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두껍전

두껍전

  • 김인경
  • |
  •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 |
  • 2023-02-15 출간
  • |
  • 223페이지
  • |
  • 152 X 225mm
  • |
  • ISBN 9788968499258
판매가

16,000원

즉시할인가

15,52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5,52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전남대학교 도서관 소장 〈두껍전〉의 가치

1. 들어가며
〈두껍전〉은 조선 후기에 나온 작자 미상의 한글 소설이다. 현재 전하고 있는 〈두껍전〉에는 두 가지 유형의 작품이 있다. 하나는 누가 상좌(上座)에 앉을 것인가를 놓고 서로 연장자임을 다투는 쟁장형(爭長型) 〈두껍전〉으로, 보통 ‘우화소설’이라고 하면 이 작품을 가리킨다. 다른 하나는 천상의 선관(仙官)이었던 주인공이 죄를 지어 두꺼비의 몸으로 인간 세상에 유배되는 적강형(謫降型) 〈두껍전〉으로, 연구자에 따라 선관형, 변신형, 신화형(神話型)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이 적강형 〈두껍전〉은 두꺼비가 부잣집 셋째 딸과 혼인하였다가 허물을 벗고 사람이 된다는 〈두꺼비 신랑〉 설화와 직접적인 관련을 맺고 있으며, 두꺼비가 은혜를 갚는 보은담(報恩談), 주인이 도망간 노비를 찾는 추노담(推奴談) 등 여러 설화의 영향을 받은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이 책의 대본인 전남대학교 도서관 소장 〈두껍전〉(이하 전남대본 〈두껍전〉)은 적강형에 해당하는 작품으로, 학계에 처음으로 소개되는 이본(異本)이다. 그런 만큼 이 글에서는 전남대본 〈두껍전〉이 이본으로서 갖는 특성과 의의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도록 하겠다.

2. 서지사항 및 이본 검토
전남대본 〈두껍전〉은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에 소장(청구기호 OC 3Q2 추13)된 필사본으로서, 집을 떠난 남편을 그리워하는 내용의 짤막한 글인 〈부군전서라〉와 합철되어 있다. 책의 크기는 32.6×21.7cm이고, 〈두껍전〉은 매면 10~11행, 매행 21~25자로 총 31장에 걸쳐 필사되어 있다. 내제(內題)는 “둑겁전 권지일”로 되어 있으나, 겉표지에는 따로 흰 종이에 ‘추검전’이라는 제목을 써서 붙여 놓았다. 실제로 현재 전남대 도서관 홈페이지에서도 ‘추검전’으로 검색해야 결과가 나오는데, 후대에 ‘둑겁전’이라는 글자를 잘못 판독하여 표제(表題)를 ‘추검전’이라고 표기한 것으로 보인다. 작품 말미에는 “이 ᄎᆡᆨ 쥬인은 림소저로소이다 글시난 흉괴망필나 이 몸으로는 중이 역임니 ᄃᆞ 아아실여로ᄃᆞ”라는 필사기가 있다. 이를 통해 책 주인이 ‘임소저’라는 사실을 알 수 있는데, 필사자가 여성임을 밝힌 적강형 〈두껍전〉 이본들이 서너 종 더 있음을 감안했을 때, 조선 후기 여성 독자들의 소설 향유를 보여주는 방증 자료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적강형 〈두껍전〉은 대체로 19세기 말~20세기 초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전남대본 〈두껍전〉의 정확한 필사 연대는 확인할 수 없으나, 19세기에 활동한 판소리 명창인 권삼득(權三得, 1771~1841)과 송흥록(宋興祿, 1780년경~?)에 대한 언급이 작품에 나오는 것을 보면 비슷한 시기에 필사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적강형 〈두껍전〉은 현재 필사본 20여 종과 활자본 2종(〈둑겁젼 蟾處士傳〉(박문서관, 1917), 〈(변화무궁) 인둑겁젼〉(삼광서림, 1927))이 보고되었는데, 선본(善本)은 확정되지 않은 상태이다. 필사본의 내용은 대체로 대동소이하지만, 기미년(己未年)에 필사된 김동욱 소장본(이하 기미본)의 경우 다른 필사본에서 볼 수 없는 에피소드들이 포함되어 있어 적강형 〈두껍전〉 중에서도 특이한 경우에 해당한다. 전남대본 〈두껍전〉은 바로 이 기미본과 친연성을 보이는 이본으로서, 적강형 〈두껍전〉 가운데에서도 변이가 많이 나타나는 이본이라고 할 수 있다.
전남대본 〈두껍전〉의 전체 내용은 다음과 같다.

(01) 영암(靈巖) 월출산(月出山) 아래에 사는 양척기 부부는 농사를 지어 풍족하게 살지만, 마흔이 넘도록 슬하에 자식이 없음을 슬퍼하여 하늘에 기도한다.
(02) 양척기는 평소 배사못이라는 연못에서 낚시를 하며 소일하였는데, 어느 날 물고기가 모두 사라져 실망하여 돌아온다.
(03) 양척기는 물고기가 돌아오게 해달라고 하늘에 비는데, 용과 비슷한 짐승이 나타나는 꿈을 꾸고 배사못에서 두꺼비 한 마리를 얻는다.
(04) 그 두꺼비 옆에 석함(石函) 하나가 놓여있어 양척기 부부가 열어보자, 하늘이 부부의 정성에 감동하여 귀한 아들을 점지할 것이니 두꺼비를 집으로 데려가라는 글이 새겨져 있었다. 이에 부부는 두꺼비를 치마폭에 싸서 집으로 돌아온다.
(05) 어느 날 한밤중에 두꺼비가 사방에 기운을 통하더니 갑자기 쌀과 금은을 실은 행렬이 집으로 찾아와 양척기는 큰 부자가 된다.
(06) 두세 달 후 두꺼비의 요청으로 양척기 부부는 두꺼비를 양자(養子)로 삼는다.
(07) 장성한 두꺼비는 양부모(養父母)에게 백판서 댁과의 혼사를 청하면서 모친에게 어떻게 해야 할지를 알려준다.
(08) 모친은 두꺼비가 일러준 대로 백판서 댁을 찾아가 두꺼비 아들을 사위로 삼으라고 한다. 분노한 백판서는 보검으로 그녀의 목을 내리치는데, 목이 저절로 다시 붙는 것을 보고 아내와 의논하여 결국 막내딸 월선과의 혼인을 허락한다.
(09) 이때 월선은 꿈속에서 선녀를 만나 두꺼비는 본래 비를 잘못 내린 죄로 적강한 선관(仙官)이며 자신과 천정연분(天定緣分)이 깊다는 말을 듣고, 혼사를 받아들인다.
(10) 첫날밤에 두꺼비는 울고 있는 월선에게 자신의 정체를 밝히며 가위로 자기 배를 갈라보라고 한다. 월선은 꿈속에서 들었던 말이 사실임을 깨닫고, 두꺼비의 말대로 했더니 허물이 벗겨지면서 두꺼비가 옥골(玉骨) 선관으로 변신한다.
(11) 다음날 선관은 다시 두꺼비의 모습으로 돌아가 장모께 인사를 드리려고 하지만, 장모는 무서워서 이를 거부한다. 그러자 두꺼비는 손위 동서들과 차별 대우하는 부당한 처사에 서운함을 토로한다.
(12) 백판서의 생일이 다가오자 두 동서는 사냥을 하여 잔치를 준비하기로 하고, 두꺼비에게는 아무런 말도 없이 좋은 말과 사환들을 갖추어 길을 떠난다.

목차

책머리에 / 005
해제 / 011
두껍전 / 029
둑겁전 권지일 / 085
찾아보기 / 149
둑겁전(영인) / 151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