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왕 루이 14세 사망 전후의 프랑스에 들이댄 날카로운 펜,몽테스키외의 풍자소설
“이 익살스러운 작품에 그의 연구서보다 더 견고한 정신을 보여주는 특징이 가득하다.” _볼테르
총명하고 비판적인 페르시아의 영주 우스벡은 서구 세계의 비밀과 삶의 기술을 발견하기 위해 열정적인 친구 리카와 함께 파리로 온다. 처음에는 모든 것이 놀랍기만 했으나, 이내 두 이방인은 점차 정치적 관찰자, 철학자 및 준사회학자가 되어 날카로운 시선으로 이 새로운 세계를 읽어간다.
주인공 우스벡과 리카는 당시 프랑스의 사회, 종교, 정치, 경제를 비롯한 각종 풍속을 관찰하며, 이를 친구, 친지들에게 서신으로 알린다. 정치 시평, 문명 비판, 여행기, 도덕 평론, 이러한 다양한 주제들이 편지가 오가는 파리와 페르시아의 하렘, 러시아 등 다양한 공간을 바탕으로 펼쳐진다. 이스파한의 영주인 우스벡이 자신의 하렘으로부터 받는 서신들은 이슬람교도들의 하렘 속 이야기를 그려 소설의 재미를 한층 더해준다.
루이 14세 치하 후반과 사망 후 섭정 체제가 배경인 『어느 페르시아인의 편지』는 매우 신랄하고도 성공적이며 또한 매우 재미 넘치는 풍자소설이다. 이 작품 속 인물들은 남녀 불문하고 허영에 차 있고 탐욕스러우며, 또 무엇이든 쉬 믿어버리는 어리석은 인물들이다. 온갖 부류의 위선자들, ‘사이비’ 고해 신부들, 조그마한 양심의 가책도 없이 몰인정하기 그지없는 징세 청부인들, 나이를 숨기느라 부단히 애쓰는 부인네들, 막강한 절대 왕권 위의 프랑스 국왕과 비열하고 교활한 추종자들, 게다가 교황에 이르기까지 그야말로 온갖 유형의 인물들을 향한 작가의 신랄한 풍자와 번쩍이는 언어유희, 빗발치는 대조법 등은 이 작품의 정신을 잘 드러낸다. 이러한 이유로 이 작품은 1721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익명으로 출간된 뒤, 엄청난 판매 부수를 자랑하며 대중의 사랑을 받는 동시에 기득권의 강력한 비판과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고티에 신부는 “신을 모독하는 불경스러운 언행”이라며 매우 강력히 비판했다.
‘『법의 정신』의 재치 있고 과감한 서문’이라 일컬어지는초기 계몽주의 최고의 걸작 “이것이 바로 인간의 권리, 아니 이성의 권리인 것이다.” _ 편지 95, 본문 305쪽
8년에 걸쳐 여행을 하며 서양 사회를 관찰, 탐색하는 우스벡과 리카는 계몽주의 시대의 정신을 반영한다. 주인공들의 편지에서는 왕, 절대군주제, 삼부회, 대학 등이 웃음거리가 될 뿐 아니라 가톨릭 종교, 성직자까지 신랄한 조롱의 대상이 된다. 특히 전제정치에 대한 비판은 법, 군주, 종교, 인권, 자유, 정의에 대한 몽테스키외 사상의 근간을 보여주어, 이 소설은 일명 ‘『법의 정신』의 재치 있고 과감한 서문’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전제정치를 비판하고 유럽 사회의 부조리를 지적하는 이 소설은 계몽주의의 시작을 알리는 작품이었다.
이 작품에서 몽테스키외는 내용적으로나 문체적인 면에서 다양한 목소리와 담론들이 공존하는 다성주의를 극한까지 밀고 갔다. 이 작품에는 성직자의 담론, 철학자의 담론, 여성적 담론, 서양의 담론, 동양의 담론, 반성적인 담론, 성찰적인 담론, 정념에 관한 담론 등이 서로 대립하면서도 병존한다. 또한 이상 국가가 아닌 현실적 도시국가를 소개하는 트로글로다이트인들의 이야기도 같은 맥락으로 주목할 만하다. 이성에 의지한 백성들과 온건한 정부를 위해 필요한 유일한 방법으로서 다름 아닌 ‘교육’을 강조하는 이 이야기는 몽테스키외의 계몽주의적 사상을 엿볼 수 있게 해준다.
실험적 방법론, 과학의 찬양, 합리주의, 상대주의, 결정론, 비평 정신, 관용과 자유 정신, 법과 정의의 엄격함, 범세계주의, 사교성, 행복에 관한 관심, 합리적 정치와 종교 등 그야말로 몽테스키외의 철학 사상이 작품 곳곳에 배어 있는 『어느 페르시아인의 편지』는 부인할 수 없는 프랑스 초기 계몽주의의 제일가는 걸작이다.