에게 문학은 처음부터 끝까지 독창성이다.
짧지 않은 세월 문학을 가르치기도 했던 저자는 학생들에게 ‘읽기’보다는 ‘쓰기’를 권하고 강조한다. 작가가 되고 싶었으나 작가가 되지 못하는 사람들 가운데는 ‘읽는 것’을 ‘쓰는 것으로부터 도피처’로 삼은 이가 많기 때문이다. 사랑에 대하여 천만 번 논하기보다 단 한 번이라도 사랑을 해보는 자가 올바른 인생을 살 수 있다. 아무리 무엇을 느낀들 글로 표현하지 못한다면, 그것은 허깨비에 지나지 않는다. 슬프고 담담하고 아름다운 것들은 싸우면서 찾아진다. 싸우기를 싫어하면, 인간과 세상이 곧 책이라는 사실을 모르며, 종이로 된 책만 많이 읽은 바보가 된다.
작가는 어떻게 생각을 길어올리나
창조적 생각의 근육을 키워주는 인문적 아포리즘
작가는 모든 것이 이미 우리 안에 있으며, 바깥이 아니라 우리 자신 안에서 끄집어내라고 한다. 이는 특히 글을 쓰기 어려워하는 이에게 해주는 조언이다. “당신의 가장 가까운 곳인 당신 자신과 당신의 주변에서 글감을 찾아라.” 일종의 메모랜덤Memorandum으로, 그것만이 이 세계에 대해 연기하고 저술할 수 있는, 영혼이 죽지 않은 각서覺書가 된다. 그것을 담보할 수 있는 약속은 각자가 정한다. 침묵을 무시하지 않고 느낄 수 있으면, 사람의 말도 짐승의 말도 그리고 바람과 햇살의 말도 부정하지 않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개 한 마리 안에도 하느님이 계시고 불성이 깃들어 있음을 믿는 우리 안에 하느님이 계시고 불성이 깃들어 있다. 작가는 그런 것에 관해서도 쓸 수 있는 사람들이라고 한다.
작가는 아무것에도 매이지 않고 자신과 자신을 둘러싼 모든 것에서 글을 길어내었고 그 글은 세계를 구축한다. 그의 글은 카프카의 명구 “책은 도끼다”처럼, 우리의 뇌리를 때린다. 그렇게 우리 안에 갇혀 있던 생각을 해방하고, 잘 쓰지 않았던 생각의 근육을 활성화하는 데 효과적인 자극과 영감을 투척한다.
“고로 이 책은 나의 문학 공장이자 내 인간과 세계에 관한 고뇌와 모든 글의 전생前生이고
그것 그대로 나의 전쟁이자 본론이며 수사학이다. 내게 ‘기록하는 인간’은 ‘살아 있는 인간’이라는 뜻이다. 다른 모든 사람에게는 그렇지 않더라도 내게는 분명 그러하다. 나는 기록하는 인간만이 인간을 구원할 수 있다고 신앙한다.”
- 「전사戰士로서의 작가, 작가로서의 전사」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